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tus Pond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8초

연 재배지를 활용한 자유수면형 인공습지의 수질정화효율 (Treatment of Pollutants in Free Water Surface Constructed Wetlands with Lotus (Nelumbo nucifera) Cultivation Pond)

  • 한명자;서동철;강세원;이용철;방석배;채정현;김갑순;박종환;장남익;허종수;조주식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4호
    • /
    • pp.232-238
    • /
    • 2010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pollutants in free water surface constructed wetlands (FWS CWs) with lotus (Nelumbo nucifera) cultivation pond, the experiment was consisted of two sites (site I and II) in Lake Juam, Korea. The sites were configured a lotus cultivation pond (with fertilizer application) - a dropwort bed - a reed bed for site I, and a lotus cultivation pond (without fertilizer application) - a dropwort bed - a reed bed for site II. Removal rate of COD in site I and II were 13.3% and 26.0%, respectively. Removal rate of total nitrogen (TN) was 29.7% for site I, and 36.3% for site II. Removal rate of total phosphorus (TP) in site I and II were 36.0% and 36.5%, respectively. COD, TN and TP in effluent from site I (with fertilizer) was higher than that in site II (without fertilizer), showing that COD, TN and TP in effluent were strongly influenced by fertilizer addition. 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established water-quality standards, the amount of fertilizer used in lotus cultivation showed be evaluated.

차문화와 예절에 관한 연구: 연지화개기호차를 중심으로 (A Study on Tea Culture and Manner: focused on the Blooming Lotus Pond Tea)

  • 이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8권3호
    • /
    • pp.1-14
    • /
    • 2004
  • This is a historical study of the tea culture and its manners after checking the origin of the tea culture in Korea. Also I created the Blooming Lotus Pond Tea which can be utilized in various meetings or at homes in connection with the tea culture and etiquette by studying good manners, clothing and light refreshments in 'Kyucongyogyul' by Lee-E, 'Karyejibramdo' by Kim Jang-Seng and other books of the Chosun Dynasty. I created the Blooming Lotus Pond Tea by referring to the tea-ceremonies described in the poems by Hong Inmo, his wife, Lady Suh, and her descendants. They can be better harmonized with the modem tea culture rather than the strict procedures of traditional court ceremonies or marriage, funeral, and other formal tea ceremonies. About the costumes of the nobilities, that is especially referred to Kyukmongyogyul by Lee-I of the Chosun Dynasty for the etiquette, also 'The Living Manners' by Professor Lee Gilpyo and Choi Baeyong. In addition, the tea-food is made based on 'the five elements'. The Blooming Lotus Pond Tea is made of frozen lotus flowers and prepared in the lotus formed broad-rimmed tea-utensils and supposed to be shared with family members or guests. It's recommended to hold a poetry-party with a tea-party. At present, this kind of daily tea ceremony is being developed at homes. It'll be desirable if it could recreate the traditional way as a ceremonial tea culture. In that case, it'll regain the quality of the traditional etiquette by harmonizing tea culture and manners. Such a tea culture can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people's ordinary life and the identity of our country.

  • PDF

조선왕릉 연지(蓮池)의 특성과 전형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Model of Lotus Pond in Joseon Royal Tombs)

  • 고승관;구본학;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16-123
    • /
    • 2011
  • 본 연구는 조선왕릉 연지보존 및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로 고문헌(춘관통고, 광릉지)에 그 기록이 남아 있으며,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된 남양주 광릉, 효릉, 김포 장릉, 숭릉의 연지를 대상으로 형태, 재료, 구조 및 공법, 식생적 특성 및 전형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조선왕릉 연지형태는 평면적으로는 방지원도형 혹은 방지형이며, 크기는 가로 7.5~81m, 세로 6.5~45m, 섬의 직경은 8~16m, 수심은 0.5~1.2m, 단면은 연지의 밑 부분은 좁고 윗부분으로 갈수록 넓은 형태로 조성되었다. 연지바닥은 진흙이 쓰인 것으로 볼 때 흙이 주재료이며, 연지의 구조 및 공법은 토축으로 들여쌓은 지안이 전형으로 보이며, 물의 입수와 배수는 암거수로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지식생은 현재 많은 수종이 재식되어 있으나, 문헌과 현황을 비교해 보았을 때, 연지 내부는 연꽃, 연지 주변은 소나무 전나무 기타 화훼류 그리고 섬 안은 소나무가 재식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궁궐 연지를 비교한 결과, 형태와 식생적인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장대석이라는 재료의 차이에 따라 그 구조 및 공법에도 차이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릉 연지의 특성을 분석하고 전형을 구명함으로써, 향후 조선왕릉 연지를 재현하는데 기본적 준거를 제공하였다는 긍정적 측면이 있다.

한국 전통사찰의 인공지 연구 (A Study on the Ponds of the Korean Traditional Temples)

  • 권태철;홍광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0-9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ponds appeared in the Korean traditional temples. Summarize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appeared that the location of ponds of the Korean traditional temples is, in general, in both the entry space and transitional space of temple. And it is considered that such configurations of the location of ponds were done intentionally in order that the ponds should have a significance as same as the concept that a natural mountain stream separates the sacred place and the secular world. Second, since the size of the ponds appeared in the temples are considered to be what is transformed from the original one, it is hard to understand the real size. However, it is judged that since ponds we see at present played an element of the total space of a temple it is deemed that no significant change of the size of ponds have happened if the size of the structure a temple itself has ever changed. Third, it appeared that the forms of the temple's ponds are diversified in a square, oval, egg-shaped one, round shape(circle), natural shape, etc. and it is identified that most of the ponds inspected for this study appeared to be in shapes of an oval, egg-shaped one, and round shape which take a typical curve. Fourth, regarding the temples whose origins are from the Baekje dynasty or Shilla dynasty among the objects of this case study, there appear some uniform styles for each temple respectively. For example, in both the Junglim Temple's twin pond(定林寺 雙池) and the Mireuk Temple's twin pond(彌勒寺 雙池) which were built in the Baekje dynasty appears a twin-pond in a square shape, and in the Bulkuk temple(佛國寺), Haein temple(海印寺), Tongdo temple(通度寺), etc. which were built in the Silla dynasty appears the ponds in an egg-shape one. Fifth, regarding the function of the ponds appeared in the temples, the ponds are characterized with a lotus pond(蓮池), reflecting pond(影池), and pond complex(蓮 . 影池). In consideration of the 20 ponds in the 15 places of this study's object, there are 8 lotus ponds(蓮池), 6 reflecting ponds(影池), and 6 ponds complex(蓮 . 影池).

  • PDF

조선시대 한양에 조성된 관영의 연지에 관한 연구 -동지, 서지, 남 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overnment-controlled Lotus Ponds Constructed in Han-Yang during Chosun-Dynasty)

  • 전영옥;양병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3-63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nds which were artificially constructed around the castle gate of Han-yang, the capital in Chosun-Dynasty.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on landscape history, it is necessary to have a field survey and to collect and analyze historic documents. But this study was based on the historic documents published in Chosun-Dynasty because no relics of ponds are found nowadays. There Tong-ji(eastern pond) outside of the East Gate, Seo-ji(western pond) outside of the West Gate and Nam-ji(southern pond) outside of the South Gate. They were constructed as lotus ponds and managed by the landscape management office, called Chang-weon-seo in the ministry of Industry. Tong-ji and Nam-ji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geomantic principles. In case of Seo-ji, the situation of construction differed from Tong-Ji in some points. As for the shape of Seo-ji, it was a rectangular pond and had an islet in the middle where flowering plants had been planted. These ponds were enjoyed by the people lived in Han-yang because they were located near the street. Particularly, people in Han-Yang enjoyed the beautiful scenery of lotus flowers planted in the ponds.

  • PDF

남원 몽심재(夢心齋)의 정원구성과 조형언어 해석 (A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and Garden Language of Mongsimjae in Namwon)

  • 노재현;최영현;신상섭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1호
    • /
    • pp.32-45
    • /
    • 2014
  • 본 연구는 문헌 및 현장조사를 통해 전북 남원 몽심재의 공간구성과 정원 조형언어의 특성을 고찰한 것으로 특히 정원내 존치된 거석과 연당내 바위글씨를 중심으로 한 분석과 해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당호(堂號) "몽심재(夢心齋)"에는 죽산(竹山) 박씨(朴氏) 중시조인 송암(松菴) 박문수(朴門壽)의 귀거래(歸去來)와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선비정신이 오롯이 새겨져 있다. 사랑마당에 조성된 연당(蓮塘)은 몽심재의 조영자 '연당(蓮堂) 박동식(朴東式)'을 상징하는 정원시설이며, 후원과 연결된 대나무동산은 몽심재 주인의 본관(本貫) '죽산'과 무관해 보이지 않는데 이러한 의도는 화계(花階)를 통해 외원(外園)을 정원 내 자연스럽게 끌어들이고 있음에서도 엿보인다. 사랑채의 좌향은 축좌미향(丑坐未向)인데 비해 안채와 대문채는 서쪽으로 편향 배치시킨 것은 연당으로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하는 동시에 사랑마당에 존치된 거석으로 인한 폐쇄감을 완화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정원요소로 적극 활용된 3기의 거석에 음각된 바위글씨 '존심대(存心臺)'는 이곳이 남원 입향조 행촌(杏村) 박자량(朴子良) 이래 남원 홈실에 정착한 죽산 박씨가 '수심 양성의 터'임을 일러주며, '정와(靖窩)'는 몽심재의 3대 가주(家主) '정와 박해창(1876~1933)이 거처하는 편안한 집'임을 알리는 낙관(落款)으로 이해된다. 연당내 중도(中島)는 절삭(切削)된 정사각형 형태로, 수위에 따라 '섬' 또는 '디딤돌'의 2가지 용도로 활용되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중도 측면에 새겨진 바위글씨를 통해 연당의 명칭이 '천운담(天雲潭)'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호안 마감석에 새겨진 바위글씨 '임리(臨履)'는 "시경(詩經)"의 구절을 인용한 것으로 '항상 자신의 처신에 신중을 기하는 올곧은 선비가 되라'는 뜻을 함축하며, '정축(渟?)'은 죽산 박씨의 재화가 영원히 머물기를 희구하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덧붙여 '천창애(千蒼崖)'는 후원 화계와 연계된 대나무숲을 '하늘로 치솟은 푸른 대나무 숲 언덕'에 비유하는 것으로 '곧은 성정으로 욕심을 비우자'는 가주의 가치관이 담긴 것으로 판단된다. 궁극적으로 거석과 연당에 바위글씨는 몽심재와 주인 죽산 박씨가 올곧은 성정과 하늘의 도움으로 충만한 부귀를 지속하라는 염원을 담는 상징적 조형언어로 해석된다.

한성부 동촌(東村) 어의동지(於義洞池) 일대의 환경 특성과 장소적 의미 (A Study on Environmental Traits and Significance of Eouidongji Pond(於義洞池) Area in Dongchon(東村), Hanseong-bu(漢城府))

  • 길지혜;손용훈;황기원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4
    • /
    • 2017
  • 본 연구는 고지도에서 한성부 성내 동쪽인 '동촌(東村)'에 표기된 못의 환경 특성과 장소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여러 문헌과 지도 자료를 검토하여 못의 명칭을 정리하였고, 연구에서는 그중 국가 공식기록과 지리적 명칭을 따라 '어의동지(於義洞池)'로 명명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입지 및 환경 특성을 보면 어의동지 일대는 도성 내에서 전원적 정취가 있는 지역이었다. 산자락 계곡부 물이 많이 모이는 지대에 있었고, 약 2천 평 정도의 필지 안에서 수위에 따라 못 경계가 변화하였다. 둘째, 조성 배경을 볼 때 어의동지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못을 국초 도성 내 수체계를 관리하면서 함께 정비한 것으로 보인다. 유수지 역할과 함께 연(蓮) 관련 부산물을 진상하는 연지(蓮池)로 운영되었고, 인근에 별궁이 활발히 이용되면서 함께 관리된 것으로 판단한다. 20세기 초 이미 매몰된 상태였고, 연지를 다시 수축하고자 했으나 식민지기 학교 부지로 편입되며 소멸하였다. 셋째, 어의동지는 개인이 완상하거나 멀리서 조망하며 자연경관 일부로 감상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동촌에 진입하는 가로 가까이 있는 진입경관이었고, 주변 다른 행락지와 연계해 방문하기 좋았다. 어의동지의 입지 및 환경 특성, 조성 및 소멸 배경과 시대별 운영 관리, 당대의 이용과 경관 감상의 특성을 고찰한 결과, 어의동지는 국가적으로는 도성 내 수체계를 보완하면서 국용 연 수확물을 제공할 수 있는 실용적 가치가 높은 못이었다. 또한, 도시환경 차원에서는 넓은 면적으로 펼쳐진 수평적 랜드마크이자 효과적인 경계지물이었다. 그리고 한성부 지역민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열린 장소였고, 접근성이 높아 공공적 가치도 높았다.

연지(蓮池)로 본 성혈사 나한전 꽃살문양의 생태미학과 상징성 (An Ecological Aesthetics and Symbolism of the Seonghyelsa Nahanjeon Floral Lattice with Patterns of Lotus Pond Scenery)

  • 노재현;이다영;최승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60-171
    • /
    • 2018
  • 꽃창살은 사찰경관을 구성하는 조형요소이며 조망시점이 외부에서 형성되는 장식적 경관요소라는 인식 아래, 경북 영주시 성혈사 나한전의 꽃창살에 표현된 연지의 생태미학적 특성과 도입된 소재의 상징성을 분석 해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나한전 정칸 창호에는 사각형 2개가 연속된 문틀 등 비목재 부분을 제외하고 총 176개의 순수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그 중 중문 어칸(御間) 문살의 기본 개념은 전통정원에서 방지(方池)를 상징하는 연지의 설계언어로 판단된다. 창살 어칸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식물인 연꽃은 '청정(淸淨)'과 '불염(不染)' 그리고 불교의 극락세계인 연화장세계로 인식되며 꽃창살에 묘사된 연꽃은 생성소멸의 특징을 담은 다채로운 형태로 펼쳐져 있어 불연일체(佛蓮一體)의 경관상(景觀像)이 잘 드러나고 있다. 또한 네가래와 벗풀은 실제 연못 주변에서 발견되는 수생식물로 생태적 측면에서도 연지의 수생태계와도 부합되는 사실적 표현일 뿐 아니라 물총새, 백로, 왜가리 등 날짐승의 표현은 정적인 수생태계에 동세와 활력을 불어넣고자 한 생태미학적 발상이다. 또한 동자승을 비롯하여 수(壽) 부(富) 귀(貴) 다남(多男) 등의 기복사상을 구현하고자 한 것으로 판단되는 물총새, 기러기(백로), 물고기, 참게, 개구리 그리고 용 등 7개 분류형의 동물들과 식물이 공생하는 연지풍경을 꽃창살에 연출하였다. 성혈사 나한전 어칸의 꽃창살은 연과 연잎의 생성과 소멸, 서식처의 생태적 적지(敵地), 공생과 먹이연쇄 등 수생태계 측면에서도 매우 부합되는 표현으로 가득하며 이는 상징과 생태미학의 총화이자연지 풍경의 총합적 어울림이다.

백제와 아스카(飛鳥)의 원지구성(園池構成) (The Garden Ponds of Baekje and Asuka)

  • 백지성;김진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3-133
    • /
    • 2018
  • The historical exchange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have broadly occurred, in terms of both political and cultural aspects,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Regarding ancient gardening culture, in particular, Asuka developed gardens with the gardening techniques passed down by the Baekje people. The development of the basic form of a garden pond along with its characteristics, established through such exchanges, is suggested by investigating its components through analysis of data from the gardens of Baekje and Asuka. In terms of the garden pond structure, homogeneity was confirmed between Baekje and Asuka, with a linear rectangular form as the basic design. In addition, the vertical construction technique was used by both ancient kingdoms. In terms of the types of stone used in building the shore of the garden pond, Baekje used diverse types such as natural stone, crushed stone, and cut stone. In contrast, rounded river stone was used by Asuka. Regarding the floor of the garden pond, Baekje used soil, which enabled the planting of lotus flowers. In contrast, Asuka used stones to pave pond floors, which made the growth of plants impossible. In terms of layout, Baekje used ornamental stones for pond landscaping, while Asuka used manmade island and water intake facilities in their pond construction. The effects of Baekje's garden culture on Asuka's garden building can be seen from its influence on the form of the garden pond and shore construction style.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the garden pond's shore with the same stones and the stone flooring, the garden ponds of the Asuka Kingdom reveal technically unified and refined aspects.

통도사에 나타난 수공간의 의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ticular intention with water space of Tong-do temple)

  • 조남두;김수영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8-1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ite layout of Buddhist Architicture by water space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 is identified; We knew that land scape of Buddhist Architecture is intentional device. Example from the Tong-do Temple, it leads cleary the intention of water-space. The case of Tong-do Temple, water space is divided into Yeon-ji(lotus pond) and the Yeong-gi(shadow pond) and Gye-ryu(mountain stream). The viewing intention of Gu-Ryong-ji where Yong-ji the construction intention characteristic is positive it was intended there is a possibility of knowing.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it is limited in case of the Tong-do Temple tries to search a concrete instance. but on this outside many multiple architectural space uses water space and It creates the space where it leads the harmony of architecture and intention it was plentifully inclu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