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eber-DeCarli diet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1초

Temporal Changes in the Hepatic Fatty Liver in Mice Receiving Standard Lieber-DeCarli Diet

  • Yin, Hu-Quan;Lee, Byung-Hoo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13-117
    • /
    • 2008
  • Chronic exposure to ethanol induces cumulative damage to the liver starting from fatty infiltration to cirrhosis depending on the dose and duration of exposure. The whole proces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lcoholic liver disease is very complex and the mechanisms involved are not fully understood. Among many experimental animal models, Lieber-DeCarli liquid diet provides moderate to severe pathophysiological outcome depending on the compositional chang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temporal changes in the early phase hepatic disease in rats fed with standard Lieber-DeCarli diet. Male Wistar rats were fed with Lieber-Decarli ethanol diet for 6 weeks and the liver samples were obtained after 2, 4 and 6 weeks. Mild fatty infiltration was observed in 2 weeks of feeding and it became evident in 4 and 6 week samples. The level of hepatic triglyceride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data obtained in the pathological analysis. Feeding mice with ethanol diet resulted in the maturation and translocation of SREBP-1 to nucleus in the liver. Western blot analysis of the pooled liver sample of control and ethanol fed animals showed a clear-cut time-dependent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nSREBP-1. These data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selecting proper time point in experimental intervention study in the field of drug development for alcoholic liver disease.

만성적인 에탄올 섭취와 천연물 투여가 흰쥐의 항산화계와 에탄올 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ronic Ethanol Consumption and Herbal Extracts Administration on the Antioxidant System and Ethanol Oxidation System in Rats)

  • 김목경;현선희;정세영
    • 약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54-262
    • /
    • 2006
  • This study had been done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Vitis vinifera extract(V),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S), Taraxacum officinale extract (T), Gardenia jasminoides extract (G), Angelica acutiloba extract (A) and Paeonia japonica extract (P), and their mixtures on the antioxidant and ethanol oxidation system which was induced by Lieber-DeCarli ethanol liquid die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eight groups: ethanol diet (ED), normal diet (ND), ED+V (100 mg/kg/day), ED+S, ED+T, ED+G, ED+A and ED+P (300 mg/kg/day). We studied the effect on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fter herbal extracts administration for 6 weeks in rats induced by Lieber-DeCarli ethanol liquid diet. The differences in ADH and ALDH activity of the rats treated with herbal extracts and ED group were not significant. Phase I enzyme activ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D+V than the ED group. Phase II enzymes (glutathione-S-transferase, phenol sulfatransferase) activities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herbal extracts than the ED group. Herbal extracts not only reduced ethanol-induced elevation of level malondialdehyde but also protected against ethanol-induced decrease of reduced glutathione, gluthione reducatse, glutathione peroxidase,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ies. Therefore, they can be utiliz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or new drug candidate for fatty liver and hepatotoxicity which was induced by chronic alcohol consumption.

곤드레 (Cirsium setidens) 에탄올 추출물의 알코올성 지방간 손상 억제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irsium setidens ethanolic extracts against alcoholic fatty liver injury in rats)

  • 김은혜;정자용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6호
    • /
    • pp.420-42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Sprague-Dawley 종 흰 쥐 수컷을 정상 대조군 (C), 알코올 군 (E), 알코올 + 100 mg/kgBW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군 (E+LCS), 알코올 + 500 mg/kgBW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군 (E+HCS)으로 나누어 Lieber-DeCarli control diet 혹은 Lieber-DeCarli ethanol diet를 8주간 공급하였으며, 이때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은 액상 사료에 직접 섞어 공급하였다. 알코올과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의 식이 공급 종료 후 간 조직의 지방구 축적 정도를 살펴본 결과, E+LCS군과 E+HSC군은 E군에 비해 지방간 발생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며, 정상 대조군인 C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와 비슷하게,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의 공급은 알코올에 의해 증가된 간 조직과 혈청의 중성지방 농도를 유의적으로 낮추었으며, 혈청 AST와 혈청 ALT 활성도 정상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의 공급은 p-AMPK과 p-ACC 단백질 수준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두 단백질 모두 E군에 비해 E+HSC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FAS mRNA와 SCD1 mRNA 수준은 E군에 비해 E+HSC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은 간 조직에서 알코올 공급에 의해 증가된 $NF{\kappa}B$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낮추었으며, $NF{\kappa}B$의 표적 단백질인 $TNF{\alpha}$ 단백질 수준을 농도의존적으로 낮추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곤드레는 알코올에 의한 지방간 발생 및 관련된 간 손상을 유의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AMPK 활성 증가와 $NF{\kappa}B$ 활성 억제가 관여함을 제시하였다.

보리수열매주의 알코올성 지방간 형성 억제 효과 (Cherry Silverberry (Elaeagnus multiflora) Wine Mitigates the Development of Alcoholic Fatty Liver in Rats)

  • 김주연;남경숙;노상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7-6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보리수 열매를 원료로 하여 만든 보리수열 매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고, 흰쥐에 보리수열매주의 급여가 알코올 지방간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코올의 섭취로 지방간을 유도하기 위하여 Lieber-DeCarli 액체식이를 공급하였으며, 액체 표준식이만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군(control), 대조군과의 열량 차이를 에탄올로 보충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에탄올군(ethanol), 에탄올 대신 보리수열매주를 혼합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보리수열매주군(cherry silverberry wine, CSW)으로 6마리씩 3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실험 시작 전, 3주째, 그리고 6주째에 혈액을 채취하였고 간은 6주 혈액 채취직후 적출하였다. 보리수주의 총 페놀함량은 37.24 mg/100 mL, SOD 유사활성은 22.26%,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3.69 %로 나타났다. 혈액의 주요 지방간 표지자들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보리수열매주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군의 간은 지방구가 축적되어 비대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보리수열매주군의 간은 지방구의 크기나 수가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간조직의 총지방량 농도도 보리수열매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보리수열매주가 알코올 섭취로 증가된 혈중 지질 수준과 간기능 지표 수준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간조직에 지방간 형성이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간조직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는 보리수열매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피토케미칼 성분의 항산화 효과로 인해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보호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결과로 사료된다.

Chronic saponin treatment attenuates damage to the pancreas in chronic alcohol-treated diabetic rats

  • Choi, Mi Ran;Kwak, Su Min;Bang, Sol Hee;Jeong, Jo-Eun;Kim, Dai-J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4호
    • /
    • pp.503-512
    • /
    • 2017
  • Background: Chronic heavy alcohol consumption may raise the risk of developing type 2 diabetes mellitus. Saponins inhibit apoptosis of pancreatic islet cells and reduce lipid parameter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ponin on chronic ethanol-treated diabetic rats. Methods: Long-Evans Tokushima Fatty (LETO) and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OLETF) rats were pair-fed a Lieber-DeCarli diet with and without 5% ethanol for 12 wks. Two weeks after starting the pair-feeding with the Lieber-DeCarli diet,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aponin was performed for 10 wks. To perform the experiments, rats were divided as follows: LETO-Control (LC), LETO-Ethanol (LE), LETO-Ethanol-Saponin (LES), OLETF-Control (OC), OLETF-Ethanol (OE), and OLETF-Ethanol-Saponin (OES). Results: The weights of epididymal and mesenteric fat tissue in LES and OES rats were the lightest from among the LETO and OLETF groups, respectively. The secretion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cholesterol in OES rat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ir secretion in OC and OE rats, respectively. The islets of the pancreas in LE and OE rats showed clean, unclear, and smaller morphology compared to those of LC, LES, OC, and OES rats.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insulin in the islets of the pancreas in LC, LES, OC, and OES rats was higher than in LE and OE rats. Conclusion: Saponin may not only be helpful in alleviating the rapid progress of diabetes due to chronic alcohol consumption in diabetic patients, but may also show potential as an antidiabetic drug candidate for diabetic patients who chronically consume alcohol.

에탄올 장기 투여에 의한 쥐 심근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와 생체내 항산화 효소활성의 변화 (Effect of Chronic Ethanol Administration on Oxidative Stress and Cellular Defence System in Rat Myocardium)

  • 오세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7호
    • /
    • pp.721-728
    • /
    • 1996
  • The level of oxidative tissue damage caused by free radicals generated from ethanol oxidation was determined in the myocardium of chronic ethanol fed-rats and the protective action of various radical scavenging enzymes was monitored, also.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given ethanol in an amount of 36% of total calories via Lieber-DeCarli liquid diet for 6 weeks. Control group was pair-fed with the diet containing isocaloric amount of dextrin-maltose instead of ethanol. Chronic ethanol administration resulted in the increased amount of myocardial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th parameter of lipid peroxidation, under our experimental condition. Chronic ethanol ingestion did not cause any change in activities of either glutathione peroxidase or glutathione reductase an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were decreased after ethanol treatment. Therefore, chronic ethanol administration seemed to cause considerble changes in cellular defense function against oxidative tissue damage in rat myocardium through glutathione utilizing system and radical generation system. However the ultimate net result of chronic ethanol inestion on the myocardium of rat was the oxidative tissue damage revealed by increased TBARS content.

  • PDF

흰쥐에서 감귤과피 추출물의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작용 (Protective Effect of Citrus unshiu Peel Extract on Ethanol-Induced Fatty Liver in Rats)

  • 김주연;최인욱;노상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87-193
    • /
    • 2014
  •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한 생리활성으로 주목받고 있는 감귤과 피 추출물의 급여가 지속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지방간 유도식이인 Lieber-DeCarli 액체식이를 공급하였으며, 액체 표준식이만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군(control), 대조군과의 열량 차이를 에탄올로 보충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에탄올군(ethanol), 에탄올군과 동일한 식이와 감귤과피 농축액을 마리당 1 mL 혼합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감귤과피 추출물 투여군으로 하여 그룹당 8마리씩 6주간 사육하였다. 실험 시작 전, 3주째 그리고 6주째에 혈액을 채취하였고 간은 6주 혈액 채취 직후 적출하였다. 체중증가율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에탄올군, 감귤과피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혈액의 중성지방 농도는 대조군, 에탄올군, 감귤박 추출물 투여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혈중 ALT, AST, ALP의 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해서 에탄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감귤과피 추출물에 의해서 감소하였다. 영상촬영을 통한 간 조직의 지방구 양은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군의 간 조직에서 지방구가 축적되어 크기가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감귤과피 추출물 투여에 의해서 대조군 수준으로 작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간조직의 총지방 함량과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알코올 투여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감귤과피 추출물 투여에 의해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조직의 주요 지방 종류별 총지방산 비교에서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인지질 분획의 대부분의 지방산 함량이 에탄올군에 비해 감귤과피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대조군 수준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감귤과피 추출물이 알코올의 섭취로 인해 증가된 간 기능 지표 수준을 개선시키고, 간조직의 지방간 형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감귤과피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알코올에 의한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간 기능을 개선시켜 지방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여 앞으로 감귤과피가 지방대사 개선 식품소재로서 이용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흰쥐를 대상으로 한 양파주의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 (Protective Effect of Onion Wine on Alcoholic Fatty Liver in Rats)

  • 김주연;서윤정;박중협;노상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67-47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흰쥐를 이용하여 양파주의 섭취가 알코올성 지방간 증상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ieber-DeCarli 액체 표준식이만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군, 대조군 표준식이의 탄수화물 대신에 에탄올로 열량을 대체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에탄올군, 에탄올로 열량을 대체한 식이에 양파주를 추가로 공급받는 동물군을 양파주군으로 설정하여 6주 동안 공급하였다. Lieber-DeCarli 식이공급 전, 3주째 그리고 6주째에 혈액을 채취하였고, 간은 6주째 혈액 채취 직후 적출하였다. 양파주 농축액의 섭취로 인해 혈액의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에탄올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혈액의 ALT, AST, ALP 농도 모두 에탄올군에 비해 양파주군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 조직의 총지질과 콜레스테롤의 농도 모두 양파주의 공급으로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주요 지방산 비교에서도 대부분의 지방산이 에탄올군에 비해 양파주군에서 농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양파주의 공급이 간 조직의 지방산 축적도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해 양파주가 알코올 섭취로 증가한 혈중 지질 수준과 간 기능 지표 수준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지방간 형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간 조직 지방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렇게 개선된 지표들을 바탕으로 양파주의 섭취는 간 조직 보호 효과와 알코올성 지방간의 개선 효과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흰쥐에서 단감발효주가 알코올성 지방간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weet Persimmon Wine on Alcoholic Fatty Livers in Rats)

  • 남경숙;김주연;노상규;박중협;성언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548-15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흰쥐를 이용, 단감발효주의 항산화성과 알코올성 지방간 증상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ieber-DeCarli 액체 표준식이만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군, 에탄올에 의한 열량 보충으로 대조군과 동일 열량의 액체식이를 공급받은 에탄올군, 에탄올군과 동일한 양의 알코올을 함유하는 단감발효주가 혼합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단감발효주군으로 하여 7마리씩 3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시작 전, 3주째, 그리고 6주째에 혈액을 채취하였고 간은 6주 혈액 채취 직후 적출되었다. 단감발효주의 총 페놀함량은 24.59 mg/100 mL이었고 SOD 유사활성은 20.9%이었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7%로 나타났다. 6주간의 체중증가율은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에탄올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에탄올군과 단감발효주간의 비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혈액의 중성지방 농도는 에탄올군과 단감발효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액의 ALT, AST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서 에탄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단감발효주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사진촬영에서와 유사하게 간조직의 총지방량은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단감 발효주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주요 지방 종류별 총지방산 비교에서도 중성지방 분획의 지방산들은 에탄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단감발효주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을 통해 단감발효주가 알코올 섭취로 증가된 혈중 지질 수준과 간기능 지표 수준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지방간 형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간조직 지방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는 전통기능성주인 단감발효주에 포함된 다양한 폴리페놀이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보호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증명한 실험결과로 판단된다.

만성적으로 알코올을 섭취한 쥐의 조직 내 Fatty Acid Ethyl Esters (FAEEs)와 지질과산화물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ronical Ethanol Ingestion on the Levels of Fatty Acid Ethyl Esters (FAEEs)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 Tissues)

  • 김민석;김세나;박현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5호
    • /
    • pp.413-418
    • /
    • 2007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effect of chronically ingested ethanol on the level of fatty acid ethyl esters (FAEEs), which is a non-oxidative metabolite of ethanol metabolism in tissues, and its correlation to the status of oxidative stress in rats. Forty male Sprague Dawley rats weighing 145 - 155 g were divided into 2 groups, Control and EtOH. All rats were fed Lieber-DeCarli liquid diet for 4 weeks by pair-feeding. An isocaloric maltose dextrin was added in replace of 50 g ethanol (36%kcal) in the control diet. Chronically ingested ethano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ntent of FAEEs in pancreas and liver, but not in brain. The level of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alpha}-tocopherol$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ancreas and liver. However, the levels of TBARS and ${\alpha}-tocopherol$ in brain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ethanol ingestion. Therefore, chronically ingested ethanol might cause tissue damage by increasing the levels of FAEEs and TBARS and dissipating more ${\alpha}-tocopherol$ in t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