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ow Income Group

Search Result 58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가구소득수준에 따른 남녀 노인의 건강 및 영양섭취 실태 비교: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Comparison of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ly considering the household income level, using the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길진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1호
    • /
    • pp.39-5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제7기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가구소득수준에 따른 식생활, 건강생활특성 및 영양섭취실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 수는 전체 1,355명이었으며, 남자 노인 41.5% (558명), 여자 노인 58.5% (797명)로 소득수준별로 저소득군 48.3%, 중소득군 40.9%, 고소득군이 10.5%로 나타났다. 연령, 거주지역, 교육수준, 가구 유형에서 남녀 노인 모두 소득수준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활동여부는 남자 노인에서만 소득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식생활 실태에서는 남녀 노인 모두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외식 횟수가 많았으며 점심, 저녁 식사의 동반자가 있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수준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살펴보면 남자 노인의 경우 소득이 높을수록 건강이 좋다고 느끼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저작 불편 여부에서도 소득이 낮을수록 불편을 느끼는 노인의 비율이 높았다. 비만,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고중성지방혈증 유병률은 노인의 가구소득수준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여자 노인의 경우 고소득군보다 저소득군에서 고혈압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량은 남녀 모두 소득이 높아질수록 에너지섭취량이 증가하였으며 탄수화물의 섭취량은 남녀 모두 소득수준별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단백질과 지질의 섭취량은 소득수준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 남녀 노인 모두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단백질, 지질 섭취량이 증가하였다. 남자 노인의 경우 인, 칼륨,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차이를 보여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섭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노인은 칼슘, 인, 철,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니아신의 섭취량에서 소득수준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리보플라빈의 경우 남녀 노인 모두에서 소득수준별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녀 노인의 총 식품섭취량은 소득이 높아질수록 비례해서 섭취량도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노인의 경우 과일류 (p < 0.001), 해조류 (p < 0.05), 계란류 (p < 0.05)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소득이 높아질수록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노인의 경우에는 당류 (p < 0.001), 계란류 (p < 0.001), 음료류 (p < 0.001)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소득이 높아질수록 섭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남녀 노인의 소득수준에 따른 영양 및 식품섭취량에 차이가 있으며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에너지섭취량, 특히 단백질과 지질 섭취량이 많았고 미량영양소에서도 남자와 여자노인에 따라 섭취량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남녀 노인의 소득수준에 따른 사회경제적 요인과 가구 유형, 사회환경 등이 식생활 및 영양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노인 대상 영양지원 또는 교육 프로그램 설계 시 노인의 성별, 소득수준별로 세분화된 내용구성이 필요하며, 건강한 식생활과 생활습관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영양교육 및 영양지원 프로그램이 설계되어 제공되어야 하겠다.

건강다이어리 프로그램이 저소득 관절염 여성노인의 낙상관련 심리적 변수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Health Diary Program on Fall-Related Outcomes in Low-Income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 이명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3호
    • /
    • pp.167-178
    • /
    • 2011
  • 본 연구는 관절염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건강다이어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낙상위험이 있는 관절염 여성노인을 위한 간호중재 서비스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2010년 9월 27일부터 11월 26일까지 대상자의 집을 방문하여 낙상예방을 위한 교육과 자가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시작전 사전 평가를 하였고 종료 후 실험 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의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의사로부터 관절염 진단을 받은 국민기초생활수급자 혹은 건강보험료 부과 하위 20%에 해당되는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으로서 연구자가 연령대별로 짝지어 실험군에 24명 대조군에 24명을 배정하였다. 중재는 8주 프로그램 이었으며 낙상관련 심리적 변수(낙상두려움, 낙상 효능감, 낙상지식), 일상 활동수행 정도, 기분상태를 측정하였다. 프로그램 1회 소요 시간은 약 50분 정도이며 관절염 질환이해 및 재활, 낙상관련 예방교육 등 2영역 교육내용을 16회로 나누어 제공하였으며, 매회 건강증진을 위한 자가 간호 수행정도점검과 개인별 상담으로 구성하였다. 이해력과 학습력을 높이기 위해 다이어리 전 내용을 그림으로 제작하였으며 매일의 건강증진 활동 실천을 확인하기 위해 자가 간호 수행표를 만들어 해당항목에 스티커를 부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낙상관련 심리적 변수, 일상 활동수행정도, 기분상태 변수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낙상예방 다이어리 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낙상 두려움, 낙상 지식, 기분상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낙상효능감, 일상 활동수행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의 낙상예방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관절염 여성노인의 낙상예방 지식, 낙상 두려움, 기분상태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어 프로그램 적용의 합리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낙상위험 정도에 따른 대상자 비교를 하지 않았으므로 낙상예방 프로그램의 구성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낙상위험요인을 중등도로 분류하고 이를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등 연령별로 교육효과를 비교하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의료급여 대상 노인의 치과진료 수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ntal treatment needs of elderly people covered by Medical Aid Program)

  • 김희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9권6호
    • /
    • pp.334-33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condition and dental treatment need of low socioeconomic elderly people. A total of 116 elderly people who visited Boramae Hospital were evaluated with oral examination and panoramic radiogap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expecting treatment of low income aged people was removable partial denture. It was very clear in the age group of 70-84. In the age group under 70, most of the patients wanted prosthodontic tratement using fixed partial denture or crow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elderly people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under age 85 needed removable partial denture or fixed prosthesis than complete den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re expanding and customized Senile prosthetic restoration program.

Household food insecurity, diet quality, and weight status among indigenous women (Mah Meri) in Peninsular Malaysia

  • Pei, Chong Su;Appannah, Geeta;Sulaiman, Norhasmah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2호
    • /
    • pp.135-142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This cross-sectional study assessed household food security status and determined its association with diet quality and weight status among indigenous women from the Mah Meri tribe in Peninsular Malaysia. SUBJECTS/METHODS: The Radimer/Cornell Hunger and Food Insecurity Instrument and the Malaysian Healthy Eating Index (HEI) were used to assess household food security status and diet quality, respectively. Information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24-hour dietary recal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including weight, height, and body mass index (BMI) were obtained from 222 women. RESULTS: Majority of households (82.9%) experienced different levels of food insecurity: 29.3% household food insecurity, 23.4% individual food insecurity, and 30.2% fell into the child hunger group. The food-secure group had significantly fewer children and smaller household sizes than the food-insecure groups (P < 0.05). The mean household income, income per capita, and food expenditu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food insecurity worsened (P < 0.001). The food-secur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Malaysian HEI scores for grains and cereals (P < 0.01), as well as for meat, poultry, and eggs (P < 0.001), than the food-insecure groups. The child-hunger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fat (P < 0.05) and sodium (P < 0.001) scores than the food-secure and household food-insecure groups. Compared to the individual food-insecure and child-hunger groups,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showed that the food-secure grou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er Malaysian HEI score while the household food-insecure grou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er BMI after controlling for age (P < 0.025). CONCLUSIONS: The majority of indigenous households faced food insecurity. Food insecurity at the individual and child levels was associated with lower quality of diet, while food insecurity at the household level was associated with higher body weight. Therefore, a substantial effort by all stakeholders is warranted to improve food insecurity among poorer households. The results suggest a pressing need for nutritional interventions to improve dietary intake among low income households.

마술요법이 농촌 빈곤아동의 우울과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Magic Program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Rural Low-Income Children)

  • 박경미;강문희;오경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207-213
    • /
    • 2017
  • 본 연구는 마술프로그램이 농촌 저소득층 아동의 우울과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유사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K군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에 등록된 10-12세 농촌 빈곤아동 45명 (실험군=24명, 대조군=21명)이다. 실험군은 주 1회 40분씩 총 8회기 마술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대조군은 사전조사와 사후조사 후 1회 30분씩 총 2회의 정신건강교육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 ${\chi}^2$-test, t-test와 ANCOVA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8주 마술프로그램 참여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우울(F=6.68, p=.013)과 자존감(F=7.61, p=.00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마술프로그램은 빈곤 아동의 우울 감소와 자존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추후 아동의 연령과 지역을 확대하고 프로그램의 효과기전을 검증하기 위한 추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저소득층의 우울증에 대한 무망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영향 (The Impacts of Social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and Hopelessness in Depression among Low-Income Residents)

  • 엄태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59-85
    • /
    • 2006
  • 본 연구는 우울증에 대한 무망감 이론을 근거로 하여 저소득층의 외상과 스트레스 같은 부정적 생활 경험과 매개변인으로 제안된 무망감을 통하여 우울증이 유발되는지를 확인하고, 이 구조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세 이상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수급권자와 자활후견기관과 연계된 차상위계층 175명이다. 연구결과, 저소득층의 스트레스는 무망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스트레스와 무망감은 우울증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우울증에 대한 무망감 이론을 근거로 제안된 스트레스는 무망감을 매개변인으로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스트레스가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과 무망감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층의 무망감과 우울증에 대한 실천개입의 강조와 정신건강증을 위한 함의들이 논의되었다.

  • PDF

소득 계층별 의료비 부담의 추이와 정책과제 (Changes in financial burden of health expenditures by income level)

  • 김태일;허순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3-48
    • /
    • 2008
  • Although the universal health insurance,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have improved access to health care and financial burden of health care costs for Koreans, limited coverage of the NHI leads to high out-of-pocket payment for health care. This study examines financial burden of household health expenditures by income level. Data from the Urban Household Expenditure Survey from 1985 through 2005 is analyzed and household expenditure is used as a proxy measure for income. Health expenditures include spending for inpatient care, ambulatory care and pharmaceuticals. If a household spends health expenditure above 40% of household consumption except for foods, that is defined as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ccess to health care for the lowest income group had been improved for two decades relative to other income groups as well as in absolute term. However, both financial burden of health expenditures and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that experience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had been increased in the lowest income group. Study findings have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irst, in terms of financial burden of health expenditures. the differences among income groups decreased until 2000 but it was worsen in 2005. This suggests that recent policies for extending NHI coverage are not enough to improve the disparity by income level. Second, a differential catastrophic coverage by income level would be an effective strategy that relieves financial burden for low income group. Third, since the catastrophic coverage is applied to only covered services by the NHI, additional strategy for uncovered services should be considered.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성별에 따른 요통 및 좌골신경통 관련 요인 (Gender Differences in Relating Factors of Low Back Pain and Sciatica in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 김보혜;김옥수;김아린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04-517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in risk factors and sleep, depression, and mobility of Korean elderly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and sciatica. Methods: Data were derived from the 2011 Korean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Participants included 10,674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 group of elderly subjects with low back pain and sciatica and the group of elderly subjects without low back pain and sciatica were compared according to gender. Result: Age, monthly income, exercise, arthritis, osteoporosis, and providing caring support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low back pain and sciatica in elderly male subjects. On the other hand, monthly income, living arrangement, arthritis, osteoporosis, providing caring support, and television watching time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in elderly female subjec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mobility according to low back pain and sciatica were observed in both genders. Conclusion: Risk factors for low back pain and sciatica in elderly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Low back pain and sciatica showed an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d mobility.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for nursing intervention for low back pain and sciatica.

저소득 우울 여성 독거노인 대상 긍정심리.해결중심 통합 집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ing, and Testing the Effects of a Group Program for the Low Income Depressed Elderly Women Living Alone, Which Integrated Positive Psychology and Solution-Focused Therapy)

  • 이현주;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3호
    • /
    • pp.101-131
    • /
    • 2014
  • 본 연구는 저소득 우울 여성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와 해결중심의 기법을 통합한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주관적 안녕감을 구성하는 삶의 만족도, 긍정 정서, 부정 정서, 그리고 우울의 측면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와 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해결중심의 기법을 동화적 방식으로 통합하여 저소득 우울 여성 독거노인에게 적합하도록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매 90분씩 주 1회로 10주간 10회기 진행되었으며, 효과 검증을 위하여 유사 실험설계의 비동일 비교집단 설계가 사용되었다. 실험집단은 긍정심리 해결중심 통합 집단 프로그램 참여집단이고, 비교집단1은 과거에 노인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입증된 집단회상 프로그램 참여집단이며, 개입 없이 기존과 동일하게 재가복지서비스만 받는 집단은 비교집단2로 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심리 해결중심 통합 집단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삶의 만족도와 긍정 정서는 높아졌으며, 부정 정서는 낮아져 주관적 안녕감이 향상되었고 우울은 감소하였다. 또한, 집단회상 프로그램과의 효과 비교에서 프로그램 종료 5주 후와 11주 후에도 변화가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어 프로그램의 효과와 효과의 지속성이 검증되었다.

  • PDF

동화를 이용한 음운인식활동이 저소득층 초등 방과후 교실 1, 2 학년 아동의 읽기, 학습동기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ies Using Story Books : Effects on Reading, Self-Concept, and Learning Motivation in an After-School Program for 1st and 2nd Grade Low Income Children)

  • 이지현;김유정;이정아
    • 아동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23-141
    • /
    • 2006
  • The phonemic awareness program included construction of 45 activities emphasizing various sounds in speech and letter names using a storybook. The subjects were thirty 1st and 2nd grade low-income(15 experimental and 15 control group) children attending an after-school program in Seoul. Pre- and post-tests assessed children's reading, self-concept, and learning motivation.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had rich opportunity to deal with and discuss sounds, syllables, phonemes, and the Korean alphabet names during storybook reading, games, and play over a 12 week period, while the control group children were provided with worksheets, subject tutoring, and homework guidance. Results showed that the phonemic activities were an effective and useful way to enhance children's reading ability, self-concept, and learning motiv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