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government officials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1초

방글라데시 해안지대 기후변화에 따른 영세 어업인 생계 위험 경감 방안 (Livelihood Risk Reduction for Artisanal Fisheries Communities due to Climate Change in Coastal Area of Bangladesh)

  • 강경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41-346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n alternative income generation (AIG) for local artisanal fisheries communities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of Bangladesh, which i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To analyze the problems of local artisanal fisheries caused by climate change, field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ishermen and government officials were conducted. Livelihood risk factor (LRF) in the marine fishing sector included reduction of fishing days and fish production and damage to fishing vessels and fishing gear due to cyclone and sea-level rise. LRF in the aquaculture sector included cultured fish escape, reduction of aquaculture production, and water pollution due to Monsoon flood. A common challenge for two sectors was high interest rate on commercial loans. Small-scale tank aquaculture is recommended as AIG for securing income of artisanal fisheries communities. In the early stages of dissemination of small-scale tank aquaculture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prevent fishermen from struggling to repay high-interest rate loans through technology transfer and facility support by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The aquaculture training center, along with the technical education, will also contribute toward expansion of local distribution network and marketing support to establish a value chain for local artisanal fisheries communities.

재난 신화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Disaster Mythology)

  • 김만재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31-39
    • /
    • 2007
  • 재난 신화란 "과학적으로 실시된 연구 결과를 통해서 잘못이라고 입증된, 재난 발생시 인간 행동에 관한 믿음"으로서, 이제까지 재난 연구자들은 무수한 재난 신화를 발견하였다. 49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에서도 공포, 약탈, 범죄, 대피, 무력감 등의 재난 신화에 대한 믿음이 널리 퍼져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약탈을 제외하고 공무원들은 일반인들보다는 재난 신화를 믿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성은 공포와 대피 신화를 믿는 비율이 높았고, 연령별로는 노인층이 대피와 무력 신화, 20대와 30대는 약탈 신화를 믿는 퍼센트가 높게 나타났으며, 방재 관련 부서에 근무한 경험이 있는 공무원들이 그렇지 않은 공무원들보다 공포, 약탈, 범죄 신화에 관한 믿음이 낮을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재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재난 신화에 대한 연구가 선행 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19세기 동래 지역의 관영공사조직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Government-managed Constructions at Dongnae Province in the 19c)

  • 김숙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9권
    • /
    • pp.165-189
    • /
    • 2006
  • 관영공사조직 연구는 당대 공사현황을 조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틀이며 주로 집행조직의 특징을 규명함으로써 공사주체를 파악하고 공사체제의 일면을 살펴보고자 하는 문헌고찰 중심의 연구이다. 지방의 관부시설(관사, 읍성 등)은 급속한 근대화와 시가지 변경으로 파괴되어 존재근거조차 멸실되었거나 잘못 알려진 것도 적지 않다. 관련기록이 있었다 하더라도 불교사원이나 향교 등과 같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주체가 존속하지 못하였고 전국적으로 총합된 읍지류의 한정적인 자료에 의지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필자는 관영공사의 특성상 공사의 승인, 감독 등 공사행정절차가 수반되었음에 착안하여 공문류와 관련사료를 고찰하고 지방의 관영공사 사례연구를 시도한 것이다. 동래지역은 대규모 관영공사사례가 많았던 지역적 특수성과 비교적 잘 남아있는 지방사료를 통해 관부시설의 규모와 조영배경을 파악할 수 있었고 변경된 현재의 유구를 해석하는 기본적인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정 시기 자료가 잘 남아있는 19세기 동헌과 동래부성의 관영공사사례를 통해 공사규모와 전개과정을 밝혔다. 지방의 관영공사는 자체적인 수습구조로 전개되었고 향촌사회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동시에 반영하고 있었다. 동래 지역은 변방의 군사집결지로서 각 영진의 관영공사가 많았고 목재수급과 인력조달은 상호 협조체제로 이루어졌다. 관영공사의 집행조직은 공사감독, 내부사무, 물자조달 등의 역할을 담당하였고 대규모 토목공사인 축성공사의 경우 역소별로 감독, 사무, 물자조달, 기술자 등으로 구성되며 관부의 모든 조직이 동원되어 편성되었다. 이와 같은 조직편성은 직접적인 건축기록이라기보다 공사행정에 따른 공문서이기 때문에 건축적인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일면을 도출해내기는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향후 이러한 부분들이 보다 많은 사료발굴과 다각적인 연구의 축척으로 종합적인 관영공사의 실체를 이끌어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일 지역사회 일반직 공무원의 정신건강지식, 정신건강상태, 정신건강복지센터 및 정신건강사업에 대한 인식조사 (The Perception of Mental Health Literacy, Mental Health Status,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and Mental Health Business and of among Local Public Officials)

  • 김민자;장경오;이승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639-650
    • /
    • 2020
  • 본 연구는 일 지역사회 일반직 공무원의 정신건강지식, 정신건강상태,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정신건강사업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조사대상은 G시 일반직 공무원 76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2019년 10월 1일부터 2019년 10월 26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IBM SPSS 24.0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 대상자의 정신건강상태는 '심각한 스트레스' 28.1%로 가장 많았고, 정신건강지식의 평균 점수는 40.21점으로 보통보다 낮았으며, 정신건강상태의 평균 점수는 1.66점으로 매우 낮아 정신건강상태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인지 여부에서 44.6%가 '들어본 적이 없다'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정신건강사업의 경우 정신 건강 상담의 전화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가 57.0%로 가장 많았으며, 정신건강 혹은 정신질환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로 'TV'가 65.2%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정신건강 및 정신질환 관리를 위한 정부예산 증가는 85.0%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전문인력을 활용하여 일반직 공무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정신건강 증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교육과 홍보가 지속적으로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from a Japanese Angle

  • Takeuchi, Satoru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87-295
    • /
    • 2011
  • The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was introduced into Japan in 1935. After World War II, it was widely disseminated among young librarians by the education for librarianship developed in the 1950's. Its concept, "Books for All," met a serious opposition from local authorities based on their long continued concept of "preservation." After they realized that people eagerly use local libraries, they interpreted that the duty of public library was "lending books." They introduced "Privatization" of libraries into quite a few local libraries in order to save money. For overcoming problems, it is important to disseminate the library concept among the public, the assembly members and government officials planning to change their attitude of disregarding libraries. As the fundamental library philosophy, the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is important. In the commentary of the Five Laws written by the present writer, he included an illustration of triangle pyramid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ve Laws. He included here the spiral of study on the library and the library science, based on the Section 814 of the Five Laws. He welcomes discussions on his Japanese angle from different viewpoints in order to develop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Five Laws.

민선 4기 자치단체장의 평가와 발전방향 - 대전.충남.충북 공무원들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Evaluation and Directions for the 4th Local Government Head Being Elected by Popular Vote - Focus on the Perception in DeaJeon, ChungNam and ChungBuk -)

  • 최호택;류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347-356
    • /
    • 2008
  • 본 연구는 민선4기 자치단체장의 평가와 발전방향 모색을 위하여 대전, 충남, 충북 지역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12.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및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광역자치단체장이 당선되는데 가장 큰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이, 정당(34.3%), 인물(29.7%), 바람(23.1%) 순으로 응답결과가 도출되었다. 둘째, 광역자치단체장이의 리더십 형태를 조사한 결과, 대전광역시 소속 공무원들은 대전광역시 시장의 리더십이 권위형 리더십(56.9%)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충청남도의 경우에는 민주적 리더십(64.8%)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충청북도의 경우에도 민주적 리더십(59.6%)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셋째, 향후 필요한 리더십 특성으로는 고도의 합리성(24.7%), 따뜻한 포용력(23.8%), 과감한 추진력(20.9%)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도정 운영방식에의 만족도를 분석해보면, 만족하는 편(44.7%)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광역자치단체장의 부하 공무원 통솔능력에 대해서는 충청남도와 충청북도가 대전광역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하는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주민들의 의견 수렴정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대전광역시와 충청북도에 비해 충청남도 공무원들이 주민의견 수렴을 많이 하는편이라고 응답하였다. 일곱째, 지역국회의원과의 소통정도의 경우에도 대전광역시에 비해 충청남도와 충청북도 공무원들이 소통이 잘되는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여덟째, 의회와의 관계는 전반적으로 원활한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 기초자치단체의 조정 및 통합 능력은 충청남도의 경우 압도적으로 많은 응답자가 잘하는편이라고 대답하고 있었다.

진해현감 이제마와 그에 대한 당대의 평가에 관한 연구 - 관측(官側) 사료 『각사등록(各司謄錄)』 「통제영계록(統制營啓錄)」과 『외안(外案)』 및 『진해군읍지(鎭海郡邑誌)』 「관적읍선생안(官蹟邑先生案)」을 중심으로 - (A study of Lee Jema as the governor of Jinhae with a focus on his official evaluations and on the Joseon Dynasty official documents of Separate Office Formal Records (各司謄錄), Ruling Management and Instruction Records (統制營啓錄), Employees Documents (外案), the Town Chronicle of Jinhae (鎭海郡邑誌), and A Roster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官蹟邑先生案))

  • 최성운;황지혜;하동림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9-97
    • /
    • 2020
  • We discovered various sides of Lee Jema's tenure as the governor of Jinhae by looking at recently found historical materials of the central government of Joseon. Lee Jema went to his appointed post in Jinhae in February of 1887 and was replaced before the termination of his office in June of 1888. Since his replacement did not immediately arrive at Jinhae, Lee Jema continued to perform his duties until the first half of 1889.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te of his resignation and the arrival of his replacement reveals why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disagree about when he left office. After Lee Jema's official resignation in June of 1888, he was appointed to the honorary posts of Naegeumjang and Cheomji, which indicates the termination of his career as an official. Two superior officials conducted job assessments on Lee Jema three times during his service (once every six months) and these are the rare evaluations which were performed during his lifetime. Lee Jema was highly regarded in terms of job competency by two superiors in succession, which was unique for a local government official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e of the job assessments referred to the potential of his performance as an official which usually implied that he was a suitable candidate for higher rank. This might have derived from Lee Jema's study of statecraft. Lee Jema's love for the people as an official was also mentioned in one of the job assessment reports. This is borne out by his quelling the revolt of Hamheung Province in 1896.

도시숲의 환경거버넌스 현황과 방향성에 관한 연구 : 지자체 담당자의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Environmental Governance around Urban forest in Korea : With a Focus on the Recogni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 김재현;태유리;장주연;김경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580-589
    • /
    • 2010
  • 우리나라는 사회 경제적 성장과 함께 삶의 질을 추구하는 국민들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도시숲은 시민들의 생활환경의 질을 높여주는 대표적인 요소로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조성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도시숲 조성 관리에 있어 정부, 주민, 기업, 시민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기대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숲을 둘러싼 환경거버넌스의 핵심 주체라고 할 수 있는 행정을 중심으로 앞으로 요구되는 거버넌스의 방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행정의 담당자들은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한 도시숲의 조성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며, 이것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협의체의 구성과 지원시스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이 도시숲 조성 관리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서 호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복지예산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시·군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Determinant - Factors of the Budget for the Aged Welfare - Focused with the Local Governments of Cities & Counties in Jeollabukdo -)

  • 김성수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907-923
    • /
    • 2008
  • 본 연구는 고령화시대를 맞이하여 노인복지 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를 사례로 선정하고 각종 통계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군의 경우에는 사회경제적 요인인 노인인구비율과 인구규모가, 정치행정적 요인인 공무원의 수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점증적 요인은 시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정적 요인은 군의 경우, 1인당 세출예산액이 부의 영향을 나타냈다. 종합적인 분석에서 도의 경우에는 정치행정적 요인이, 군의 경우는 재정적 요인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노인복지예산 확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면 첫째, 노인복지예산의 혁신적인 확충이 이루어져야 하며, 더불어 노인복지예산은 중앙정부나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의존도가 높으므로 지역간 복지수준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 보조금의 지원이 유지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노인인구의 비율이 높은 군의 경우에는 노인복지의 행정수요를 반영한 예산이 확충되어야 한다. 끝으로, 군지역은 노인문제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어 공무원의 수가 노인복지예산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Digital Diplomacy via Social Networks: A Cross-National Analysis of Governmental Usage of Facebook and Twitter for Digital Engagement

  • Ittefaq, Muhammad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8권1호
    • /
    • pp.49-69
    • /
    • 2019
  • Over the last couple of years, digital diplomacy has become a fascinating area of research among Mass Communication, Peace and Conflict Studies, and International Affairs scholars. Social media and new technology open up new avenues for governments,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o engage with foreign audiences. However, developing countries' governments are still lacking in the realization of the potential of social media.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sage of social media (Facebook & Twitter) by the two biggest countries in South Asia (Pakistan and India). I selected 10 government officials' social media accounts including prime ministers', national press offices', military public relations offices', public diplomacy divisions', and ministries of foreign offices' profiles. The study relies on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and a comparative research approach. The total number of analyzed Twitter tweets (n=1,015) and Facebook posts (n=1,005) include 10 accounts, five from each country. In light of Kent and Taylor's (1998) dialogic communication framework, the results indicate that no digital engagement and dialogue occurs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and the public through social networking sites. Government departments do not engage with local or foreign audiences through digital media. When comparing both countries, results reveal that India has more institutionalized and organized digital diplomacy. In terms of departmental use of social media, the digital diplomacy division and foreign office of India is more active than other government departments in that nation. Meanwhile, Pakistan's military public relations office and press office is more active than its other government departments. In conclusion, both countries realize the potential of social media in digital diplomacy, but still lack engagement with foreign aud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