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4초

벌노랑이로부터 Rhizobium loti 의 분리 동정 및 그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lhizobium loti from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 소병인;이강련;윤경하;고상균;이영록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50-455
    • /
    • 1992
  • 대전 지역에서 자생하는 벌노랑이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의 뿌리혹으로부터 생장속도가 빠른 (fast-growing) 5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공생균주들은 형태적, 생리적 특성 및 뿌리혹형성 실험을 통하여 이 균주들은 Rhizobium loti 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로 접종시킨 벌노랑이 유식물에서 뿌리혹을 형성하였으며,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정상적인 성장을 하는 것으로 보아 질소고정능을 갖는 (effect) 뿌리혹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유도된 뿌리혹으로부터 재분리된 공생균주의 형태절 특성 및 항생제 내성에 대한 조사로부터 이들 뿌리혹은 1차 분리균주에 의해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Lotus corniculatus 에서도 질소고정능을 갖는 뿌리혹을 형성하였다. 분리균주 중 R. loti TUS2, TUS5 그리고 TUS8 은 calcofluor-binding exopolysaccharide(EPS) 를 생성하였다.

  • PDF

韓國産 벌노랑이 (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 Leguminosae ) 잎의 靑酸生成 多型現狀 (Cyanogenoc polymorphism in the leaves of loc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leguminosae) in the south korea)

  • Moon, Tae-Yo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1호
    • /
    • pp.75-80
    • /
    • 1992
  • The populations of the legume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were polymorphic for the character of leaf cyanogenesis. The distribution of the related phenotypes was investigated at ten different sites scattered in south Korea. The frequencies of leaf-cyanogenic plants were respectively and in percentage (the number of the samples) ; ch'onmasan(2 sits) 98.00%(200), 99.44%(180); ch'onggyesan 92.30%(104) ; myongjisan 97.00%(100); songnisan 98.00%(100); kyeryongsan 92.50%(120) ; chilgapsan 91.82%(110); hwasan 96.00(100); chirisan(2 sites) 46.67%(105),68.59%(156): χ2=309.25, df=9, p 0.001. the factors that may be responsible for the distribution of the phenoytypes are discussed.

  • PDF

야생화초지 혼파조합을 위한 몇 가지 잔디형 및 야생화 초종의 초기생육과 개화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arly Growth and Anthesis Characteristics of Some Turf Type Grasses and Wildflower Species for Mixture Combination of Wildflower Pasture)

  • 이병철;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3-182
    • /
    • 2007
  • 본 연구는 야생화 초지조성을 위한 잔디형 목초 및 야생화초종의 선정과 혼파조합구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탐색하고자 몇 가지 잔디형 목초와 야생화초종을 공시하여 초기생육, 경엽 및 근중, 건물수량, 개화특성 및 기호성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공시초종은 잔디형 목초 5종{Kentucky bluegrass(Midnight), tall fescue(Millennium), perennial ryegrass(Palmer III), redtop(Barricuda) 및 creeping bentgrass(Crenshaw)}과 야생화 11종{Chrysanthemum leucanthemum L., Coreopsis lanceolata L., Rudbeckia bicolor Nutt., Dianthus chinensis L., Chrysanthemum lindicum L.,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Veronica linariaefolia Pallas, Aster koraiensis Nakai., Chrysanthemum zanadskii var. latilobum(Maxim.) Kitamura, Lythrum anceps Makino 및 Iris nertschinskia. Lodd}을 공시하였으며,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초지시험포장에서 2005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공시된 잔디형 목초 중에서 상대적으로 야생화와 혼파가능성이 큰 초종은 Kentucky bluegrass이었으며, Kentucky bluegrass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초기생육이 왕성하고 경엽과 근중이 높아 야생화초지를 조성하는 데 유리할 것으로 보이는 야생화는 Chrysanthemum leucanthemum L.,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ura 및 Lythrum anceps Makino 등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야생화는 꽃색, 개화시기 및 개화지속기간 등이 서로 중복되지 않았으며 가축에 의한 기호성도 대체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야생화초지의 조성을 위해서는 잔디형 목초는 야생화와의 경합력이 낮은 초종을, 반대로 야생화는 경합에서 유리한 초종을 선발하되 개화특성이 서로 다른 야생화를 다양화하여 혼파조합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야생화 도입 초지의 생육특성, 식생비율 및 동물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Botanical Composition and Fauna Distribution of Wildflower Pasture)

  • 김득수;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3-246
    • /
    • 2001
  • 본 연구는 국산 야생화초지(Native wildflower p pasture: NWP, turf grass 6종 + 국산야생화 11종) 및 외국산 야생화초지(Introduced wildflower pasture; IWP, turf grass 6종 + 외국산야생화 9종)를 조성하여 계절별 개화시간, 개화지속 정도, 꽃의 색깔, 식생변화 및 초지에서의 동물상 등을 조사 분석하여 야생화초지의 개발에 필요한 초종 선발 및 구성, 혼파조합 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은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초지 시험포장에서 1997년 8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야생화의 개화는 5월에서 9월까지 연속적으로 유지되었으며 꽃색깔은 비교적 다양하게 유지 되었다. 국내산 야생화의 경우 개화기간이 가장 긴 것은 벌노랑(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이었고, 원추리(Hemerocallis fulva), 범부채(Belamcanda chinenis),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등은 발아 및 정착이 느려 문제가 있었다. 외국산 야생화의 경우 국내산 야생화에 비해 초기생육 및 정착이 양호했으며, 꽃색깔도 화려하게 유지되었으나 기생초(Coreopsis tinctoria), 서양톱풀(Achillea millefolium), 원추천인국(Rudbeckia bicolor) 등은 초고가 크거나 강력한 지하경으로 우정되는 경향이었다. 2) 야생화 초지(NWP, IWP)의 적합한 turf grasses 는 계절별로 고른 식생을 유지한 tall fescue, perennial ryegrass, Kentucky bluegrass라 생각된다. 3) 국산 야생화초지의 식생분포는 톱풀(Achillea sibirica) > 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 패랭이꽃(Dianthus chinensis) > 질경이 (Plantago a asiatica) >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 제비꽃(Viola mandshurica) >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 얼치기완두(Vicia tetasperma) > 매듭풀(Lespedeza s st$\psi$ulacea) > 원추리(Hemerocallis fulva) 순이었다. 봄철과 여름철에는 톱풀이, 가을철에는 벌노랑이가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으며 계절별로 일정한 분포를 유지한 것은 민들레였다. 한편, 외국산 야생화초지는 서양톱풀(Achillea millefolium) > 기생초(Coreopsis tinctoria) > 끈끈이대나물(Silene armeria) > 금계국(Coreopsis lanceolata) > 원추천인국(Rudbeckia bicolor) > 서양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 수레국화(Centaurea cyanus) > 데이지( (Chrysanthemum leucanthemum) > 서양패랭이꽃(Dianthus petraeus) 순 이었다. 봄철에는 끈끈이대나물이, 여름철에는 서양톱풀이 가을철에는 기생초가 가장 높은 식생분포를 나타내었다. 3년 평균 총 야생화의 식생분포는 외국산 야생화초지가 국 산 야생화초지에 비해 2.27배 정도 높은 분포를 보여 다양한 국산야생화 초종도입과 선발 및 순도 높은 종자의 확보가 국산 야생화초지를 보급을 위해 우선적으로 선결해야할 과제라 하겠다. 4) 야생화 초지(NWP, IWP)는 관행 혼파초지나 하번초 혼파초지에 비하여 동물상이 다양하고 많게 분포되었으며 그중 외국산 야생화초지의 동물 개체수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야생화 초지는 봄부터 가을까지 야생화가 지속되었고, 양서류 및 곤충의 개체 수가 증가되었던 것으로 보아 야생화 초지의 공익적인 측면에서의 활용 가능성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국산 야생화초지를 널리 보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생 야생화의 생육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선발해야하고 재배증식을 통한 순도 높은 총자의 확보와 보급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干拓地 植物의 無機營養素 蓄積에 對하여 (On the Accumulation of Minerals with the Plant Species in a Reclaimed Land)

  • Min, Byeong M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1호
    • /
    • pp.9-18
    • /
    • 1990
  • For reaserching the factors of plants micro-distribution, accumulation of 5 minerals-total-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sodium and calcium-for 19 plant species was investigated in reclaimed land, in western coast of Korea, In the five minerals, sodium contents were quite different among the species. Plant species were divided into 4 groups based on the sodium accumulation and accumulation site in plant tissue: Na accumultion type above-ground part>below-ground part : Triglochin maritimum, Chenopodium virgatum, Atriplex subcordata, Salicornia herbacea, Suaeda japonica, suaeda asparagoides, Limonium tetragonum, Aster tripolium, Artemisia scoparia, Sonchus brachyotus above-ground partbelow-ground part : Zoysia sinica, amagrostis epigeiosa bove-ground part

  • PDF

한국에서의 오이모자익 바이러스의 기주범위에 관한 연구 (Studios on the Host Range of Cucumber Mosaic Virus in Korea)

  • 정봉조;박해철;이순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85-192
    • /
    • 1975
  • 가. CMV의 기주조사결과, 43과 145종을 공시하여 27과 71종이 기주로 판명되었으며 그중 24두 57종이 Systemic mosaic을 나타내었다. 나. CM V의 새로운 기주로 확인된 식물은 쇠별꽃 쇠무릎, 아게라탐, 중대가리풀, 천인국, 지칭개, 씀바귀, 그늘취, 유채, 다닥냉이, 수염가래꽃, 좀명아주, 실사초, 깨풀, 새콩, 벌노랑이, 팥, 큰기린초, 들깨풀, 들깨, 개곽량, 아마, 주름잎, 버어베나의 24종이 판명되었다. 다. 다른 연구자의 보고에는 감수성으로 나타났으나 본 시험에서 음성으로 나타난 식물은 양파, 맨드라미, 당근, 쑥, 과꽃, 망초, 해바라기, 만수국, 봉선화, 양배추, 배추, 스위트알리슘, 무, 고구마, 대두, 강남콩, 나팔백합, 양귀비, 수수, 밀, 옥수수, 소루쟁이, 채송화 등 23종이었다.

  • PDF

옥상녹화를 위한 몇몇 야생초본류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on of Wild plants for the Rooftop Revegetation)

  • 문석기;이은엽;곽문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1-39
    • /
    • 200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appropriate wild plants on the rooftop. For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s, 14 wild plants(12 korean native wild plants and 2 naturalized wild plants) were chosen. A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wild plants growing on the culture soil(perlite) Among the 14 kinds of wild plants, such as Chrysanthemum boreale, Taraxacum mongolicum, Aster Koraiensis, Aster yomena, Oenothera odorata, Oenothera lamarckiana, Patrinia scabiosaefolia showed good effects on growth of above ground parts. Therefore, these plants will effective for the rooftop revegation. Callistephus chinensis and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showed good height growth, wherase covering rate was worst. Chrysanthemum boreale, Platycodon grandiflorum, Patrinia scabiosaefolia were plant height, wherase covering rate was not good. A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wild plants growing on the culture soil(vermiculite) Taraxacum mongolicum, Aster Koraiensis, Oenothera lamarckiana, Aster yomena showed good effects on growth of above ground parts. Consequently, korean native wild plants such as Taraxacum mongolicum, Aster Koraiensis, Aster yomena and naturalized wild plants such as Oenothera odorata, Oenothera lamarckiana were effective wild plants for rooftop revegetation.

옥상녹화용 야생초본류와 적정 파종량에 관한 연구 (Optimal Amount of Seeding and Wild Herbaceous Plants for the Rooftop Revegetation)

  • 이은엽;신병철;조태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12호
    • /
    • pp.1009-101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appropriate wild herbaceous plants on the rooftop. For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s, 14 wild herbaceous plants were chosen. A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wild herbaceous plants growing on the culture soil(perlite) Among the 14 kinds of wild herbaceous plants, such as Chrysanthemum boreale, Taraxacum mongolicum, Aster Koraiensis, Aster yomena, Oenothera odorata, Oenothera lamarckiana, Patrinia scabiosaefolia showed good effects on growth of above ground parts. Therefore, these plants will effective for the rooftop revegetation. Callistephus chinensis and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showed good height growth, wherase covering rate was worst. Chrysanthemum boreale, Platycodon grandiflorum, Patrinia scabiosaefolia were plant height, wherase covering rate was not good . For the expected number of seedings more than 3,000 per square meter, many seedings got withered to death while the survivors were suppressed to grow slow in the early stage due to the densityproblem.

특이산성토의 중화처리기법에 따른 생태적 녹화 (The Ecological Vegetation by the Neutralizing Treatment Techniques of the Acid Sulfate Soil)

  • 조성록;김재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7-59
    • /
    • 2019
  • This study was composed of four treatments [no treatment, phosphate + limestone layer treatment, phosphate + sodium bicarbonate + cement layer treatment, and phosphate + sodium bicarbonate + limestone layer treatment] for figuring out vegetation effects on the acid drainage slope. Treated acid neutralizing techniques were effective for neutralizing acidity and vegetative growth in order of [first: phosphate + sodium bicarbonate + limestone layer treatment, second: phosphate + sodium bicarbonate+cement layer treatment, third: phosphate + limestone layer treatment and fourth: no treatment] on the acid drainage slope. We found out that sodium bicarbonate treatment was additory effect on neutralizing acidity and increasing vegetaive growth besides phosphate and neutralizing layer treatments. In neutralizing layer treatments, Limestone layer was more effective for vegetation and acidity compared to cement layer treatment. Cement layer showed negative initial vegetative growth probably due to high soil hardness and toxicity in spite of acid neutralizing effect. Concerning plants growth characteristics, The surface coverage rates of herbaceous plants, namely as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and Coreopsis drummondii L were high in the phosphate + sodium bicarbonate + limestone layer treatment while Festuca arundinacea was high in the phosphate + sodium bicarbonate + cement layer treatment. We also figured out that soil acidity affected more on root than top vegetative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