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dose radiation

검색결과 938건 처리시간 0.027초

아리랑 2호의 방사능 환경 및 영향에 관한 분석(I)- TOTAL IONIZING DOSE 영향 중심으로 - (THE ANALYSIS ON SPACE RADIATION ENVIRONMENT AND EFFECT OF THE KOMPSAT-2 SPACECRAFT(I): TOTAL IONIZING DOSE EFFECT)

  • 백명진;김학정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153-16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아리랑 2호가 운용될 궤도의 우주방사능 환경 및 total ionizing dose(TID)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포획된 양자의 경우 SAA(South Atlantic Anomaly) 지역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TID에 영향을 미치는 우주 방사능은 포획된 양자 및 전자와 태양양자임을 알 수 있었다. 저 에너지 입자는 알루미늄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여 방사능 영향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고 에너지 입자의 경우 구조물의 두께를 증가하여도 방사능 영향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아리랑 2호의 임무수명기간 동안 전자부품에 계속적으로 피폭되는 전체 방사량을 알루미늄 차단두께의 함수로 나타내었으며, 이 값들은 아리랑 2호의 전자부품의 선택기준 및 위성체 또는 구성품의 구조물 두께를 설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 PDF

국내 원전 종사자의 방사선량 : 2009-2013 (Radiation Exposure on Radiation Workers of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 2009-2013)

  • 임영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0권3호
    • /
    • pp.162-167
    • /
    • 2015
  •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한 우리나라 장기 전력수급정책에 대한 대중의 저항 및 불안감이 존재하고 있다. 고리 원전 1호기에 대한 정부의 영구정지 결정과 설계수명이 끝난 월성 원전 1호기의 계속운전 시행 반대, 고리 원전 인근 주민의 갑상선암 논란 등 원전 운영으로 인한 국내외 여건이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전운영능력과 안전은 여러 가지 지표들이 있지만, 원전의 방사선안전관리 능력, 특히 방사선피폭량을 중심으로 상세 분석과 논의가 필요하다. 분석대상과 방법으로는 최근 5년간 원전의 피폭 방사선량을 분석하고, 유관한 방사선 작업종사자군과 방사선 피폭량 추이를 비교 평가하였고, 세계 주요 원전 국의 개인당 연간 평균방사선량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방사선차폐와 방호조치등 총체적인 방사선량 저감화 계획과 연구를 통해 방사선피폭량을 저감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간선량한도한도인 50 mSv, 5년간 100 mSv를 초과한 방사선작업 종사자는 없었으며, 이는 방사선구역 출입시 자동화에 따른 출입제한과 관리선량 제한치를 연간선량한도의 60%미만으로 설정하는 등 다양한 방사선안전관리 체계를 확보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원자로형별 운영형태에 따른 방사선피폭 유형은, 중수로 원전의 총 피폭대비 정상 운전시 방사선피폭비율이 경수로 원전보다 6.2 % 높게 나타났다. 이는 중수로 원전이 정상운전시 방사선피폭 작업이 많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계원자력발전사업자협의회 성능평가지표(World Association of Nuclear Operators performance indicators, WANO PI)에 의하면, 2013년도 주요 원전보유국의 연간 호기당 집단선량은 우리나라가 527 man-mSv로 가장 우수한 실적을 보였으며, 세계평균치인 725 man-mSv의 73%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당 연간 방사선피폭량은 종사자의 약 80%가 일반인의 선량한도인 1 mSv 미만이며, 개인당 평균선량 역시 0.82 mSv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유관 기관의 방사선작업 종사자와 비교해보면, 2013년 기준으로 방사선안전재단에 등록된 관련 업종 방사선작업 종사자의 개인당 평균선량은 1.07 mSv에 비해 77% 수준이며, 비파괴 검사기관 종사자의 개인 평균선량 3.87 mSv의 21% 수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원전의 피폭 방사선량은 이상적으로 저감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으나, 더 이상 낮추는 것은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원전 주변 주민이 심리적인 불안감, 전원개발계획에서 원전의 비중을 감안할 때, 최적의 원전 상황을 평가하는 지표인 방사선안전관리 능력은 각종 통계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 제시 및 총체적인 방사선량 저감화 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Neutron Dosimetry and Monitoring in the Radiation Environment

  • Nakamura, Takashi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51-62
    • /
    • 1989
  • The high efficiency moderated-type neutron spectrometer and doseequivalent counter were developed for the measurement of low level environmental neutrons. By using these detectors, the neutron energy spectra and dose equivalent rates due to skyshine effect were measured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accelerator facilities and also the altitude variation of cosmic ray neutrons in the aircraft flying over Japan.

  • PDF

저선량율 방사선 조사한 BALB/c 마우스에서의 영향평가 (Bioassay in BALB/c mice exposed to low dose rate radiation)

  • 김성대;공은지;배민지;양광모;김중선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7권3호
    • /
    • pp.159-166
    • /
    • 2012
  • 본 연구는 저선량율 방사선에 의한 급성독성을 조사하기 위해 BALB/c 마우스에게 낮은 선량율에 방사선을 만성 노출 후 일반증상과 체중, 장기중량, 부검소견, 혈액 및 뇨 검사를 통해 독성유무를 관찰하였다. 각각 암 수 20마리 마우스는 각 5마리씩 4군으로 분류하고, 3.49 $mGy{\cdot}h^{-1}$의 저선량율 방사선을 정상대조군, 0.02, 0.2, 2 Gy를 각각 5.7시간, 2.4일, 24일 간 지속적으로 노출시키고 조사 후 1일에 마우스를 희생하여 독성을 평가하였다. 저선량율 방사선은 최고선량의 (2 Gy) 노출에도 사망률, 임상증상, 체중, 사료와 음수 섭취량, 뇨검사, 혈청 생화학에서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고환, 난소, 자궁을 포함한 생식 장기는 방사선량 의존적으로 장기의 무게가 감소되었으나, 다른 장기의 무게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방사선 조사군에서 혈액학적인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고, 단지 호중구수가 노출선량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번 실험결과 마우스에서 저선량율 방사선 노출은 최고 선량인 2 Gy의 노출에 다른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암컷 수컷의 생식장기에 무게 감소가 관찰되었다.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저선량 방사선의 마우스 피폭선량 연구 (A Study on Mice Exposure Dose for Low-dose Gamma-irradiation Using Glass Dosimeter)

  • 노성진;김효진;김현;정동혁;손태건;김정기;양광모;남상희;강영록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0권4호
    • /
    • pp.202-210
    • /
    • 2015
  • 저선량 조사는 낮은 선량을 지속적으로 장기간 조사시키기 때문에 조사되는 마우스들에 대한 선량분포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만 한다. 본 연구는 저선량 방사선에 대한 생물학적 영향평가를 위하여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연구센터에 설치된 $^{137}Cs$ 조사장치에 대하여 마우스조사 실험 시 마우스에 원하고자 하는 선량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마우스에 원하고자 하는 정확한 선량을 전달하기 위하여 선원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에 마우스 케이지 45개를 설치할 수 있는 아파트를 자체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마우스 아파트 시스템에 대한 선량평가를 하기 위하여 유리선량계(glass dosimeter)를 실험용 마우스 머리와 배에 삽입한 후 기존 조사 시스템과 자체 개발한 마우스 아파트 시스템에 대해 비교 선량평가를 수행하였다. 기존시스템의 조사방식에서 최대 42%의 선량차이를 보였으며 개발한 마우스 아파트 시스템은 6% 이내의 선량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마우스 아파트를 활용한 저선량 방사선에 대한 생물학적 영향평가 연구는 전달하고자 하는 선량을 보다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생물학적 분석결과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role of salvage radiotherapy in recurrent thymoma

  • Yang, Andrew Jihoon;Choi, Seo Hee;Byun, Hwa Kyung;Kim, Hyun Ju;Lee, Chang Geol;Cho, Jaeho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7권3호
    • /
    • pp.193-200
    • /
    • 2019
  • Purpose: To explore the role of salvage radiotherapy (RT) for recurrent thymoma as an alternative to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07 and 2015, 47 patients who received salvage RT for recurrent thymoma at Yonsei Cancer Cent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current sites included initial tumor bed (n = 4), pleura (n = 19), lung parenchyma (n = 10), distant (n = 9), and multiple regions (n = 5). Three-dimensional conformal and intensity-modulated RT were used in 29 and 18 patients, respectively. Median prescribed dose to gross tumor was 52 Gy (range, 30 to 70 Gy), with equivalent doses in 2-Gy fractions (EQD2). We investigated overall survival (OS),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and patterns of failure. Local failure after salvage RT was defined as recurrence at the target volume receiving >50% of the prescription dose. Results: Median follow-up time was 83 months (range, 8 to 299 months). Five-year OS and PFS were 70% and 22%, respectively. The overall response rate was 97.9%; complete response, 34%; partial response, 44.7%; and stable disease, 19.1%. In multivariate analysis, histologic type and salvage RT dose (≥52 Gy, EQD2)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S. The high dose group (≥52 Gy, EQD2) had significantly better outcomes than the low dose group (5-year OS: 80% vs. 59%, p = 0.046; 5-year PFS: 30% vs. 14%, p=0.002). Treatment failure occurred in 34 patients; out-of-field failure was dominant (intra-thoracic recurrence 35.3%; extrathoracic recurrence 11.8%), while local failure rate was 5.8%. Conclusion: Salvage RT for recurrent thymoma using high doses and advanced precision techniques produced favorable outcomes, providing evidence that recurrent thymoma is radiosensitive.

Verification of Harmonization of Dose Assessment Results According to Internal Exposure Scenarios

  • Kim, Bong-Gi;Ha, Wi-Ho;Kwon, Tae-Eun;Lee, Jun-Ho;Jung, Kyu-Hwan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3권4호
    • /
    • pp.143-153
    • /
    • 2018
  • Background: The determination of the amount of radionuclides and internal dose for the worker who may have intake of radionuclides results in a variation due to uncertainty of measurement data and ingestion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is, it is possible that for the same internal exposure scenario assessors could make considerably different estimation of internal dose. In order to reduce this difference, internal exposure scenarios for nuclear facilities were developed, and intercomparison were made to determine the harmonization of dose assessment results among the assessors. Materials and Methods: Seven cases on internal exposures incidents that have occurred or may occur were prepared by referring to the intercomparison excercise scenario that NRC and IAEA have carried out. Based on this, 16 nuclear facilities concerned with internal exposure in Korea were asked to evaluate the scenarios. Each result was statist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armonization discrimination criteria developed by IDEAS/IAEA. Results and Discussion: The results were evaluated as having no outliers in all 7 cases. However, the distribution of the results was spread by various causes. They can be divided into two wide categories. The first one is the distribution of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assumption of the intake factors and the evaluation factors. The second one is distribution due to misapplication of calculation method and factors related to internal exposure. Conclusion: In order to satisfy the harmonization criteria and accuracy of the internal exposure dose evaluation, it is necessary that exact guidelines should be set on low dose, and various intercomparison cases also be needed including high dose exposure as well as the specialized education. The aim of the blind test is to make harmonization evaluation, but it will also contribute to securing the expertise and high quality of dose evaluation data through the discussion among the participants.

저선량 감마선 조사가 벼 유묘의 염 스트레스 경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Dose Gamma-irradiation on Alleviation of Salt Stress in Rice (Oryza sativa L.) Seedling)

  • 백명화;김진홍;위승곤;이인중;이규성;김재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3-158
    • /
    • 2005
  • 염 스트레스 하에서 벼 생육에 대한 저선량 방사선의 경감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일품벼와 간척벼 두 품종에 저선량 감마선을 0-32 Gy 수준으로 조사하였다. 염 처리에 따른 생장반응은 무 처리구에 비해 두 품종 모두 염 처리구에서 생육이 감소하였으며, 초장과 생체중보다 건물중에서 더 많은 감소를 보였다. 이외에도 초기건량에 대한 단위시간당 건물의 증가를 나타내는 상대생장율을 관찰한 결과, 전체 상대생장율이 염 처리구에서 50% 이상 억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생육억제는 저선량 방사선에 의해 경감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줄기 상대생장율의 경우 염 처리시 4 Gy 조사구가 대조구보다 30% 이상의 경감효과를 보였다. 또한 염 스트레스에 대한 조직의 막투과성 정도는 염 처리에 의해 4배 정도 피해를 보였으나 4 Gy 조사구에서 10% 이상의 경감효과를 보였으며, 상대수분함량도 30% 정도의 감소를 보인 염 처리구에서 저선량 방사선의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저선량 방사선이 염 스트레스에 대한 저해 효과를 경감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씨감자 “대지” 품종의 휴면타파와 생리활성에 미치는 저선량 방사선 효과 (Effect of Low Dose ${\gamma}$ Radiation on the Dormancy Breaking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Dejima" Seed Potato (Solanum tuberosum L.))

  • 김재성;김동희;백명화;정혁;이영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6-121
    • /
    • 2001
  • 저선량 ${\gamma}$선 조사가 기내 유기한 감자 소괴경에서 생산한 "대지 (Solanum tuberosum L. cv. Dejima)" 품종 씨감자의 맹아발생과 포장에서의 생육과 수량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효과 등을 알아보고자 저온 저장한 감자 괴경에 ${\gamma}$선을 $0.5{\sim}30$ Gy 까지 조사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선량 ${\gamma}$선 조사한 감자 괴경의 맹아 출현율은 저장 기간에 관계없이 대체로 1 Gy와 2 Gy 조사구에서 높았고 맹아 길이는 2 Gy와 4 Gy 조사구에서 유의성있는 증가효과를 보였으며 맹아수에서는 15일 저장구의 4, 8, 16 Gy 조사구에서 유의성있는 증가효과를 보였다. 포장생육에서는 45일 저장구가 모든 선량에서 유의성있는 생육 및 수량 증가효과를 보였는데 특히 4 Gy 조사구에서 뚜렷한 증가효과를 보였다. 항산화효소 활성은 저선량 조사와 생육에 따라 어떠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catalase는 모든 저선량 조사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고, peroxidase는 생육이 양호하였던 45일 저장구의 4 Gy 조사구에서 증가하였다.

  • PDF

경주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방폐물검사건물에서 해체 방사성폐기물 대상 방사선작업종사자의 피폭선량 평가 및 작업조건 도출 (The Assessment of Exposure Dose of Radiation Workers for Decommissioning Waste in the Radioactive Waste Inspection Building of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 김린아;도호석;김태만;조천형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8권2_spc호
    • /
    • pp.317-325
    • /
    • 2020
  •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처분시설 내 1단계 인수·저장구역의 인수검사 공간 및 드럼 취급 공간 부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폐물검사건물을 건설하여 저장·처리능력을 확충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MCNP 코드를 이용하여 방폐물검사건물 내 저장구역에서 취급하는 해체 방사성폐기물 대상 신형처분용기를 대상으로 작업종사자의 피폭선량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시설 내 저장 가능한 최대 용기 개수(304개)와 방사선작업에 대한 연간 예상 작업시간(약 306시간)에 대하여 연간 집단선량은 총 84.8 man-mSv로 계산되었다. 시설 내 총 304개의 신형처분용기(소형/중형 타입)가 저장 완료된 시점에서 인수검사, 처분검사를 위한 작업종사자의 투입인력은 총 25명, 작업종사자 당 예상피폭선량은 연평균 3.39 mSv로 산출되었다. 소형용기 취급 시 작업종사자의 고방사선량 작업에 따른 작업효율과 방사선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콘크리트 라이너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추가적인 차폐가 필요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실측기반의 해체폐기물의 선원항과 특성을 활용하여 방사선작업 당 작업시간 및 투입인력을 산출함으로써 작업종사자의 최적의 방사선작업조건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