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Synthesis

검색결과 365건 처리시간 0.028초

스트레스에 대한 인삼효과의 형태학적 연구 - 흰쥐 부신피질의 조직화학적 및 전자현미 경석 관찰 - (The Morphological Study on the Effects of Ginseng under Stress - Histochemical and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of the Rat Adrenal Cortex -)

  • 이재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190-196
    • /
    • 1985
  • 인삼의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스트레스를 가한 흰쥐의 부신피질에 대해 형태학적 관찰을 행하였든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때 실험은 saline 주사후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군(S-NS-AD), 스트레스를 가한 군(S-S-AD)과 인삼추출액을 주사한 후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군(G-NS-AD)과 스트레스를 가한 군(G-S-AD) 등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조직학적으로 S-S-AD군에서는 S-NS-AD군에 비해 작은 지방적이 다수 출현하였으나 인삼 주사군에서는 스트레스에 관계없이 대형의 지방적이 다수 출현하였다. 조직화학적으로는 인삼주사군에서 cholesterol 및 그 ester, glycolipid, phospholipid, glycogen등이 다소 많이 출현하였으나 glycogen과 cholesterol 및 그 ester는 S-S-AD군에서도 많이 출현하였다. 전자현미경적으로 S-S-AD군과 임삼주사군에서 지방적이 다수 출현하고 특히 인삼주사군에서는 대형의 지방적 출현과 중등도의 glycogen 과립의 출현을 볼수 있었다. 또 안삼주사군과 S-S-AD 군에서는 SER의 확장, 세포간격의 확장 및 dense body의 출현 등이 인정되었으며, G-S-AD군에서는 세포간에 filopodia도 인정되었다. 이상의 소견으로 봐서 인삼은 스트레스에 대해 부신피질세포의 대사 및 홀몬 합성에 활성을 주어 스트레스에 대항할 수 있는 효과를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지방변성증에서 홍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against Alcohol-induced Hepatosteatosis)

  • 김선주;기성환;이상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17-322
    • /
    • 2015
  • 알코올에 의한 지방간(지방변성증)은 에탄올 대사에 의해 감소되는 당량의 과도한 발생에 의해 유발된다. 일반적으로 만성적인 에탄올 투여는 간 지질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c (SREBP-1c)를 조절함으로써 지방변성증을 유발시킨다. SPEBP-1c에서 에탄올의 영향은 간에서의 지방대사를 조절하는 NAD+ 의존적 단백질 탈아세틸화효소인 mammalian sirtuin-1 (SIRT-1)에 의해 조정된다. 홍삼은 항당뇨와 항비만 효과를 위해 아시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한약재이다. 홍삼의 약리학적 치료학적인 효과는 진세노사이드와 같은 생물활성 성분에 의해 주로 일어난다. 따라서 우리는 마우스 간세포주인 AML-12 세포에서 SREBP-1과 SIRT-1에대한 한국홍삼 추출물의 조절효과를 평가하였다. 알코올과 홍삼추출물(0-1,000 μg/ml)을 AML-12 세포주에 처리하고, 지방소립을 Oil red O 염색법으로 확인하고, western blots을 사용해 SIRT-1과 SREBP-1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에탄올을 처리한 세포에서 홍삼추출물은 SIRT-1과 SREBP-1c의 발현을 회복시켰다. 또한 에탄올이 처리된 세포에서 홍삼추출물과 진세노사이드 Rb2와 Rd가 SREBP-1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결과적으로 홍삼과 활성 진세노사이드 성분인 Rb2와 Rd가 SIRT-1과 간 지질대사를 변화시키는 SREBP-1c의 아세틸화의 조절을 통해 알코올에 의한 간지방변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서 대두 부산물인 순물과 침지수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By-Product from Soybean on Mouse Fed a High Fat Diet)

  • 박영미;임재환;서을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8-177
    • /
    • 2015
  • 본 연구는 대두 부산물인 순물과 침지수가 고지방 식이에 의해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의 지방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침지수가 포함된 일반 사료를 섭이한 실험군의 체중 및 간과 부고환 지방 조직 내 지방 축적은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부 내 내장 지방과 피하지방도 크게 발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침지수는 체내 축적된 지방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지수 식이군의 혈중 AST와 ALT의 활성은 대조군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콜레스테롤 함량과 중성 지질 농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침지수가 고지방 식이로 인한 혈중 효소 활성과 지질농도를 개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침지수는 metabolic sensor 단백질인 AMPK와 ACC의 인산화를 촉진시켜 체내 지방산 산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침지수는 복부 내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두 부산물 중 침지수는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의 혈중 지질 함량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체내 조직의 지방 축적을 완화시키거나 제거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황국곡자 투여가 지방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ice with Aspergillus terreu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 장지은;최혜란;이정현;인재평;이정미;김성필;진중현;박탁현;최명준;이태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58-66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Asp. terreus를 접종하여 제조한 황국곡자를 이용하여 지질대사와 관련 조절유전자 및 심혈관질환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고, 고지혈증 개선에 미치는 황국곡자의 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SD rat을 사용하여 8주 동안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황국곡자 0.5, 2 g을 경구투여 하였다. 그 결과 간조직에서 황국곡자 투여군은 총 지질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황국곡자가 콜레스테롤 배출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간조직 내 LDL 및 HDL 관련 유전자 발현 확인 결과, 콜레스테롤 합성의 가장 중요한 기작인 HMG-CoA reductase, LDL receptor와 SREBP2 발현에서는 고콜레스테롤군보다 유의적으로 모두 증가하여 체내의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간조직의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해본 결과 황국곡자 투여군이 고콜레스테롤군에 비해 간 손상의 정도가 현저히 감소되어 있으며 간세포 내 작은 공포 모양의 지방구가 현저히 줄어들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황국곡자를 투여한 군 모두 지방세포 침윤과 같은 지방간 병변의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황국곡자는 체내의 지질대사에 영향을 끼침에 따라 고지혈증의 개선을 위한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복분자 추출물이 LPS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와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ubus coreanum Miquel Against Lipopolysaccharide-induced Oxidative Stress and Lipid Metabolism)

  • 김인덕;강금석;권륜희;양정옥;이중숙;하배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3-217
    • /
    • 2007
  • 복분자 (Rubus coreamum Miquel)는 우리나라 남부에서 야생하는 과실 생약으로,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예로부터 한방과 민간에서 맹안, 태생, 지사, 음위, 강장, 그리고 양모 등에 약재로 이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예로부터 한방에서 신장기능, 불임증, 음위증, 유정몽설, 강장제로 쓰였으며 혈액과 눈을 밝게 해주며 간을 보호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LPS는 그람양성균의 세포벽을 만드는 물질의 일종으로 NO를 생성시키고 $Ca^{2+}$를 증가시키며 free radicals를 형성하여 간 조직의 막을 파괴하고 간의 지방을 축적시키고 노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복분자의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지질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정상군, 대조군, 시료군 (RCM)군으로 분류하여 20일간 매일 같은 시간 내에 선 투여하고 21일째 되는 날 LPS를 4시간 전에 투여하여 그 독성이 가장 강할 때 해부를 하여서 활성도를 혈액 및 간 조직에서의 효소 활성의 변동을 평가하였다. 중성지방 (TG)의 에너지의 저장 형태로 존재하는 지방이다. 이는 안정한 물질로 몸에 축적된다. 하지만 과도할 경우 각종 성인병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을 한다.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의 경우 3.9배 증가하였으며 이는, 몸에 지질이 쌓이게 되어 성인병으로 이어지는 원인이 된다. 그에 비해 RCM을 투여한 군의 경우 56.4%로의 지질함량을 억제효과를 알 수 있었다. 총 지질 (Total lipid)는 혈청안에 있는 지질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함량이 높을 수록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으로 이어지며 부작용을 일으킨다. 이 경우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은 1.67배로 증가를 하였지만 RCM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59.2%로 지질 함량을 유의적인 감소 효과를 알 수 있었다. 총 콜레스테롤(Total-cholesterol)은 인체의 여러 조직에서 만들어지나 주로 간에서 생성된다. 혈중 cholestrol의 증가는 비만, 동맥경화, 고혈압 등의 심혈관 질환과 당뇨병 지방 대사 장해 등을 일으킨다. 함량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은 1.74배 증가하였다. 그에 비해 RCM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57.4%의 예방효과를 측정할 수 있었다. HDL-콜레스테롤은 항 동맥경화의 지표로서 콜레스테롤을 말초혈관에서 간으로 수송하여 동맥경화를 진행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여 지질대사 장해에 대한 방어 작용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은 2.62배 감소하였다. 그에 비해 RCM 투여군은 대조군보다 81.6% 증대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과산화 지질 (Malondialdehyde)의 경우 지질조직의 손상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효소로 인정되고 있으며, 조직의 손상, 발암, 염증, 성인병 및 노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유해 작용을 일으킨다.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은 1.74배 수치가 증가되었으며, RCM투여군의 대조군과 비교 시 57.4% 감소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LPS로부터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복분자의 선투여 후 예방효과를 알아보았다. 생약재의 일종인 복분자의 경우 LPS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및 지질대사로부터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지질과산화에 대해서 강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복분자는 생활 습관병의 예방과 개선에 유효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지질대사와 과산화지표의 검증을 통해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Evidence for the association of peroxidases with the antioxidant effect of p-coumaric acid in endothelial cells exposed to high glucose plus arachidonic acid

  • Lee, Seung-Jin;Mun, Gyeong-In;An, Sang-Mi;Boo, Yong-Chool
    • BMB Reports
    • /
    • 제42권9호
    • /
    • pp.561-567
    • /
    • 2009
  • Although many plant-derived phenolic compounds display antioxidant effects in biological systems, their mechanism of action remains controversial. In this study, the mechanism by which p-coumaric acid (p-CA) performs its antioxidant action was investigated in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s under oxidative stress due to high levels of glucose (HG) and arachidonic acid (AA), a free fatty acid. p-CA prevented lipid peroxidation and cell death due to HG+AA without affecting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The antioxidant effect of p-CA was not decreased by buthionine-(S,R)-sulfoximine, an inhibitor of cellular GSH synthesis. In contrast, pretreatment with p-CA caused the induction of peroxidases that decomposed t-butyl hydroperoxide in a p-CA-dependent manner. Furthermore, the antioxidant effect of p-CA was significantly mitigated by methimazole, which was shown to inhibit the catalytic activity of 'p-CA peroxidases' in vitro.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induction of these previously unidentified 'p-CA peroxidases' is responsible for the antioxidant effect of p-CA.

Protective effect of ginsenoside Re on acute gastric mucosal lesion induced by compound 48/80

  • Lee, Sena;Kim, Myung-Gyou;Ko, Sung Kwon;Kim, Hye Kyung;Leem, Kang Hyun;Kim, Youn-J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8권2호
    • /
    • pp.89-96
    • /
    • 2014
  • The protective effect of ginsenoside Re, isolated from ginseng berry, against acute gastric mucosal lesions was examined in rats with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ompound 48/80 (C48/80). Ginsenoside Re (20 mg/kg or 100 mg/kg) was orally administered 0.5 h prior to C48/80 treatment. Ginsenoside Re dose-dependently prevented gastric mucosal lesion development 3 h after C48/80 treatment. Increases in the activities of myeloperoxidase (MPO; an index of neutrophil infiltration) and xanthine oxidase (XO) and the content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 index of lipid peroxidation) and decreases in the contents of hexosamine (a marker of gastric mucus) and adherent mucus, which occurred in gastric mucosal tissues after C48/80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by ginsenoside Re. The elevation of Bax expression and the decrease in Bcl2 expression after C48/80 treatment were also attenuated by ginsenoside Re. Ginsenoside Re significantly attenuated all these changes 3 h after C48/80 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rally administered ginsenoside Re protects against C48/80-induced acute gastric mucosal lesions in rats, possibly through its stimulatory action on gastric mucus synthesis and secretion, its inhibitory action on neutrophil infiltration, and enhanced lipid peroxidation in the gastric mucosal tissue.

대두유로부터 Lipase를 이용한 재구성 지질의 합성 및 특성 (Lipase-Catalyzed Synthesis of Structured Lipids with Capric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in a Stirred-Batch Type Reactor)

  • 신정아;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75-1179
    • /
    • 2004
  • Scale-up하기 위하여 24시간동안 1:2:2의 몰 비율로 stirred-batch type reactor에서 합성된 재구성지질은 capric acid와 CLA를 각각 4.9 mol%와 4.1 mot% 함유하였다. 기능성 지방산인 capric acid와 CLA는 주로 TAG의 sn-1,3 position에 분포하였고, sn-2 position에는 linole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재구성지질과 대두유의 요오드가는 각각 126와 114이었고, 비누화가는 각각 190과 194로 측정됨으로써, 재구성 지질의 TAG에서 capric acid의 함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두유와 재구성지질의 tocopherol함량은 각각 74.6 mg/100 g과 18.2 mg/100 g으로, 재구성지질의 tocopherol 함량은 대두유보다 약 76% 감소하였다. 색도분석 결과, 재구성 지질과 대두유간에 백색도(L*)와 적색도(a*)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p<0.05),황색도(b*)에서 재구성지질이 대두유보다 좀더 yellowness를 보이며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p<0.05). Reversed-phase HPLC 분석 결과, 재구성지 질에서 capric acid를 함유하고 있는 TAG형태의 partition number (PN)는 25∼37로 약 12.57 area%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대두유의 주된 crystallization peak는 -57.86$^{\circ}C$C이었으나, capric acid를 4.9 mol% 함유하고 있는 재구성지질의 crystallization peak는 -52.78$^{\circ}C$로 대두유보다 결정화가 좀더 고온에서 일어났다.

Effects of Compounds from Physalis angulata on Fatty Acid Synthesis and Glucose Metabolism in HepG2 Cells via the AMP-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

  • Hoa, Hoang Thai;Thu, Nguyen Thi;Dong, Nguyen Thuong;Oanh, Tran Thi;Hien, Tran Thi;Ha, Do Thi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6권3호
    • /
    • pp.200-206
    • /
    • 2020
  • The ability of the total extract from Physalis angulata; three fractions after partitioning with n-hexane, ethyl acetate (TBE), and water; and four withanolides (compounds 1 - 4) to phosphorylate 5'-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nd acetyl-CoA carboxylase (ACC) in HepG2 cells was evaluated. The TBE fraction (50 ㎍/mL) activated p-ACC and p-AMPK expression most strongly. Compounds 1 - 4 (10 μM) upregulated p-ACC expression at different levels. Compound 4 induced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in p-AMPK expression, followed by 1 and 2.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s (SREBPs) play a functional role in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lipogenic pathway, including fatty acid synthase (FAS) and ACC. The effects of compounds 2 and 4 (10 μM) on FAS and SREBP-1c expression under high glucose conditions (30 mM) in HepG2 cells were evaluated further. Both dose-dependently inhibited FAS and SREBP-1c expression as well as lipid accumulation (1 - 10 μM) were compared to high-concentration glucose control, which upregulated FAS and SREBP-1c.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ounds 2 and 4 upregulate AMPK, suppress FAS and SREBP-1c, and have potential effects 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흰쥐 뇌에서의 Lipopolysaccharide-유도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OQ21과 Melatonin의 작용 (Effect of OQ21 and Melatonin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t Brain)

  • 배미경;최신규;고문정;하헌주;김화정
    • 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47-354
    • /
    • 2005
  • Lipopolysaccharide (LPS) induces synthesis of several inflammatory cytokines and nitric oxide (NO). NO in brain is involved not only in the regulation of important metabolic pathways via intracellular cyclic GMP-dependent path­ways, but also in neurotoxic damage by reacting with superoxide ion leading to form peroxynitrite radical. Oxidative stress has suggested to be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NO synthase/cyclic GMP pathway. OQ21 is a new fluorinated quinone compound that is recently known to have inhibitory effects on both NO synthase (NOS) and guanylyl cyclase (GC). In this study, we examined effects of OQ21, other known NOS or GC inhibitors, or an antioxidant, melatonin, on the oxidative stress produced by LPS in rat brain. Oxidative stress was observed by using the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 to measur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nd by measuring the formation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o measure lipid peroxidation. LPS induced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ROS produdction and lipid peroxidation in all brain regions tested (striatum, hippocampus and cortex), which were dissected 6hr after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LPS to rats. Direct striatal injection of two NOS inhibitors, N-nitro-L-arginine methyl ester and diphenyleneiodonium, or a GC inhibitor, IH-[1,2,4]oxadiazolo[4,3-a]quinoxaline-l-one, produced no significant ROS increase. However, OQ21 enhanced ROS formation in striatal tissues from LPS-treated rats. Melatonin decreased LPS-induced ROS formation and decreased ROS formation increased by OQ21 in striatum of LPS-treated r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