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ad Index

검색결과 978건 처리시간 0.031초

조기 위암의 내시경 영상 분석 시스템 (Analysis System of Endoscopic Image of Early Gastric Cancer)

  • 김광백;임은경;김광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73-478
    • /
    • 2005
  • 위암은 국내 암발생 및 사망률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기 위암의 발견은 치료 및 예후에 있어서 아주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조기 위암의 진단을 위해 위 내시경 영상에서 색상 변화를 이용해 이상 부위를 검출하여 검사자에게 조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어느 정도의 진행이 이루어진 염증과 암은 쉽게 판단할 수 있지만 조기의 염증이나 암의 경우에는 주의 깊게 보지 않는 경우에는 병변의 진단이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위 내시경 영상을 IHb 채널로 변환시키고 조명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며 자동으로 암 의심 영역을 검출하여 검사자에게 제공하거나 검사자에 의해 설정된 영역에 대한 조직적인 표면 정보를 제공한다. 본 논문의 연구는 추출된 이상 부위가 암을 확진할 수 없지만, 인간이 쉽게 인지하기 어려운 이상 부위(암 의심 영역)를 추출하여 검사자에게 주의를 요구함으로써 일 처리를 줄이고 부과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검사자가 지정한 영역에 대해서도 조직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제안된 위 내시경 영상 분석 방법의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제 내시경 영상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위 내시경 영상 분석에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프리스트레스트 경량 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에 대한 부분 프리스트레싱비와 유효 프리스트레스의 영향 (Effect of Partial Prestressing Ratio and Effective Prestress on the Flexural Behavior of Prestressed Lightweight Concrete Beams)

  • 양근혁;문주현;변항용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39-48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상부 2점 집중하중을 받는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을 부분 프리스트레싱 비와 긴장재의 유효 프리스트레스에 따라 평가하였다. 절건비중 1,770 $kg/m^3$의 경량 콘크리트 설계강도는 35 MPa이었으며, 항복강도 383 MPa의 일반 이형철근과 인장강도 2,040 MPa의 3연선을 각각 주 인장철근과 프리스트레싱 긴장재로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휨 내력은 부분 프리스트레싱 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지만 긴장재의 유효 프리스트레스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동일 휨 보강지수에서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무차원 휨 내력은 Harajli and Naaman 및 Bennet에 의해 실험된 프리텐션 보통중량 콘크리트 보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한편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변위 연성비는 부분 프리스트레싱 비의 감소와 함께 그리고 유효 프리스트레스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하중-변위 관계는 비선형 2차원 해석모델에 의해 적절하게 평가될 수 있었다. 또한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휨 균열 내력 및 최대 휨 내력은 각각 탄성이론 및 ACI 318-08의 등가응력블록과 긴장재의 응력평가 식을 이용하여 안전측에서 예측될 수 있었다.

항만구조물 지반지지력 산정을 위한 부분안전계수 결정 (Partial Safety Factors for Geotechnical Bearing Capacity of Port Structures)

  • 윤길림;윤여원;김홍연;김백운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56-162
    • /
    • 2010
  • 중력식 안벽 및 방파제 등은 편심 경사하중에 지배받는 항만구조물으로서 구조물 설계시 신뢰성이론에 근거하여 지반지지력 산정에 필요한 부분안전계수를 평가하였다. 현재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2005)에서는 구조물에 편심 경사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지반지지력을 간편 Bishop법 등에 의해 검토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설계규정은 설계자에게 지반의 허용지지력과 지반반력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그동안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지반반력에 의한 설계검토는 지지력 계산이 단순하고 편리하지만 지반의 허용지지력이 현장의 지반물성에 따라 변화하지만 단일수치로 결정하여 설계하므로 이러한 지반특성을 설계에 반영하지 못한다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간편 Bishop법에 의하여 Level 1 신뢰성해석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설계변수에 대한 부분안전계수를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신뢰성 이론인 일계신뢰도법(FOSM)을 통하여 신뢰도지수와 민감도지수를 추정하고 각각의 확률변수의 변동성도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연구결과에서 결정된 부분안전계수를 선진국의 설계기준에서 제시한 것과 비교하여 합리적임을 확인하였다.

음향방출을 이용한 무근콘크리트 보의 균열 발생원 탐사기법 (Crack Source location Technique for nam Concrete Beam using Acoustic Emission)

  • 한상훈;이웅종;조홍동;김동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07-113
    • /
    • 2001
  • 본 연구는 AE기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의 균열발생원 탐사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본 실험에 앞서 무근 콘크리트 블록에 모의 AE 발생원 실험을 실시하였다. 센서배치에서는 삼각형 결함원 탐사기법과 사각형 결함원 탐사기 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콘크리트 보에서는 삼각형 결함원 탐사기법이 사각형 결함원 탐사기법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콘크리트 보에 균열원 탐사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시험체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수준비(물-시멘트비)를 실험변수로 즉, 물-시멘트비를 40%, 50%, 50%로 하여 각각 3개씩 총 9개를 제작하였다. 콘크리트의 손상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하중재하방식은 반복 휭재하방식을 채택하였고, 파괴실험시 발생하는 AE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카이저효과와 펠리시티효과를 실험실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FR값을 분석한 결과 구조물의 열화도지수로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콘크리트 강도수준에 관계없이 최대하중의 70%대에서 AE의 활동성이 높아지기 시작함을 알 수 있었으며, 실구조물에 적용시 파괴경보시스템구축에 적용 가능한 하나의 인자로 사료된다. 한편, 실제 균열 발생위치와 결함원탐사방법을 비교한 결과 육안조사에 의해 주균열이 발생하기 전에 AE 모니터링으로 사전 감지가 가능하였다.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Are Associated with Viral Persistence and Downregulation of TCR ζ Chain Expression on CD8+ T Cells in Chronic Hepatitis C Patients

  • Zeng, Qing-Lei;Yang, Bin;Sun, Hong-Qi;Feng, Guo-Hua;Jin, Lei;Zou, Zheng-Sheng;Zhang, Zheng;Zhang, Ji-Yuan;Wang, Fu-She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37권1호
    • /
    • pp.66-73
    • /
    • 2014
  •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MDSCs)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airing the function of T cells. We characterized MDSCs in two chronic hepatitis C (CHC) cohorts: a cross-sectional group that included 61 treatment-naive patients with CHC, 14 rapid virologic response (RVR) cases and 22 early virologic response (EVR) cases; and a longitudinal group of 13 cases of RVR and 10 cases of EVR after pegylated-interferon-${\alpha}$/ribavirin treatment for genotype 1b HCV infection. Liver samples from 32 CHC patients and six healthy controls were subjected to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MDSCs frequency in treatment-naive CH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RVR, EVR, or healthy subjects an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CV RNA. Patients infected with HCV genotype 2a had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MDSCs than those infected with genotype 1b. Decreased T cell receptor (TCR) ${\zeta}$ expression on $CD8^+$ T cell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frequency of MDSCs in treatment-naive CHC patients and was restored by L-arginine treatment in vitro. Increased numbers of liver arginase-$1^+$ cell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histological activity index in CHC. The TCR ${\zeta}$ chain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on hepatic $CD8^+$ T cells in CHC. During antiviral follow up, MDSCs frequency i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was directly correlated with the HCV RNA load in the plasma and inversely correlated with TCR ${\zeta}$ chain expression in $CD8^+$ T cells in both RVR and EVR cases. Notably, the RVR group had a higher frequency of MDSCs at baseline than the EVR group. Collectively,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MDSCs might be associated with HCV persistence and downregulation of CD8 ${\zeta}$ chain expression.

UDT 플로우 간 공평성 향상을 위한 혼잡도 기반의 가용대역폭 추정 기법 (Congestion Degree Based Available Bandwidth Estimation Method for Enhancement of UDT Fairness)

  • 박종선;장현희;조기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7호
    • /
    • pp.63-73
    • /
    • 2015
  • End to end 데이터 전송프로토콜에서 가용대역폭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UDT (UDP based Data Transfer)는 송신자에서 주기적으로 보낸 패킷 쌍을 이용하여 수신자에서 현재 링크의 최대 전송 가능한 속도 (MTR: Maximum Transfer Rate)를 추정하고 송신자에서 EWMA 알고리즘을 통해 MTR을 결정한다. 가용대역폭의 크기는 MTR과 현재 전송속도 차이로 구하기 때문에 정확한 가용대역폭 추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MTR 추정이 우선시된다. 하지만 트래픽 영향으로 인한 혼잡상황에서 다수의 UDT 플로우가 경쟁하는 경우 심각한 공평성 문제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혼잡도를 기반으로 한 MTR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혼잡도는 병목구간에서 트래픽 영향으로 인한 혼잡상태를 나타내는 상대적인 지수이며 패킷 쌍들의 도착간격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그리고 혼잡도에 따라 EWMA 알고리즘을 세분화함으로써 실제에 근접한 가용대역폭 추정이 가능하다. Ns-2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 제안기법은 다수의 경쟁플로우가 동일 링크를 점유하는 상황에서 데이터 전송거리에 따라 UDT 보다 확연하게 높은 공평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Comparison of Single-Incision Robotic Cholecystectomy, Single-Incision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and 3-Port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 Postoperative Pain, Cosmetic Outcome and Surgeon's Workload

  • Kim, Hyeong Seok;Han, Youngmin;Kang, Jae Seung;Lee, Doo-ho;Kim, Jae Ri;Kwon, Wooil;Kim, Sun-Whe;Jang, Jin-Young
    •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 제21권4호
    • /
    • pp.168-176
    • /
    • 2018
  • Purpose: Robotic-associated minimally invasive surgery is a novel method for overcoming some limitations of laparoscopic surger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outcomes (postoperative pain, cosmesis, surgeon's workload) of single-incision robotic cholecystectomy (SIRC) vs. single-incision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SILC) vs. conventional three-port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3PLC). Methods: 134 patients who underwent laparoscopic or robotic cholecystectomy at a single center during 2016~2017 were enrolled. Prospectively collected data included demographics, operative outcomes, questionnaire regarding pain and cosmesis, and NASA-Task Load Index (NASA-TLX) scores for surgeon's workload. Results: 55 patients underwent SIRC, 29 SILC, and 50 3PLC during the same period. 3PLC patient group was older than the others (SIRC vs. SILC vs. 3PLC: 48.1 vs. 42.2 vs. 54.1 years, p<0.001). Operative time was shortest with 3PLC (44.1 vs. 38.8 vs. 25.4 min, p<0.001). Estimated blood los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postoperative stay were similar among the groups. Pain control was lowest in the 3PLC group (98.2% vs. 100% vs. 84.0%, p=0.004), however, at 2 weeks postopera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p=0.374). Cosmesis scores were also worst after 3PLC (17.5 vs. 18.4 vs. 13.3, p<0.001). NASA-TLX score was highest in the SILC group (21.9 vs. 44.3 vs. 25.2, p<0.001). Conclusion: Although SIRC and SILC take longer than 3PLC, they produce superior cosmetic outcomes. Compared with SILC, SIRC is more ergonomic, lowering the surgeon's workload. Despite of higher cost, SIRC could be an alternative for treating gallbladder disease in selected patients.

A vision-based system for long-distance remote monitoring of dynamic displacement: experimental verification on a supertall structure

  • Ni, Yi-Qing;Wang, You-Wu;Liao, Wei-Yang;Chen, Wei-Huan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24권6호
    • /
    • pp.769-781
    • /
    • 2019
  • Dynamic displacement response of civil structures is an important index for in-construction and in-service structural condition assessment. However, accurately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large-scale civil structures such as high-rise buildings still remains as a challenging task. In order to cope with this problem, a vision-based system with the use of industrial digital camera and image processing has been developed for long-distance, remote, and real-time monitoring of dynamic displacement of supertall structures. Instead of acquiring image signals, the proposed system traces only the coordinates of the target points, therefore enabling real-time monitoring and display of displacement responses in a relatively high sampling rate. This study addresses the in-situ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the developed vision-based system on the Canton Tower of 600 m high. To facilitate the verification, a GPS system is used to calibrate/verify the structural displacement responses measured by the vision-based system. Meanwhile, an accelerometer deployed in the vicinity of the target point also provides frequency-domain information for comparison. Special attention has been given on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light on the monitoring results. For this purpose, the experimental tests are conducted in daytime and nighttime through placing the vision-based system outside the tower (in a brilliant environment) and inside the tower (in a dark environment),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splacement response time histories monitored by the vision-based system not only match well with those acquired by the GPS receiver, but also have higher fidelity and are less noise-corrupted. In addition, the low-order modal frequencies of the building identified with use of the data obtained from the vision-based system are all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obtained from the accelerometer, the GPS receiver and an elaborate finite element model. Especially, the vision-based system placed at the bottom of the enclosed elevator shaft offers better monitoring data compared with the system placed outside the tower. Based on a wavelet filtering technique, the displacement response time histories obtained by the vision-based system are easily decomposed into two parts: a quasi-static ingredient primarily resulting from temperature variation and a dynamic component mainly caused by fluctuating wind load.

MR Damper의 Gap Size에 따른 제어성능 분석 (Analysis of Control Performance in Gap Size of MR Damper)

  • 허광희;전승곤;서상구;김대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41-5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MR Damper의 제어력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 중, 유로폭(Gap Size)을 다르게 선정하여 그에 따른 제어력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Gap Size 1.0mm, 1.5mm인 MR Damper 두 대를 제작하고 인가전류와 가진조건을 정하였으며 그에 따른 동하중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최소제어력은 Gap Size 1.0mm 조건이 Gap Size 1.5mm 조건보다 3.2배 높았으며 최대제어력은 Gap Size 1.0mm 조건이 Gap Size 1.5mm 조건보다 2.3배 높았다. 또한, 인가전류에 따른 제어력의 증가폭은 Gap Size 1.0mm일 때 34N, Gap Size 1.5mm일 때 12.7N으로 나타났다. Gap Size가 커질수록 전체 제어력과 인가전류에 따른 제어력의 증가는 감소하였다. 두 개의 MR Damper의 동적범위를 확인해 본 결과 Gap Size 1.0mm일 때 평균 2.3, Gap Size 1.5mm일 때 평균 2.8인 것을 볼 때 두 MR Damper의 준능동제어장치로써 사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허가차량 통행에 대한 교량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허가차량 분류 체계 개발 (Development of Permit Vehicle Classification System for Bridge Evaluation in Korea)

  • 유상선;김경현;백인열;김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845-856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분리불가능한 허가차량의 통행에 대한 교량의 안전성 평가 체계를 정립하여 제안하였다. 대상으로 하는 허가차량의 하중효과와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의 설계차량하중의 계수하중효과를 비교하여, 허가차량의 체계를 일상허가와 두 개의 특별허가로 분류하였다. 일상허가 및 특별허가 1에서는 일반차량과 동시 통행하도록 제안하였으며, 특별허가 2에서는 허가차량이 단독 통행하도록 제안하였다. 허가차량의 전후에 동시 통행하는 일반차량의 연행을 고려하기 위하여 도로교설계기준의 표준차로하중을 이용하여 허가 하중 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허가 하중 모형을 적용하여 공용중인 프리스트레스트빔교 및 강박스교의 구조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도로교설계기준의 하중·저항계수를 이용하여 허가하중 및 설계차량하중의 내하율 계산을 수행하였다. 교량 거더의 휨 및 전단에 대한 내하율 검토 결과 모든 차량하중의 내하율이 크게 계산되어 통행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허가하중 및 설계차량하중의 휨 및 전단에 대한 교량의 신뢰도해석을 수행하여 신뢰도관점에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로교설계기준의 하중·저항계수를 이용하여 허가하중에 대한 최소요구강도를 계산하였으며, 최소요구강도의 신뢰도해석을 수행하였다. 최소 요구강도의 신뢰도해석 결과 대부분의 허가차량에 대하여 도로교설계기준의 목표신뢰도지수를 확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