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gual orthodontics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5초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에 의한 6세에서 11세 사이의 악간 공간에 관한 누년적 연구 (A LONGITUDINAL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THE INTERMAXILLARY SPACE OF NORMAL KOREAN CHILDREN AGED FROM 6 TO 11 YEARS)

  • 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1-148
    • /
    • 1985
  • It has been a long time since the cephalometrics was introduced to orthodontic field for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but it's main concern was limited to hard, skeletodental tissue. It is well known that perioral and facial soft tissue determine the position of individual teeth and that the abnormality in size and shape of the soft tissue are able to cause malformed occlusion. Because of our lack of knowledge about resultant morphologic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keletal pattern and specific pattern of lingual and facial muscles, we can't help setting greater value on only abnormalities of teeth in the skeletal interrelationship. In a point of view that the orthodontist is dealing primarily with muscular structures around the dentition, the tongue, lips, and cheeks,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estimate these structure and their potential influence on the dentition on developmental and time base. The author hit upon on idea of the aspect above, so studied on the intermaxillary space and tongue space and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cephalometric films of 33 male and 40 female subject aged from 6 to 11 years of normal Korean children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of Korean children were obtained. 2. Yearly increment of each variables were obtained. 3. There is the correlationship more than average among the variables except posterior intermaxillary height item. 4.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male children and female children in all variables except posterior intermaxillary space item. 5. All variables increased as the age increased except posterior intermaxillary height item of male children.

  • PDF

Clinical factors affecting the longevity of fixed retainers and the influence of fixed retainers on periodontal health in periodontitis patients: a retrospective study

  • Han, Ji-Young;Park, Seo Hee;Kim, Joohyung;Hwang, Kyung-Gyun;Park, Chang-J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1권3호
    • /
    • pp.163-178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factors affecting the longevity of fixed retainers and the influence of fixed retainers on periodontal health in periodontitis patients. Methods: In total, 52 patients with at least 2 years of follow-up after periodontal and orthodontic treatmen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fter scaling and root planing, orthodontic treatment with fixed appliances or clear aligners was performed. Fixed retainers with twist-flex stainless steel wires were bonded to the palatal or lingual sides of anterior teeth. Changes in clinical parameters, including the plaque index, gingival index, calculus index (CI), probing pocket depth, and radiographic bone levels, were evaluated before bonding of fixed retainers and at a 12-month follow-up. Cumulative survival rates (CSRs) for retainer failure were evaluated according to sex, site, CI, stage of periodontitis, and the severity of the irregularity with the log-rank test and hazard ratios (HRs). Results: Twelve months after bonding of fixed retainers,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all clinical parameters except CI and radiographic bone gain. The overall CSR of the retainers with a CI <1 at the 12-month follow-up after bonding of fixed retain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retainers with a CI ≥1 at the 12-month follow-up (log-rank test; P<0.001). Patients with stage III (grade B or C) periodontitis had a higher multivariate HR for retainer failure (5.4; 95% confidence interval, 1.22-23.91; P=0.026) than patients with stage I (grade A or B) periodontitis. Conclusions: Although fixed retainers were bonded in periodontitis patients, periodontal health was well maintained if supportive periodontal treatment with repeated oral hygiene education was provided. Nonetheless, fixed retainer failure occurre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ho had stage III (grade B or C) periodontitis or a CI ≥1 at 12-month follow-up after bonding of fixed retainers.

Clinical effectiveness of different types of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devices for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 Wang, Jiangwei;Yang, Yingying;Wang, Yingxue;Zhang, Lu;Ji, Wei;Hong, Zheng;Zhang, Linku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313-323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clinical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devices by using a network meta-analysis. Methods: We searched seven databases for randomized and controlled clinical trials that compared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with tooth-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interventions or untreated groups up to May 2021. After literature selection, data extraction, and quality assessment, we calculated the mean differences, 95% confidence intervals, and surface under the cumulative ranking scores of eleven indicator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 statistical software with the GeMTC package based on the Bayesian framework. Results: Six interventions and 667 patients were involved in 18 studies. In comparison with the tooth-anchored groups, the bone-anchore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more increases in Sella-Nasion-Subspinale (°), Subspinale-Nasion-Supramentale(°) and significantly fewer increases in mandibular plane angle and the labial proclination angle of upper incisor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Sella-Nasion-Supramentale(°) decreased without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treated groups. IMPA (angle of lower incisors and mandibular plane) decreased in groups with facemasks and increased in other groups. Conclusions: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can promote greater maxillary forward movement and correct the Class III intermaxillary relationship better, in addition to showing less clockwise rotation of mandible and labial proclination of upper incisors. However, strengthening anchorage could not inhibit mandibular growth better and the lingual inclination of lower incisors caused by the treatment is related to the use of a facemask.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상악 6전치 후방 견인시 힘의 적용점 변화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에 관한 유한 요소법적 분석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initial tooth displacement according to force application point during maxillary six anterior teeth retraction using skeletal anchorage)

  • 김찬년;성재현;경희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39-35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활주법을 이용한 전치부 후방 견인시 micro-implant의 다양한 수직적 위치와 전치부에서 힘의 적용점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을 관찰하여 공간 폐쇄시 전치부의 설측 경사와 정출력을 방지할 수 있는 micro-implant의 위치와 전치부 힘의 적용점의 위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한 요소 모델을 이용하여 제1소구치가 발거된 상악 치열궁 형태를 제작하고 $.022"{\times}.028"$ 슬롯 브라켓을 모형화하여 치아에 부착시켰다. $.019"{\times}.025"$ stainless steel 선재를 3차원 beam모형으로 제작하고 상악 측절치와 견치 브라켓 사이의 선재 상에 $.032"{\times}.032"$ 크기의 stainless steel hook을 수직으로 8mm의 높이로 형성하였으며, 선재로부터 2mm높이에서 1mm간격으로 8mm까지 힘 적용점을 설정하였다. 지름 1.2mm,길이 6mm의 micro-implant를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의 치조골에 선재로부터 4mm에서 10mm까지 2mm간격으로 4개를 위치시켰다 각각의 micro-implant와 전치부 hook에 150gm의 힘을 적용시켜 다양한 힘 적용점에 따른 치아의 초기 변위를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Micro-implant 높이가 4m일 경우 5mm이하의 전치부 hook 높이에서는 전치부 설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으며 전치부 hook 높이가 6m이상 되었을 때 전치부 순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다. 2. Micro-implant높이가 6mm일 경우 5mm이하의 전치부 hook높이에서 전치부 설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으며 전치부 hook 높이가 6mm 이상 되었을 때 전치부 순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다 이것은 4mm micro-implant에서의 실험결과와 유사한 이동 양상을 나타내었지만, micro-implant높이가 6mm일 때 전치부 설측 경사 이동이 좀더 감소하였다. 3. Micro-implant높이가 8m일 경우 전치부 hook높이가 2mm일 때 전치의 설측 경사 이동이 일어났으며 3mm이상의 전치부 hook 높이에서 순측 경사 이동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4. Micro-implant높이가 10mm일 경우 전치부 hook 높이가 2mm 이상에서 전치의 순측 경사 이동이 비례적ㅇ로 증가하였다. 5. 전치부 hook 높이가 증가할수록 전치의 순측 경사 이동이 증가되지만 선재의 뒤틀림에 의한 변형이 증가되므로 견치와 소구치 부위에서 정출력이 발생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치아 이동 양상이 일어났다. 6. Micro-implant를 이용한 상악 5전치 후방 견인시 구치부의 이동은 선재와 브라켓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 원심경사 이동이 발생하였다.

치아의 순(협)설 경사도 변화에 따라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 나타난 치아 길이 및 각도 변화 (Change in tooth length and angulation on panoramic radiographs taken at different labiolingual and buccolingual inclinations)

  • 최갑림;임성훈;김재덕;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4-124
    • /
    • 2007
  •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은 치아 및 주위 조직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며 교정치료 동안에도 치근의 근원심 경사도나 길이 평가를 위해 흔히 이용되고 있지만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보이는 치아의 근원심 각도와 길이는 순(협)설 경사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아의 근원심 경사도를 정상교합자의 평균 근원심 각도로 유지하면서 순(협)설 경사도만 변화시킬 때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각 치아의 근원심 경사도와 길이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인 정상 교합자 30명의 평균 악궁을 기초로 하여 아크릴 모델을 제작한 후 치아를 대신하는. 와이어를 정상 근원심 및 순(협)설 경사도$(I^{\circ})$로 식립하고 여기에 순(협)설 경사도 만 $I-15^P{\circ}$에서 $I+15^{\circ}$까지 $5^{\circ}$씩 변화시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촬영한 후 방사선 사진에 나타난 와이어의 길이와 각도를 각각 계측하였다. 와이어를 정상 근원심 및 순(협)설 각도로 식립했을 때 방사선 사진에서 계측된 길이는 중절치, 측절치, 견치의 경우 실제 길이의 $111%{\sim}117%$의 확대율을 보였고, 소구치와 대구치에서는 $121%{\sim}125%$의 확대율을 보였다. 이 때 근원심 경사도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순(협)설 경사도만 $I-15^{\circ}$(순측경사)에서 $I+15^{\circ}$ (설측경사)로 변화시킨 경우 중절치 (p<0.01)와 측절치 (p<0.05)에서만 유의한 확대율 증가를 보였다.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치아의 경사도는 대부분 실제 근원심 경사도보다 더 크게 즉 원심경사된 것으로 계측되었고, 이러한 원심경사 경향은 측절치와 견치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제1, 2소구치의 $I+10^{\circ},\;I+15^{\circ}$ 그룹과 제1, 2대구치의 $I+15^{\circ}$ 그룹에서만 실제 근원심 각도보다 더 작게, 즉 근심 경사된 것으로 계측되었다. 또한 순(협)설 경사도의 변화에 따라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모든 치아의 근원심 각도가 유의한 변화를 보였는데, 순(협)설 경사도가 작아질수록, 즉 순(협)측 경사될수록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더 원심경사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중절치와 측절치의 치아 길이와 모든 치아의 근원심 경사도를 평가할 때 치아의 순(협)설 경사도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NiTi scissors-bite corrector의 와이어 굵기에 따른 3차원적 치아 이동 양상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ooth movement using different sizes of NiTi wire on NiTi scissors-bite corrector)

  • 전현주;박선형;정상혁;전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3-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NiTi scissors-bite corrector를 세 가지 서로 다른 굵기 $0.018"{\times}0.025",\;0.016"{\times}0.022"$, 0.016"의 NiTi 와이어로 제작하였을 때 각각의 치아 이동 양상을 치아 이동 시뮬레이션 장치인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위교합에 이환된 상악 제2대구치 모형을 제작하고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에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orthodontic mini-implant)를 식립하여 제1대구치에 간접골성고정원을 설계하였다. 세 가지 굵기의 NiTi scissors-bite corrector를 부착하여 실험하였다. 치아의 이동 전후에 실험 모형은 computed tomography(CT)로 촬영하고 3차원 데이터로 변환하여 중첩하였다. 치아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계측하여, NiTi scissors-bite corrector 와이어 굵기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에 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제2대구치 치관의 설측 이동량은 $0.018"{\times}0.025"$군(2.65 mm)이 가장 많았으며, 0.016"군(1.96 mm)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제2대구치 치관의 압하량은 $0.018"{\times}0.025"$군(2.35 mm), $0.016"{\times}0.022"$군(1.18 mm), 0.016"군(1.00 mm)으로 $0.018"{\times}0.025"$군이 나머지 두 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치근의 압하량은 $0.018"{\times}0.025"$군(4.19 mm), $0.016"{\times}0.022"$군(3.29 mm), 0.016"군(2.24 mm)으로 세 군 간 모두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p<0.05). 치아의 이동 양상을 관찰한 결과, 0.016"군에서는 제2대구치 치근의 협측 이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간접골성고정원으로 사용된 제1대구치의 고정원 소실은 0.2 mm 이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0.018"{\times}0.025"$ NiTi 와이어로 제작한 NiTi scissors-bite corrector를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이용한 간접골성고정원과 함께 이용하였을 때, 최소한의 고정원의 소실과 함께 가장 큰 상악 제2대구치의 설측 이동 및 압하가 일어났다고 할 수 있다.

성장기 하악골 열성장 환자의 Berlin standard activator를 이용한 부정교합 치료: 증례보고 (Berlin standard activator in the treatment of growing patients with mandibular deficiency: Case report)

  • 이승엽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11호
    • /
    • pp.819-828
    • /
    • 2010
  • Activator is a removable functional appliance used for correcting the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in children with the mandibular deficiency. Berlin standard activator modified from Andresen activator has following characters; do not cover the palatal surface for tongue space, relief on lingual surface of mandibular incisors and resin capping 1/3-1/2 of crown height on mandibular incisors for preventing labioversion of mandibular incisors, L-hook between maxillary lateral incisor and canine for anterior high pull headgear, relief on mandibular posterior bite block for differential eruption of posterior teeth. Two cases presented here had a mandibular deficiency and slight maxillary protrusion. First case (an 11-year-old girl) treated with Berlin standard activator and anterior high pull headgear for 13 months followed by fixed orthodontic appliance for another 29 months. Second case (a 12-year-old boy) treated with Berlin standard activator for 6 months followed by fixed appliance for another 24 months. Treatment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agittal skeletal and occlusal relationship without premolar extraction. Mandibular condyles were concentric in TMJ [ossa, and masticatory muscle activities were normalized after treatment. In the retention period facial harmony and occlusal stability was maintained.

Does mini-implant-supported rapid maxillary expansion cause less root resorption than traditional approaches? A micro-computed tomography study

  • Alcin, Rukiye;Malkoc, Siddi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41-249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volume, amount, and localization of root resorption in the maxillary first premolars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after expansion with four different rapid maxillary expansion (RME) appliances. Methods: In total, 20 patients who required RME and extraction of the maxillary first premolar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appliance used: mini-implant-supported hybrid RME appliance, hyrax RME appliance, acrylic-bonded RME appliance, and full-coverage RME appliance. The same activation protocol (one activation daily) was implemented in all groups. For each group, the left and right maxillary first premolars were scanned using micro-CT, and each root were divided into six regions. Resorption craters in the six regions were analyzed using special CTAn software for direct volumetric measurements.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Kruskal-Wall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ann-Whitney U test with Bonferroni adjustment. Results: The hybrid expansion appliance resulted in the lowest volume of root resorption and the smallest number of craters (p < 0.001). In terms of overall root resorp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other groups (p > 0.05). Resorption was greater on the buccal surface than on the lingual surface in all groups except the hybrid appliance group (p < 0.05).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ll expansion appliances cause root resorption, with resorption craters generally concentrated on the buccal surface. However, the mini-implant-supported hybrid RME appliance causes lesser root resorption than do other conventional appliances.

치근 부착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 분포 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Strain Distribution Using Strain Gauge Attached On Root Surface)

  • 김상철;박규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25-333
    • /
    • 2001
  • 바람직한 교정치료는 최적의 교정력을 치아에 가하여 정확하게 치아이동을 조절하고 예측함에 따라 가능해진다. 치관에 힘과 모멘트가 동시에 적용될 때 그 비율(M/F ratio)에 따라 치주인대에 나타나는 응력 분포가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른 회전중심의 위치가 변하게 되는데 이런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정확한 치아이동을 조절하고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력에 따른 치주인대 및 치조골 부위에서의 응력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악 중절치 치근 8부위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한 인공 치아를 광탄성 레진에 매식한 4mm 정중이개 증례의 상악 전치부 실험모형을 제작하여 응력 분포를 조사하였다. 폐쇄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1. 금속 호선의 삽입 없이 100g의 힘을 발휘하는 elastomeric chain만 사용한 경우, 2. .016" 금속호선을 삽입하고 elastomeric chain을 사용한 경우, 3. .016“x.022” 금속호선을 삽입하고 elastomeric chain을 사용한 경우. 각각의 경우에서 치근의 근심면, 원심면 및 순면, 설면에 나타나는 응력을 계측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근 부착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 분포 조사 방법으로 치아이동시 치근의 근 원심면 및 순 설면에서의 응력 분포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모멘트 팔의 형성을 추정함으로써 치아의 회전양상을 알 수 있었다. 2. 호선없이 교정력을 적용한 경우 정출 및 경사이동이 컸으며 호선 적용에 따라 압하 및 치체이동 양상을 보이는 것을 응력 분포 파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 bionator의 치료효과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AN EVALUATION OF TREATMENT EFFECTS OF BIONATOR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BY FINITE ELEMENT METHOD)

  • 안석준;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19-232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 bionator를 사용한 환자의 치료 전후 두부방사선계측사진에 유한요소법을 적용하여 나타난 변화를 각 요소별로 나타내며, 이러한 변화와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앵글 II급 1류 부정 교합을 가진 73명을 치료결과가 양호한 군(1군)과 치료결과가 불량한 군(2군)으로 나눈 후 각각의 치료효과에 대한 유한요소분석을 실시한 후 성별간, 치료결과군간 및 치료시작시기와의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SAS ANOVA, p<0.05), 치료기간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치료결과가 다르게 나오는 이유를 보고자 두개저의 길이(Ba-N)를 기준으로 1군에서 2군으로 유한요소분석을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치료효과와 성별간, 치료결과군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2. 치료시작 연령과 치료효과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치료효과와 치료기간 사이에서는 상악체, 상악절치, 하악절치, 전안면, 전상안면, 전하안면, 하악지 등을 대표하는 유한요소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나, 상관관계는 높지 않았다. 4. 유한요소 분석 결과 골격보다는 치아를 대표하는 요소의 변화가 더 컸다. 특히 상악절치의 위치, 하악절치의 위치, overbite 등을 나타내는 요소의 변화를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5. 치료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를 두개저 (Ba-N)의 길이를 중심으로 유한요소로 분석 한 결과 두군사이에 골격 및 치아의 위치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치료결과가 나쁜 군에서 상악의 후하방 회전, 하악의 후방위치, 상악전치의 상대적인 설측경사, 하악절치의 상대적인 순측경사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