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supplement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6초

Potential of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to maintain oxidative stability of rooster seme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Jimoh, Olatunji Abubakar;Akinola, Micheal Olawale;Oyeyemi, Bolaji Fatai;Oyeyemi, Wahab Adekunle;Ayodele, Simeon Olugbenga;Omoniyi, Idowu Samuel;Okin-Aminu, Hafsat Ololad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1호
    • /
    • pp.46-57
    • /
    • 2021
  • Fruits with antioxidant enrichment can be an economically affordable supplement for mitigating oxidative damage prone spermatozoa membrane pathologies. Computer-assisted sperm analyzer and oxidative status were utilized to evaluate the impact of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fortification of dextrose saline as diluent for rooster semen and fertility response of hens inseminated. Watermelon juice and dextrose saline were used to formulate diluent of 7 treatments consisting of unextended semen (positive control), 10%, 20%, 30%, 40%, 50% and only dextrose saline (negative control) designated as Treatments 1-7. Pooled semen was obtained from fertile roosters and equilibrated with diluents at ratio 1:2 in the various treatments and were evaluated using computer software coupled microscope and seminal oxidative status assay. 168 laying hens randomly divided into 7 treatment of 8 replicates and 3 hen per replicate. Hen were everted, and semen (2 × 108 Spermatozoa) deposited intra-vagina and eggs collected over 8 weeks to assess fertility and hatchability of eggs laid. The result obtained revealed that watermelon-dextrose saline rooster semen diluent enhanced progressive motility, sperm kinetics and lowered non-progressive motility in T2-T6 compared to T7 over the 3 hours of evaluation. Watermelon addition to rooster semen diluent enhance the antioxidant capacity of rooster semen and lowered lipid peroxide generation. The percentage fertility was highest in T3 (81.01%) and T4 (81.24%) with lowest value obtained in T7 (73.46%). The hatchability of eggs set of hens inseminated with undiluted semen (71.46%) was lower than values for hens inseminated with watermelon inclusive extended semen (75.71%-80.39%). The optimal inclusion of 30%-40% watermelon in dextrose saline diluent enhance rooster semen kinetics, seminal oxidative stability and egg fertility.

Cooked broiler meat quality affected by different Mediterranean medicinal plants in the diet

  • AL-Hijazeen, Marwan A.;AL-Rawashdeh, Mustafa S.;Al-Rabadi, Ghaid J.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2호
    • /
    • pp.290-298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ng oregano (Origanum syriacum L.) and germander (Teucrium polium L.) to poultry diets individually and/or in combination: i) on cooked chicken meat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ii) to compare this effect with those of the synthetic antioxidant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and with the normal basic diet (Control: without supplements). Methods: Broilers (140 birds) were raised for 21 days and then equally divided into five different treatment groups of 28 birds each. The dietary treatments were as follows: i) control; ii) germander (GER, 1.5%); iii) oregano (ORE, 2.5%); iv) combination of GER and ORE (CM, 1.5%, and 2.5%); v) BHA (0.02%). Meat patties from the five treatments were prepared, cooked, and stored at 4℃ prior to analysis. During storage, samples were measured for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total carbonyl levels at 0, 4, and 7 days. In addition, cooked thigh meat was prepared separately to evaluate cooking loss and sensory attributes. Results: The CM dietary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effect, with decreasing TBARS values (breast and thigh meat) throughout the storage time (4 to 7 days). Furthermore, ORE showed a higher antioxidant effect, decreasing the rancidity development (TBARS values), compared to the GER during the storage period (days 0 to 7). The anti-carbonyl effect of the CM supplement was the highest among all treatments from day 0 to 7. Generally, the antioxidant effect of GER was lower compared to that of ORE and BHA alone. The CM treatment most significantly decreased off-odor and rancidity development, with the lowest oxidation odor score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bination of oregano and germander in the diet of boilers improves meat quality and prolongs shelf life.

Single-Cell Hemoprotein Diet Changes Adipose Tissue Distributions and Re-Shapes Gut Microbiota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Seungki Lee;Ahyoung Choi;Kyung-Hoon Park;Youngjin Cho;Hyunjin Yoon;Pil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12호
    • /
    • pp.1648-1656
    • /
    • 2023
  • We have previously observed that feeding with single-cell hemoprotein (heme-SCP) in dogs (1 g/day for 6 days) and broiler chickens (1 ppm for 32 days) increased the propor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the gut while reducing their body weights by approximately 1~2%. To define the roles of heme-SCP in modulating body weight and gut microbiota, obese C57BL/6N mice were administered varied heme-SCP concentrations (0, 0.05, and 0.5% heme-SCP in high fat diet) for 28 days. The heme-SCP diet seemed to restrain weight gain till day 14, but the mice gained weight again later,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However, the heme-SCP-fed mice had stiffer and oilier bodie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mice, which had flabby bodies and dull coats. When mice were dissected at day 10, the obese mice fed with heme-SCP exhibited a reduction in subcutaneous fat with an increase in muscle mass. The effect of heme-SCP on the obesity-associated dyslipidemia tended to be corroborated by the blood parameters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C-reactive protein) at day 10, though the correlation was not clear at day 28. Notably, the heme-SCP diet altered gut microbiota, leading to the proliferation of known anti-obesity biomarkers such as Akkermansia, Alistipes, Oscillibacter, Ruminococcus, Roseburia, and Faecalibacterium. This study suggests the potential of heme-SCP as an anti-obesity supplement, which modulates serum biochemistry and gut microbiota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YK-209 뽕잎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 간조직에서의 HMG-Coa Reductase 활성과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K-209 Mulberry Leaves on HMG-CoA Reductase and Lipid Composition of Liv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홍정희;이순재;박모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26-833
    • /
    • 2002
  • 본 연구는 YK-209뽕잎이 STZ유발 당뇨 간조직 중의 콜레스테롤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동물은 100$\pm$10 우의 Sprague-Dawley종 수컷을 정상군(nor-mal group)과 당뇨군으로 나누고 당뇨군은 다시 식이내 YK-209뽕잎 함량에 따라 각각 YK-209뽕잎을 공급하지 않은 당뇨군(DM group), 0.1% YK-209 뽕잎 식이군(DM-0.1Y group),0.2% YK-209 뽕잎 식이군(DM-0.2Y group) 및 0.4% YK-209 뽕잎 식이군(DM-0.4Y group)으로 나누어 자유섭식 시켰다. 3주 후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후 9일째에 희생하여 혈액 및 간장에서의 콜레스테롤대사 개선능에 대해 관찰하였다 YK-209 뽕잎중의 flavonoid 함량을 조사한 결과 rutin은 4.19 mg/g, iso-quercitrin은 2.01 mg/g, kaempferol-3-O-ru-tinose은 1.64 mg/B, 및 astragalin은 0.36 mg/g이었으며 총 flavonoid 함량은 8.19 mg/g 으로 청일 뽕잎보다 그 함량들이 높았다. 혈청중의 중성지방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이 105% 높았으나 YK-209 뽕잎 공급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LDL-cholesterol함량은 정 상군에 비해 DM군은 증가되었으며, YK-209뽕잎 공급군은 DM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반면 HDL-cholesterol 함량은 정상 군에 비해 DM군에서 감소되었으나 YK-209뽕잎 공급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동맥경화 지수(AI)는 DM군은 정상군에 비해 약 3배 정도 높았으나 UM-0.1Y군과 DM-0.2Y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간조직 중의 총지질 함량과 중성지방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에서 감소되었으며 YK-209 뽕잎을 공급한 군에서 DM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간조직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DM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160%증가되었으나YK-209 뽕잎 공급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간조직 중의 HMG-CoA reductase 활성은 정 상군에 비 해 DM군이 43% 감소되었으나 DM-0.1Y군과 DM-0.2Y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YK-209 뽕잎은 STZ유발 당뇨쥐의 간조직의 HMG-CoA reductase활성의 조절 및 혈액과 간조직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참전복 치패 사료의 지질원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Lipid Sources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ucs hannai))

  • 이상민;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81-390
    • /
    • 1998
  • 참전복 치패용 배합사료의 적정 지질원을 조사하기 위하여 카제인과 북양어분을 각각 단백질원으로 하고 지방산과 지질원을 달리 첨가하여 3회에 걸쳐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세 실험 모두 평균체중 160mg의 치패를 각 수조에 100마리씩 수용하여 사료마다 3반복으로 20주간 사육 실험하였다. 1. 카제인 사료에 지방산 첨가 효과, 단백질원을 카제인으로 하여 지방산이 달리 첨가된 6종의 사료(지방산 무첨가구, 12 :0, 18 : 1, 18 : 2, 18 : 3 및 n-3HUFA첨가구)로 사육실험한 결과, 생존율, 최종 평균체중, 증체율 및 가식부 중량도 사료의 지방산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P>0.05). 반면에 평균 각장은 지방산 무첨가구(fat-free)와 n-3HUFA첨가구가 가장 낮아서 18 : 1과 18 : 2 첨가구와 유의차를 보였다(P<0.05).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실험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p>0.05), 지질은 지방산 무첨가구가 0.5%로 18 : 1 첨가구의 0.7%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카제인 사료에 지질원 첨가 효과 단백질원을 카제인으로 하여 오징어 간유(SO), 옥수수유(CO), 우지(BT), SO+CO및 SO+BT를 각각 5%씩 첨가한 배합사료로 사육 실험한 결과, 생존율은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05), 최종평균체중, 증체율 및 각장은 SO, SO+CO 및 SO+BT(n-3HUFA 함량: 0.5%) 실험구가 CO및 BT 실험구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가식부 평균중량도 SO+CO 및SO+BT 실험구는 SO 실험구와 유의차없이 좋은 결과를 보였지만, CO및 BT가 실험구는 SO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실험 종료시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사료의 지질원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지질함량은 SO가 첨가된 실험구(SO, SO+CO, SO+BT)가 CO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5). 3.어분 사료에 지질원 첨가 효과 실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단백질원으로 어분이 첨가된 사료에 지질은 첨가하지 않은 사료와 SO, CO, BT, SO+CO 및 SO+BT을 각각 5% 첨가한 사료로 사육한 결과, 생존율은 실험구가에 유의차가 없었으나(P>0.05), 증체율은 BT와 SO+BT 실험구가 지질 무첨가구 (지질함량 : 2.2%), SO 및 CO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실험종료시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사료 지질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지질은 사료 지질 함량과 지질원에 영향을 받아 지질 무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이사의 결과들로부터 참전복 치패용 배합사료에는 n-3HUFA가 0.5%이상 함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어분이 첨가된 사료에 지질이 2%이상일 때는 지질을 추가로 첨가할 필요는 없으며, 지질을 추가할 경우 우지보다는 어유나 식물성기름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유전성 비만 마우스에 대한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African Mango (Irvingia gabonesis, IGOB 131TM) Extract in Leptin-deficient Obese Mice)

  • 이민희;남다은;김옥경;심태진;김지훈;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477-148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전성 비만 마우스를 이용하여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 내용을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의 섭취 농도를 식이의 1%와 2%로 정하고, AIN93G diet에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 분말을 1%와 2% 섞어 diet를 제작하였다. 실험 식이를 8주간 제공한 후 실험 종료 시 실험군들의 체중 변화는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동물의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간의 무게와 지방조직의 무게가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동물의 혈청 지질 함량은 TG, TC, LDL-콜레스테롤이 ob/ob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HDL-콜레스테롤은 고농도 섭취 시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diponectin 유전자의 발현은 ob/ob군이 가장 낮았고, 실험식이 섭취군들은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dipogenic enzyme과 transcription factor인 FAS, LPL, PPAR-${\gamma}$, C/EBP, SREBP 유전자의 발현은 ob/ob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험식이 섭취군들은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전반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이 leptin 유전자가 결핍된 비만 동물 모델에서 체중 감소 및 혈청 지질 함량을 개선시켜 주는 효과가 있고, adipogenic enzyme과 transcription factor 조절에 유익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이 항비만 효과를 가진 천연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남해군 특용작물 열수 추출분말이 콜테스테롤 급이 흰쥐의 혈청 및 장기 중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mhae Specialized Crops Water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Cholesterol Diet)

  • 신정혜;강민정;양승미;이수정;성낙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99-610
    • /
    • 2011
  • 남해군의 특용작물인 울금, 백년초, 알로에 및 아스파라거스가 혈청 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1%의 콜레스테롤 첨가식이로 유발된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를 이용하여 정상군, 고콜레스테롤 투여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특용작물 열수추출물 동결건조한 분말 1% 첨가 급이군을 실험군으로 하여 4주간 급이 후 실험하였다. 식이 섭취량과 체중증가는 실험군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으나, 식이효율은 울금 추출분말 1% 급이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당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6.18~23.44% 정도 감소하였으며, 혈중 총 지질은 백년초 추출분말을 1% 급이군에서 374.99${\pm}$1.54 mg/dL로 실험군중에 가장 낮은 함량이었다. 총 콜레스테롤은 알로에 추출분말 첨가 급이군에서 가장 낮은 함량이었으며, 이는 정상군과 유의차가 없었다. 혈중 중성지질의 함량 또한 대조구에 비해 특용작물 추출분말 첨가군에서 낮았는데 아스파라거스 추출분말 첨가 급이군에서 50.00${\pm}$6.29 mg/dL로 가장 낮은 함량이었다. HDL-콜레스테롤은 울금 추출분말 급이군이 32.55${\pm}$6.16 mg/dL로 여타 실험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정상군과 유의차가 없었다. LDL-콜레스테롤은 알로에 추출분말 급이군이 대조군에 비해 약 44% 더 낮았으며, VLDL-콜레스테롤은 아스파라거스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아 7.77${\pm}$0.72 mg/dL로 정상군 보다 29%나 더 낮았다. AI와 CRF는 울금과 알로에 추출분말 첨가군이 가장 낮았으며, 혈중 TBARS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은 백년초 추출분말 급이군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간장에 함유되어 있는 총 지질 및 콜레스테롤 함량은 알로에 추출분말 급이군에서 가장 낮아 각각 134.54${\pm}$5.62 mg/g과 12.25${\pm}$3.07 mg/g 이었으며, TBARS 함량도 알로에 추출분말 첨가군이 가장 낮았다.

산란계에서 Coenzyme Q10 급여가 혈액 및 간 조직의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enzyme Q10 on the Antioxidant System in Blood and Liver of Laying Hens)

  • 문양수;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15-124
    • /
    • 2022
  • Coenzyme Q10(CQ10)은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의 산화적 인산화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최근 항산화제로서 가능성이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시험은 산란 스트레스로서 지방간 현상이 다발하는 산란계(40주령)를 이용하여 대조군(CON), 분말 CoQ10 급여군(PCoQ, 100 mg/kg 사료) 및 유화 CoQ10 급여군(ECoQ, 100 mg/kg 사료) 등 3 처리군으로 설정하고 항산화 관련 지표를 조사하였다. 5주간의 시험 결과 분말 및 유화 CoQ10 급여는 산란계의 체중, 증체, 간 및 비장의 무게에는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CoQ10 급여 후 혈액의 전체 항산화력(total antioxidant power)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 시 ECoQ 군에서 약 2배 정도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 PCoQ 군에서 수치상 약 1.5배의 TAP가 증가하였으나 대조군과 비교 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산란계의 간 조직에서 SOD, GPX 및 CAT 등 항산화 효소의 mRNA 발현은 분말 또는 유화 CoQ10 급여에 따른 유의적 효과가 없었다. 이들 항산화 효소들의 특이적 활성도를 조사한 결과 역시 분말 또는 유화 CoQ10 급여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간 조직의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 지표는 대조군과 비교 시 ECoQ에서 유의하게(P<0.0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유화형 COQ10 급여는 산란계에서 혈액의 전체 항산화력(TAP)을 증가시키고 간 조직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지질과산화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OQ10 급여는 과도한 산란 스트레스로부터 건강한 산란계를 사육할 수 있는 항산화 사료첨가제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생각된다.

Leptin 유전자 결핍 동물모델을 이용한 시네트롤(Sinetrol-XPur)의 항비만 효과와 cAMP를 통한 UCP-2 활성화 기전 연구 (Effects of Sinetrol-XPur on Leptin-Deficient Obese Mice and Activation of cAMP-Dependent UCP-2)

  • 유재명;이민희;권한올;최세규;배문형;김옥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84-49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시네트롤(Sinetrol-XPur)을 유전성 비만 마우스(Obese)에 7주간 식이 투여하여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네트롤을 섭취한 유전성 비만 마우스군(Sinetrol low와 Sinetrol high)의 체중증가량은 Obese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간 무게변화량은 Sinetrol high군에서 Obese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백색지방의 무게변화량은 Sinetrol high군에서 Obese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의 혈청 지질 함량은 TC, TG, LDL/VLDL-콜레스테롤이 Obese군에 비해 Sinetrol군에서 감소하였고, HDL-콜레스테롤은 유전성 비만군(Obese, Sinetrol low, Sinetrol high)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DL/LDL ratio를 계산한 결과에서는 Sinetrol군에서 Obese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군의 지방조직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FAS와 LPL의 발현은 Obese군보다 Sinetrol군에서 감소하였고 HSL의 발현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UCP-2의 발현은 Obese군에 비해 Sinetrol high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 내 cAMP를 측정한 결과 시네트롤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cAMP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증가한 cAMP에 의해 UCP-2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시네트롤이 지방 합성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의 억제 및 에너지 소비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체내 지방의 축적이나 합성을 감소시켜 체중의 증가를 예방하며, 혈중 지질 함량들을 개선하여 항비만 효과가 있는 천연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홍삼물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도된 고콜레스테롤 혈증에서 간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Korean Red Ginseng Water Extract on Recovery of Hepatic Function in Hypercholesterolemic Mice Fed High Cholesterol Diet)

  • 송용범;경종수;박성범;위재준;도재호;김영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283-290
    • /
    • 2008
  • 고콜레스테롤 혈증은 힘줄의 지방축적, 피부, 간비대, 췌장염 및 심장 발작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병리현상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홍삼 물추출물(홍삼정)이 고콜레스테롤로 식이된 마우스의 간 기능 회복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고콜레스테롤 사료를 2주 동안 식이 한 후 홍삼물추출물(홍삼정)을 투여용량 100,300,500 mg/kg, b.w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마우스군을 6개 군으로, 즉, 정상군(AIN-2WK), 고콜레스테롤 4주 식이군(CHOL-4WK), 고콜레스테롤 2주 식이 + 정상식이 2주군(CHOL-2WK) 그리고 고콜레스테롤 2주식이 + 정상식이 2주 및 홍삼 물추출물 투여군( R100, R300, R500) 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1. 홍삼 투여군의 간 무게 및 총 지질의 양은 고콜레스테롤 4주 식이군(CHOL-4WK) 및 고콜레스테롤 2주 식이군(CHOL-2WK)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 그러므로 홍삼 물추출물은 효과는 고콜레스테롤 식이한 생쥐의 간의 비대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2. 콜레스테롤 2주 식이군(CHOL-2WK)은 고콜레스테롤 식이군(CHOL-4WK)에 비하여 총 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감소 효과는 홍삼 물추출물 투여에 의하여 더욱 강화되었다. 3. 고콜레스테롤 4주 식이군(CHOL-4WK)은 정상군(AIN-2WK)에 비하여 유의하게 간 중성 지방이 감소하였으며 콜레스테롤 2주 식이군(CHOL-2WK) 및 홍삼 물추출물 투여군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결과로 볼때 정상식이 전환 및 홍삼투여가 간기능을 정상화 시킴을 알 수 있었다. 4. 홍삼 투여군에서 지질과산화의 수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홍삼 물추출물은 고콜레스테롤혈증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간의 지질 대사 및 간 기능을 증진시킴으로써 비만의 식이요법 및 고콜레스테롤 혈증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