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control rate Pattern of failur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7초

온라인 목록 검색 행태에 관한 연구-LINNET 시스템의 Transaction log 분석을 중심으로-

  • 윤구호;심병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1권
    • /
    • pp.253-289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bout the search pattern of LINNET (Library Information Network System) OPAC users by transaction log, maintained by POSTECH(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entral Library, to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of OPAC system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period of this analysis, there were totally 11, 218 log-ins, 40, 627 transaction logs and 3.62 retrievals per a log-in. Title keyword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but accession number, bibliographic control number or call number was very infrequently used. Second, 47.02% of OPAC, searches resulted in zero retrievals. Bibliographic control number was the least successful search. User displayed 2.01% full information and 64.27% local information per full information. Third, special or advanced retrieval features are very infrequently used. Only 22.67% of the searches used right truncation and 0.71% used the qualifier. Only 1 boolean operator was used in every 22 retrievals. The most frequently used operator is 'and (&)' with title keywords. But 'bibliographical control number (N) and accessionnumber (R) are not used at all with any operators. The causes of search failure are as follows. 1. The item was not used in the database. (15, 764 times : 79.42%). 2. The wrong search key was used. (3, 761 times : 18.95%) 3. The senseless string (garbage) was entered. (324 times : 1.63%)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search success rate as follows. First, a n.0, ppropriate user education and online help function let users retrieve LINNET OPAC more efficiently. Second, several corrections of retrieval software will decrease the search failure rate. Third, system offers right truncation by default to every search term. This methods will increase success rate but should considered carefully. By a n.0, pplying this method, the number of hit can be overnumbered, and system overhead can be occurred. Fourth, system offers special boolean operator by default to every keyword retrieval when user enters more than two words at a time. Fifth, system assists searchers to overcome the wrong typing of selecting key by automatic korean/english mode change.

  • PDF

주타액선에서 발생한 선양낭세포암종의 방사선치료성적 (Treatment Results for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Major Salivary Gland)

  • 이상욱;김귀언;박정수;최은창;이강규;박원;서창옥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7-202
    • /
    • 2002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al feature of adenoid cystic carcinoma (ACC) in the major salivary gland.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undertaken for 23 patients with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major salivary gland, who complet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at the Yonsei Cancer Center, Yonsei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y 1981 and December 1999.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1. Median age was 50. Follow up periods were 12-180 months with the median follow-up time of 59 months. Results: Parotid gland, submandibular gland and sublingual gland were 17, 5 and 1 respectively. Overall failure rate was 26%. Local failure was observed in two patients with parotid gland origin. Five cases showed distant failure. Overall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 were 68% and 72% respectively. Conclusion: Major pattern of failure was distant failure. Resection margin status had not prognostic significance. Postoperative radiation treatment is an effective to control in the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major salivary gland.

비소세포성폐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Treatment of Unresectale Non-Small-Cell Lung Cancer with Curative Radiotherapy)

  • 김일한;하성환;박찬일;심영수;김노경;김건열;한용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권2호
    • /
    • pp.203-211
    • /
    • 1984
  • From 1979 to 1982, 80 patients with unresectable non-small-cell lung cancer without metastasis were treated with high-dose radiotherapy to the primary and to regional lymph nodes with or without supraclavicular lymphatics in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Of these, 56 patients$(70\%)$ were completely evaluable, and 59 patients$(74\%)$ had squamous cell carcinoma, 13a large cell undifferentiated carcinoma and 831 adenocarcinoma. 21 patients$(26\%)$ had Stage II and 59 patients$(74\%)$ had Stage III. The complete and partial response rate in the high-dose$(\approx\;6,000\;rad)$ radiotherapy was $70\%\;with\;19\%$ complete response. 69 patients$(86\%)$ failed in the treatment, by the failure pattern, $64\%$ had local failure alone, $35\%$ had local failure and distant metastasis and $1\%$ had distant metastasis alone. The failure rate in the thorax were $76\%$ in squamous cell carcinoma, $40\%$in adenocarcinoma and $20\%$ in large cell undifferentiated carcinoma Preliminary result shows that actuarial survival at 1, 2 and 3 years were $56\%,\;26\%\;and\;20\%$ in overall patients and $64\%,\;37\%\;and\;21\%\;in\;Stage\;II\;and\;54\%1,\;21\%\;and\;18\%$ in Stage III, respectively. Overall median survival was 14 months; 17 months in Stage II and 13 months in Stage m. 8 patients$(10\%)$ have lived a minimum of 2 years with no evidence of disease. There was no fatal complication confirmed to be induced by radiotherapy, so definitive high-dose radiotherapy was tolerated well without major problems and resulted in good local control and survival.

  • PDF

국소적으로 진행된 식도암에서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의 결과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n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ncer)

  • 변상준;김진희;김옥배;송홍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9권1호
    • /
    • pp.20-27
    • /
    • 2011
  • 목 적: 국소적으로 진행된 식도암에서 동시항암화학요법 후 국소제어, 생존율, 예후인자 및 실패양상에 대해 알아 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8년 8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국소적으로 진행된 식도암으로 진단받은 후, 근치적 목적의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50명 중 추적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2명과 적절한 추적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치료의 효과를 판정할 수 없는 5명은 제외한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별 구성은 남성 39명, 여성 4명이었고 연령분포는 43세에서 78세(중앙값, 63세), TNM 병기는 IIA기 7명(16.3%), III기 36명(83.7%)이었다. 방사선치료는 1.8 Gy씩 1일 1회, 주 5회로 방사선을 46~63 Gy(평균, 54 Gy)의 외부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선행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는 8명이었고 동시항암화학치료는 주로 5-fluorouracil, cisplatin을 3회 사용하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2개월에서 82개월로 중앙값이 15.5개월이었다. 결 과: 전체환자 43명 중에서 완전 관해는 9명(20.9%), 부분 관해는 23명(53.5%), 무반응 9명(20.9%), 진행이 2명(4.7%)이었다. 전체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15개월이었고, 2년 및 5년 전체생존율은 36.5%, 17.3%이었으며, 2년 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32.4%, 16%였다. 43영의 환자 중에서 22명 (51.2%)에서 치료 실패를 보였고, 치료 실패 양상으로는 국소 재발 및 진행이 18명(41.9%), 원격전이가 4명(9.3%)이었다. 전체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단변량분석상 항암화학방사선치료 시의 혈색소 수치 (${\geq}$12 vs. <12, p=0.02/p=0.1)와 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완전관해 및 부분관해 vs. 무반응 및 병의 진행, p=0.002/p<0.0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였다. 다변량분석에서는 치료에 대한 반응 여부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나이, 성별, 병기, 흡연의 과거력, 식도 내 종양의 위치 및 선행항암화학요법의 유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국소적으로 진행된 식도암의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 후 생존율은 다른 연구들과 유사한 수준이며 주된 재발 양상은 국소 재발이었다. 그러므로. 국소제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흉선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The result of Radiotherapy in Malignant Thymona)

  • 안성자;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225-230
    • /
    • 1990
  • 1979년부터 1987년까지의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흉선암으로 근치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2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전체환자의 3년생존율은 $80.5{\%}$, 3년 무병생존율은 $78.6{\%}$였다. 근무력증을 동반한 환자는 $43.5{\%}$였고 치료후 $40{\%}$ (4/10)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증상의 유무에 따른 3년생존율을 비교하여보면 각각 $90{\%}$, $78.8{\%}$였으며 근무력증이 예후에 나쁜 영향을 주는 인자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치료후 완전관해율은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는 $100{\%}$(3/3)인 반면,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는 $20{\%}$(3/15)였다. 완전관해율 및 부분관해율은($33{\%}$ vs $56{\%}$) $89{\%}$였고 이에 따른 3년생존율은 각각 $89.8{\%},\;81.7{\%}$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수술정도에 따른 치료실패율을 비교하여보면 절제가 가능한 환자에서는 치료실패가 없었으나, 절제가 불가능하였던 환자 15명중 4명에서 국소실패, 1명이 골전이 소견을 보였다. 국소치료실패가 대부분으로 원격전이율은 낮은 양상을 보였다.

  • PDF

두경부 선낭암의 생물학적 특성과 치료 (Biological behavior and Treatment of Adenoid Cystic Carcinoma in The Bead and Neck)

  • 오원용;조관호;서창옥;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권2호
    • /
    • pp.191-202
    • /
    • 1984
  • Biological behavior and treatment results of 33 patients with Adenoid Cystic Carcinoma (ACC) in the Head and Neck at Yonsei Cancer Confer for 10 years between 1971 and 1980 were retrospectively analysed. Most common, primary site was minor salivary glands such as maxillary sinus, nasal cavity and base of tongue. The typical biological behavior of these tumors was very slowly in growth with long time of duration(mean 19 months) from 1 month to 10 years and more frequent of nerve invasion but rare invasion of neck nodes. Local control and failure pattern in the results of treatment, 16 of 17 patients with irradiation alone were seen complete or partial response but 5 cases of locoregional recurrence, 2 cases of failure of neck node and 4 cases of distant metastasis as lung and brain. On the other hand, among 10 cases of surgery and postoperative irradiation, 2 cases of locoregional failure and 3 cases of distant metastasis as lung and bone. 2 of 4 cases with surgery alone were recurred within primary site. Actuarial overall NED survival at 3 ana 10 years were $52.6\%$ and $42.8\%$, respectively. Survival rate of 10 Patients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irradiation was more high than 17 Patients of radiation alone. Therefore, we have known that surgery with postoperative adjunctive irradiation is most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of adenoid cystic carcinoma in the head and neck. Primary site, treatment modality and with or without nerve ana bone invasion have influenced on prognosis.

  • PDF

조기유방암에서 유방보존치료와 유방전절제술의 치료결과 및 실패양상 비교 (Breast Conservation Therapy Versus Mastectomy - Preliminary Results of Pattern of Failure and Survival Rate in Early Breast Cancer)

  • 김연실;윤세철;정수미;유미령;정상설;최일봉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115-123
    • /
    • 2004
  • 목적 : 조기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치료(유방보존수술+방사선치료) 혹은 유방전절제술로 치료했던 환자의 초기 치료성적과 실패양상을 비교하고자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3월부터 1996년 8월까지 강남성모병원에서 AJCC병기 I, II로 치료를 받았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88명은 유방전절제술을 시행하였고 85명은 유방보존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50 Gy 전 유방조사 후 원발부위에 10$\~$15 Gy 추가 조사하였다. 유방보존치료 환자의 34.1%$\%$ 유방전절제 환자의 45.5$\%$에서 항암화학요법이 병용되었다 양 치료군의 5년생존율과 5년무병생존율, 실패양상을 비교하였으며 치료실패와 연관된 위험인자를 Log-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앙 추적기간은 63개월이 었다. 결과 : 양 치료군 간에 5년생존율, 5년무병생존율의 유의한 차이(p>0.05)는 없었으며 국소재발 및 원격전이의 치료실패양상에도 차이가 없었다. 추적기간 중, 유방전절제군에서 11명(12.5$\%$) 유방보존치료군에서 10명(11.8$\%$) 재발하였다. 초기 실패양상은 국소재발이 각각 6명, 5명이었고 원격전이가 각각 5명, 4명으로 차이가 없었다. 국소재발 단독의 경우 양 치료군에서 구제치료 후 대부분의 환자가 무병생존 (5/6 유방전절제술, 3/5 유방보존치료)하였다 그러나 원격전이 환자의 경우 양 치료군 모두에서 방사선-항암화학요법의 구제치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환자가 진행 혹은 사망하였으며 유방보존치료군의 1명의 환자만이 원격전이 후 구제치료에 성공하여 무병생존하였다. 양 치료군 간에 반대편유방암 발생률 및 다른 장기의 2차 원발암 발생률의 차이는 없었고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률도 차이가 없었다. Log-rank 단변량분석에서 치료 실패와 관련된 유의한 위험인자는 양 군 모두에서 N 병기, 액와 림프절 전이 숫자였으며 유방보존치료군에서는 수술절연침범유무가, 유방전절제군에서는 high nuclear grade가 치료실패와 관련된 위험인자였다(p<0.05). 결론 : 분석결과 AJCC 병기I, II 조기유방암에서 유방보존치료와 유방전절제술은 생존율뿐 아니라 치료 실패양상에도 차이가 없었으며 향후 이와 같은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장기간의 추적연구가 필요하다.

편도선 암의 방사선 치료 (Carcinoma of the Tonsillar Region -Results of External Irradiation-)

  • 성진실;김수곤;서창옥;김귀언;노준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4권1호
    • /
    • pp.29-34
    • /
    • 1986
  • 1971년 1월부터 1980년 12월까지 연세암센터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36예의 편도선암 환자군을 대상으로 후향성 분석을 통해 임상적 고찰 및 치료결과를 살펴 보았다. 환자의 $75\%$는 초진시 이미 진행된 병기에 속하였고, 청부 임파절 전이율은 $64\%$였다. 환자의 $19\%$에서는 양측성 경부 임파절 전이가 있었다. 3년 국소치유율은 $T_1$에서 $88\%$, $T_2$에서 $46\%$, $T_3$에서 $25\%$였고 $T_4$에서는 $11\%$에 불과했다. 경부 임파절 전이의 치유율은 $N_0\;와\;N_1$인 경우가 $87\%$였고 $N_2\;와\;N_3$에서 $16\%$로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원발병소와 경부 임파절 전이의 정도가 심할수록 예후가 좋지 않았고 전 환자의 3년 국소치유율은 $42\%$였다.

  • PDF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in high risk locally advanced gastric cancer

  • Song, Sanghyuk;Chie, Eui Kyu;Kim, Kyubo;Lee, Hyuk-Joon;Yang, Han-Kwang;Han, Sae-Won;Oh, Do-Youn;Im, Seock-Ah;Bang, Yung-Jue;Ha, Sung W.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0권4호
    • /
    • pp.213-217
    • /
    • 2012
  • Purpose: To evaluate treatment outcome of patients with high risk locally advanced gastric cancer after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3 and May 2012, thirteen patients who underwent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for gastric cancer with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or adjacent structure invasion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Concurrent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in 10 patients. Median dose of radiation was 50.4 Gy (range, 45 to 55.8 Gy). Results: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for surviving patients was 48 months (range, 5 to 108 months). 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42% and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28%. Major pattern of failure was peritoneal seeding with 46%. Locoregional recurrence was reported in only one patient. Grade 2 or higher gastrointestinal toxicity occurred in 54% of the patients. However, there was only one patient with higher than grade 3 toxicity. Conclusion: Despite reported suggested role of adjuvant radiotherapy with combination chemotherapy in gastric cancer, only very small portion of the patients underwent the treatment.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provided excellent locoregional control with acceptable and manageable treatment related toxicity in patients with high risk locally advanced gastric cancer. Thus,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may improve treatment result in terms of locoregional control in these high risk patients. However, as these findings are based on small series, validation with larger cohort is suggested.

투과성 필터를 이용하여 방사선 치료를 받은 부비동 및 비암의 치료 결과 (Result of Radiation Therapy of Sino-nasal Cancers Using Partial Attenuation Filter)

  • 김진희;김옥배;최태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2호
    • /
    • pp.118-124
    • /
    • 2007
  • 목 적: 투과성 필터를 이용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부비동 및 비암 환자에서 생존율 및 치료실패 양상을 분석하여 향후 치료계획을 할 때 도움을 주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2월부터 2002년 3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부비동 및 비암으로 진단받고 투과성 필터를 이용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1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의 성별분포는 남자가 9명, 여자가 8명이었으며 연령분포는 $40{\sim}75$세(중앙값 59세)였다. 비강암이 7명, 부비동암이 10명이었고 조직학적으로 편평상피세포암이 11명, 선양낭성암종이 4명, 후신경모세포종이 2명이었다. AJCC 병기에 따라 II기가 3명, III기가 7명, IV기가 7명이었다. 방사선치료단독은 5명,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12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일회 $1.8{\sim}2.0\;Gy$로 총 $44{\sim}76\;Gy$ (중앙값 60 Gy)를 조사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3{\sim}173$개월(중앙값 78개월)이었다. 결 과: 2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76.4%이었고 5년, 10년 생존율은 각각 76.4%, 45.6%, 5년, 10년 무병생존율은 70.6%이었다. 수술유무에 따른 5년 무병생존율은 수술을 시행한 군은 91.6%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은 20%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06). 병리 형태나 병기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5명(29%)의 국소재발률을 보였으며 원격전이는 없었고 수술을 요하는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결 론: 부비동 및 비암에서 투과성 필터를 이용한 방사선치료는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국소제어율을 높이기 위해 수술과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이 바람직하며 방사선 단독으로 치료할 때는 국소제어와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교한 치료계획을 통해 방사선량을 증가시키고 다학제 치료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