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 quotient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친환경농업의 공간적 확산 양상과 그 지리적 함의 (Spatial Diffusion Patterns of the Organic Farms in Korea and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 현기순;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7-39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농업공간에 나타나는 변화의 공간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특히 세계화에 따라 가속되는 농산물 시장개방과 함께 안전한 먹거리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부상하고 있는 친환경농업의 공간적 확산 양상과 그 지리적 특징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농가와 친환경 농가의 공간적 분포 양상에 나타나는 변화를 분석하고, 특히 친환경농가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입지계수(LQ: Location Quotient)와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2000년의 경우 우리나라의 친환경농업의 주요 집적지가 수도권과 충청권을 중심으로 분포하여 매우 불균등하게 나타났으나 2005년에는 전라권과 경상권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특정지역의 공간집중이 비교적 완화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친환경농가 분포에 작용하는 지리적 변수들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2005년 현재 친환경농업 분포는 농가 경영자의 연령, 농업관련 사업 경영농가, 농가의 정보화, 농가 경영자 교육수준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 PDF

평택항 개항에 따른 배후 지역의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a hinterland according to the opening of a Pyeongtaek port)

  • 신영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16-435
    • /
    • 2013
  • 1986년에 개항된 평택항은 국제무역항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평택항의 배후 지역인 평택시는 도시와 농촌이 공존하는 지역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평택항 개항에 따른 평택시의 지역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평택항과 지역 간 평균 거리(23.7km) 기준으로 인구와 지가의 변화를, 입지 계수를 통해 산업별 지역별 산업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인구와 산업별 종사자수는 평택항에 가까울수록 증가율이 높았으며, 지가 상승률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입지 계수로 보면, 제조업은 촌락 지역인 읍 면 지역에서, 3차 산업은 도시 지역인 동 지역에서 특화가 이루어졌다.

  • PDF

포칼 입지계수를 이용한 중심지 성숙도 평가 (Assessing the Maturity of Central Place Using Focal Location Quotients)

  • 이병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21-228
    • /
    • 2013
  • 도시계획이나 상권분석 등의 분야에서, 중심지의 성숙도와 같은 중심지에 대한 평가는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해 고려하여야 할 중요한 정보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대한 2004년과 2009년의 전화번호부 업종 데이터 중 대표적인 소매업종인 소매, 생활서비스, 음식업의 세 업종을 선택하여 중심성 지수와 입지계수를 구했다. 중심성 지수와 세 개의 소매업종에 대한 입지계수로부터 각각 중심지의 성장, 쇠퇴, 성숙을 파악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중심지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어떤 중심지에 대해서 세 소매업종에 대한 입지계수를 비교하여 성장지역인지, 쇠퇴지역인지, 아니면 성숙지역인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중심지의 평가 결과는 상권분석에서 업종의 선택이나 출점 가능 여부 판단과 같은 업무에서 중요한 지표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nalysis of Economic Development Based on Environment Resources in the Mining Sector

  • NAZIR, Munawir;MURDIFIN, Imaduddin;PUTRA, Aditya Halim Perdana Kusuma;HAMZAH, Nasir;MURFAT, Moch Zulkifl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6호
    • /
    • pp.133-14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conomic potential of the regions from the mining sector of North Morowali, Central-Sulawesi, Indonesia, and the formulation of pro-business regional development management that aims to create synergy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mining sector entrepreneurs. This study uses a descriptive qualitative approach by taking data in the form of primary data from FGD and secondary data observations from statistical bureau data in the North Morowali, Indonesia. The analysis unit uses SWOT analysis to determine the economic potential of the North Morowali and Location Quotient (LQ) to analyze the economic potential of the mining sector. The research period covers one year (2018-2019) in North Morowali, Indonesia. All the mining products have considerable potential as a financing unit in North Morowali, while mining potential has not been maximally exploited. The absence of regulations, facilities such as road access, and optimal land and sea transportation are the causes of the difficulty of optimization and access to explore mining products comprehensively. As a new province at Central Sulawesi, more efforts and the role of government are needed to focus attention to North Morowali as an area with great potential in the mining sector.

제조업종의 지역별 산업성장 및 고용효과 분석 (Analysis of Industry Growth and Employment Effect in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by Regions)

  • 구훈영;민대기
    • 경영과학
    • /
    • 제34권1호
    • /
    • pp.15-25
    • /
    • 2017
  • We evaluated industry growth and employment effects of every possible pairs of 22 manufacturing sectors and 16 regions (i.e, 352 region-sectors). We used annual data of manufacturing sectors from 2008 to 2014 for the evaluation. The evaluation comprises of two steps; We first find several region-sectors that outperform others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industry growth and employment, which are measured by location quotient analysis, shift share method, employment to GDP ratio and employment elasticity. In addition, cross-efficiency analysis follows to classify region-sector pairs into two sub-categories : efficient region-sectors that deserve to hold the current level of investments and inefficient region-sectors where we should consider efficiency improvements. To examine the efficiency, R&D investment, employment size, and capital investment were used as input factors and production volume, added value, changes in employment size, changes in annual salary per capita were used as output factors. For region-sector pairs that have outstanding growth and employment effects but are inefficient, we employed a CCR DEA model and analyzed how much to adjust the values of input and output factors to improve the efficiency score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efficiency is mainly due to several factors such as R&D investment, changes in employment size and changes in annual salary per capita.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충청지역 산업분석 (Industry Analysis of Chungchong area Using Regional Inter-Industry Table)

  • 임응순;정군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361-1368
    • /
    • 2009
  • 본 연구는 충청지역를 대상으로 하여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산업선정과 투자우선순위 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RAS기법을 이용하여 2005년 전국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2006년 전국산업연관표를 작성한 후에, 입지계수법을 이용하여 2006년 충청지역산업연관표를 작성하여, 충청지역의 각종 파급효과들을 분석하였다.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분석결과는 제조업부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취업유발효과의 경우 음식점 및 숙박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감응도계수는 광업, 영향력계수는 제조업부문에서 높게 분석되었다.

기대빈도를 활용한 새로운 상대집중지수의 제안 (A Study of Developing a Relative-Specialization Index Using Expected Frequence)

  • 남기성;오민홍;홍현균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4호
    • /
    • pp.581-588
    • /
    • 2008
  • 본 연구는 기존의 순위만 고려하는 집중도를 보완하여 기대빈도를 이용한 새로운 상대집중지수 NOHI(Nam-Oh-Hong Index)를 제안하고, 이를 지역별 직업별 종사자 수에 적용함으로써 지역별 특화 직종 분포에 활용하는데 있다. 지역 간 특화정도를 보여주기 위해 개발된 입지계수(LQ)의 경우, 해당산업의 지역 내 비중을 상대적으로 고려하지 못함에 따라 지역 내 특성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NOHI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산업 및 직종의 지역간 지역내 특화도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NOHI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서울은 경영 회계 사무관련직의 특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산은 기계 재료관련직의 특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UD 위치와 컬러의 변화에 따른 뇌 활성화 지수 분석 (Analysis of Brain activity quotient change of HUD location and Color)

  • 왕창원;정화영;나예지;민세동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1397-139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뇌파를 이용하여 자동차에 HUD를 적용하였을 때, HUD의 위치와 이미지 컬러 변경 시 뇌 활성화 지수(Brain Activity Quotient)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뇌파데이터는 Fp1, Fp2, O1, O2 총 4채널에서 얻었고, HUD위치는 좌측, 중앙, 우측으로 구성하였고 컬러는 초록, 주황, 빨강 총 3가지 색상을 사용하였다. HUD이미지의 크기는 $8{\times}4.5cm^2$로 구성하였다. 뇌 활성화 지수는 상대파워분석(Relative power analysis)를 사용하여 Slow beta wave(13~20 Hz)/alpha wave(4~7.99 Hz)로 계산하였다.

  • PDF

Analysis of Integration and Growth Factors for Maritime Industry -With focus on Jeollanamdo Province-

  • Kim, Un-Soo;Kim, Hwa-Young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2-133
    • /
    • 2019
  • The maritime industry has emerged as a new growth engine. The municipalities that own the port are trying to add value through the maritime industry. Overseas port cities are also creating maritime industrial clusters to generate profits and strengthen competitivenes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mparative status of the domestic maritime industry by region.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possible to establish maritime industrial clusters and strategies for integr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maritime industry located in Jeollanamdo province,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literature, the maritime industry was reclassified into 5 major categories, 21 subcategories, and 84 subcategories. Based on the reclassified maritime industry, the analysis of the Jeollanamdo province maritime industry was based on applying the location quotient and the shift-share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Jeollanamdo province, other industries showed the highest value of 2.790, followed by fisheries (2.227), shipbuilding industry (1.164) and marine tourism industry (0.554). The growth effect of the maritime industry in Jeollanamdo province was 35,323 people, and net growth effect excluding national growth effect was 11,945 people. In particular, the net growth effect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was the highest at 11,320, followed by shipping logistics (6,371) and marine tourism (1,529).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net growth effect in fishe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aritime industrial cluster for Jellanamdo province in the future.

해양공간의 현안진단 및 정책지원 필요성에 대한 사례연구 : 인천지역 해양특화산업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Need for Diagnosis of Current Issues and Policy Support in Marine Space: Focusing on the Specialized Marine Industry in Incheon)

  • 이정은;정민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1158-116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사례연구 대상지역(인천)의 특화산업에 대해 LQ지수분석을 통해 해양특화산업을 도출하고, 특화산업의 해양공간 활용현황과 용도구역 설정에 따른 현안을 진단하였다. 대상지역의 해양산업에 대한 LQ지수(Location Quotients, LQ) 분석을 통해 사업체수 기준 LQ지수 1.08, 종사자수 기준 LQ지수 1.67로 전국평균 대비 높은 해양바이오산업을 인천지역 해양특화산업으로 선정하였다. 해양특화산업인 해양바이오산업의 현안진단을 위해 영흥도 실증 배양장 사례 검토 및 가장 낮은 특화도를 나타낸 해양에너지개발 부문에서의 현안 진단을 통해 해양용도구역의 중첩문제, 이해관계자간 민원발생 이슈 등 현장문제 해결을 위해서 객관적이고 정량적 근거를 기반으로 정책의사결정지원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