• 제목/요약/키워드: Low income families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21초

전월세시장 구조변화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the Structural Change of Chonsei and Monthly Rent Market)

  • 박상학;김용순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4호
    • /
    • pp.379-387
    • /
    • 2012
  • 국가적으로 전세난이 심화되어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택 전월세 시장 구조변화와 정부의 정책에 대해, 임차인, 임대인, 공인중개인 등 시장참여자 의견을 분석하고자 한다. 전월세 시장 특성 분석을 위해 지역 및 거주 유형별로 약 2,000여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임차인, 임대인의 의식변화와 차이를 진단하였고, 임대인, 임차인, 전문가 대상의 조사를 통해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주택 전세시장 및 주거 안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정책 수요자 및 공급자, 중개인에 대한 의겸 수렴과 반영을 통해 정책에 대한 신뢰도 및 효용도를 제고할 수 있고, 전월세 시장의 주거 안정화를 위한 정책 제안을 할 수 있다.

대전지역 주부의 친환경농산물 구매행동 (The Housewives' Purchase Behaviors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Daejeon Area)

  • 김인정;이준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86-397
    • /
    • 2011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ousewives' purchase behaviors on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P) by survey in Daejeon area housewives. 390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analysed. Most of the subjects were female (92.6%) distributed evenly in their 40's (55.4%), and graduated from high school (43.6%) or college (36.4%). Subjects' occupation was most housewives (64.1%) and 77.4% of the subjects had monthly family income of 2 million won or more. 76.9% of the subjects had purchased EFAP already. The reason of purchasing EFAP was mainly "good for health" (80.3%), and reason for non-purchasing was "high prices" (28%) or "not so trustworthy" (25.6%). The most purchasing frequency was "once a week" (29%). 46.7% of the subjects spent 20% of their agricultural product cost for EFAP and 38.7% of them spent less than 30,000 won per month for EFAP. On checking of EFAP labeling, the housewives scored 3.59 for the validate date, 3.25 for the place of origin, 2.8 for the quality certification mark by 4-point Likert scale. 65.1% of the subject had intention to increase purchasing of EFAP in future.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EFAP, the improvement factors were price-cutting (47.9%), trust on producers (18.2%) and quality betterment (17.7%). Accordingly, the consumers prefer EFAP for wellbeing health of families; however, they hesitate to buy due to their high price and the low reliability on producers of EFAP. Thus the producers and the related organization of EFAP should contrive proper countermeasures to increase consumer's satisfaction level on their credibility and price of EFAP.

영유아통합지원 실천의 지역사회변화 인식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시소와그네' 사례를 중심으로 (Community Change Perceived by participants in the Integrated Program for Early Children Development with Low-income Families Using Photo-voice Method: Centered on the Case of 'Seesaw and Swing')

  • 홍현미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4호
    • /
    • pp.233-25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개입과 교육 복지 의료의 통합지원을 통해 기회균등 효과를 달성하고자 하는 영유아통합지원 실천 참여자의 지역사회 실존적 경험에서 발견한 지역사회변화 인식을 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연구 참여자 인식을 사진을 통해 공유하는 포토보이스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사업 참여 전의 지역사회는 '무장소의 발견'(주눅 들어 웅크리고 살아야 하는 의미 없는 공간, 우리동네) 이었다. 하지만 영유아통합지원 실천을 통해 '다시 뿌리내리기'(You are not alone)를 경험한다. 이는 본 실천을 통해 '양육품앗이' 공동체 체험을 하며 지역사회 네트워크로 편입되어가는 과정이었다. 실천경험의 결과 연구 참여자에게 지역사회는 교육 복지 의료자원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장소, 즉 '장소성의 회복'(내 안에 피어난 새로운 장소, 우리동네)을 경험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저소득 빈곤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개입의 영유아통합지원 실천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포토보이스 연구결과에서 발견한 지역사회에 대한 반성적 고찰단계, 재정착 단계, 장소성 회복 단계 등을 제시한다. 더불어 지역사회변화 실천주체인 '양육품앗이'조직의 중요성과 사회자본 형성 노력 또한 제기한다.

  • PDF

충청지역 고등학교 학교급식 관계자의 아침급식 요구도 (Stakeholder's Demand for School Breakfast Programs in High School at Chungcheong Areas)

  • 지명순;김정은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4권2호
    • /
    • pp.141-15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students' eating habits and to evaluate the necessity of high school breakfast service by surveying concerned persons such as high school dietitians, parents, and students to find practical solutions to decrease the breakfast-skipping rat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cheo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75 dietitians, 584 students, and 420 parents. Parents and students participated the survey more positively, and the more monthly income participants' families had,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on increased by 1.5 times (OR=1.452). Parents suggested that breakfast should be offered at a lower price (1,000~2,000 won) than school lunch, and for the school breakfast cost, they preferred to bear the expense together with schools. For the type of breakfast, the dietitians preferred convenient foodservice (40.0%), the students preferred simple meals such as bread, milk, fruit and salad (3.97), and Kimbap, Joomukbap et al (3.93) rather than Korean traditional foods (3.76) such as rice, soup and side dish. The dietitians answered 'needed' and 'very much needed' to the necessity of breakfast relatively low by 30.7%.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 the execution of school breakfast program should start first for the students who cannot have breakfast at home. Moreover,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reduce the constantly increasing rate of breakfast-skipping rate of high school students.

차원계수방식에 의한 다차원적 빈곤 측정 (Measurement of Multidimensional Poverty by Counting Approach)

  • 최균;서병수;권종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85-111
    • /
    • 2011
  • 다차원적 빈곤접근에 있어 빈자의 구분방식에는 복합지수방식, 합집합 및 교집합방식이 있는데 이들 방식들은 타당하지 않은 문제들이 있었다. Alkire와 Foster는 이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합집합과 교집합의 중간 형태로서 결핍차원들의 개수를 경계선으로 이용하는 차원계수방식을 이론화하였다. 차원계수방식에 의해 우리나라의 다차원적 빈곤을 측정한 결과, 3개 결핍차원을 정책적 차원빈곤선으로 하는 경우 다차원적 빈곤율은 20% 수준으로서 10명 중 2명이 다차원적으로 빈곤하였다. 다차원적 빈곤율이 높은 것은 자산, 소득, 사회보장, 건강 등 여러 차원으로 결핍의 폭이 넓은데 기인하였다. 여성, 한 부모, 노인, 비경제활동인구 등 취약계층일수록 다차원 빈곤의 폭이 넓고 가중되고 있었다. 연구결과 현행 기초생활보장제도가 탈 빈곤유도와 기초생활보장이라는 두 가지 정책목표를 각각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근로능력 유무에 따라 수급자선정과 지원체제를 이원화하고 차원계수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본다.

  • PDF

영아기 가정환경검사(IT-HOME) 규준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Normative Scores for the IT-HOME Inventory)

  • 이영;이정림;박신진;우현경;구자연;정현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4호
    • /
    • pp.433-445
    • /
    • 2015
  • This study develops normative scores of the Infant/Toddler version of the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IT-HOME) inventory for Korean infants and toddlers. We selected 482 0- to 36-month-old infants and families by a stratified sampling procedure that considered residency, age, and gender of children. The pass rate, discrimination rate,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analyzed for the item analysis. Statistical validity included intercorrelation among the IT-HOME subscales, correlation between IT-HOME scores and environmental status variables, and correlation between IT-HOME and 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second edition (K-BSID-II) scores. Normative scores were prepared by percentile ran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45 items were acceptable for Korean subjects with few exceptions. IT-HOME was developed to screen unfavorable environmental factors during infancy; therefore, items such as 12, 17, 23, 39, 44 need to be retained even though they had low discriminating power. Second, IT-HOME subscales were correlated, and IT-HOM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s'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level, and infant' developmental levels. Third, percentile scores and the median of each IT-HOME subscales were suggested as normative scores. We discussed the normative scores of the IT-HOME to screen the quality of home environments for children aged 0-36 months in Korea, and provide the intervention basis for the at-risk population.

경북농촌지역 중식지원 초등생의 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Nutritional Status of School Lunch-Suppor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yeongbuk Rural Area)

  • 박나영;최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4호
    • /
    • pp.341-352
    • /
    • 2008
  • The number of school lunch-supported children who belong to low-income families has been rapidly increased in Korea.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of school lunch-suppor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e hundred school lunch-supported children and 119 non-supported children of fourth to sixth year class in 3 elementary schools in Gyeongbuk rural area were selected, and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i.e., once during school term and once during summer vacation in 2006. Food consumption survey during school term was carried out through an interview by dieticians at school-lunch time using a 24-hour recall method, and the survey during summer vacation conducted by recording food intakes for three days by children. Nutrient intakes were calculated using CAN-Pro 3.0 program. School lunch-supported children showed higher rate of skipping breakfast and rather irregular meal time as compared to non-supported students. Eating alone was more frequent in school lunch-supported children than in nonsupported children. The average nutrient intakes and nutrient adequacy ratios were lower in supported children than in non-supported children. During term, percentages of nutrient intakes provided by school-lunch were higher in supported children than in non-supported children. Intakes of energy nutrients were within 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s, but proportion of carbohydrate intake increased during vacation. Analysis of patterns of food intakes based on major food groups (dairy, meat, grain, fruit, vegetable) indicated that meals during term were more balanced as compared to meals during vacation. In conclusion,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of school lunchsupported children were inferior to those of non-supported children during term and during summer vacation. They were provided with more nutrient intakes from school lunch during term as compared to non-supported children. Therefore, it is necessary not only to keep meal support program during vacation but also to provide a proper nutrition education as a part of school lunch program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and food behaviors of school lunch-supported children.

가족 경제 상황과 청소년의 진로정체감과의 관계에서 사회관계의 매개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on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Economic Status and Adolescents' Career Identity)

  • 원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51-260
    • /
    • 2019
  • 본 연구는 가족의 경제적 상황과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및 진로정체감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정의 경제적 상황과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사회관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의 경제 상황이 사회관계의 질적인 측면과 상관관계를 가지며, 이러한 청소년의 긍정적인 사회관계는 진로정체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정의 소득 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진로발달 격차를 긍정적인 사회관계의 증진을 통해 완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저소득 가정 청소년들의 진로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긍정적인 사회관계의 형성을 돕는 융합된 진로 지도 개입이 요구된다.

초등학교 도서관의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s Mentoring Programs Supported by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Seoul)

  • 조인숙;김희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5-166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시 북부교육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저소득층 학생을 위한 학교도서관 내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북부지역 5개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교도서관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학교별 멘토링 현황을 분석하고 멘토, 멘티, 전담자에 대한 설문조사 및 담임교사와 방과 후 교사를 포함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멘토링 후에 멘토가 작성한 멘토링 활동일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학교도서관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은 학교도서관의 역할을 확대하고 사회적으로 소외받을 수 있는 대상아동에 대하여 독서를 통하여 더 넓은 세계를 접하도록 함으로써 책과 함께 한 작은 소통이 궁극적으로 사회양극화 해소를 위한 하나의 계기를 만들어 가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영유아 건강검진 시행 초기 1년의 결과 분석 (One-year evaluation of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s and children in Korea)

  • 문진수;이순영;은백린;김성우;김영기;신손문;이혜경;정희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3호
    • /
    • pp.307-313
    • /
    • 2010
  • 목 적 : 2007년 11월 15일부터 시작된 영유아 건강검진의 시행 일년간의 검진 결과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검자와 검진의사의 의견을 조사하여, 향후 영유아 건강검진의 개선 및 발전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질병관리본부의 지원 하에 수행되었다. 방 법 : 2007년 11월 15일부터 2008년 10월 16일까지 4개월, 9개월, 18개월, 30개월, 5세 검진 대상자 총 2,729,340명의 검진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검자는 1,035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262명의 검진의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전체 수검률은 35.3%이었다. 수검률은 월령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성별에 따른 수검률의 차이는 없었다. 구강검진은 6.9%의 수검률을 보였다. 소득이 가장 높은 그룹의 수검률이 가장 낮았고, 의료급여 수급자에서도 낮았다. 검진은 의원에서 82.6%의 수검이 이루어졌다. 4개월 수검자 중 9개월 재 수검자로 계산한 재 수검률은 57.3%이었다. 전체 수검자의 3.1%가 종합판정에서 유소견율을 보였으며, 소득분위가 낮은 그룹에서 유소견율이 높았다. 수검자 설문조사에서는 문진표가 어렵지 않다고 하였고(94%), 검진과정도 73%에서 대체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라 응답하였다. 상담 시간 5-10분간 상담을 받은 수검자의 84.2%, 10분 이상 상담을 받은 수검자의 94-95%에서 상담시간에 만족한다고 답하였다. 응답자의 73.2%에서 상담과 교육이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건강교육은 77.1%에서 수검되었고 설명서도 73.7%에서 수취되었다. 검진의사는 결과 통보서를 작성하는 것에 어려움이 없었고(80%), 현 수가의 적절성은 51.1%가 매우 낮거나 낮다고 응답하였다. 검진의의 98.5%에서 현 검진이 어린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며, 94%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참여하겠다고 응답하였다. 결 론 : 영유아 건강검진은 시행 첫 일년 동안 성공적으로 시작되었다. 향후 수검률의 향상과 질 관리가 필요하며, 소득분위가 낮은 계층에 대한 지원이 요청된다. 검진의 완전 전산화와 최소 5년 주기의 정기적인 가이드라인의 개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