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and Research

검색결과 3,894건 처리시간 0.034초

문헌정보학 연구방법으로서의 이야기 -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 (Narrative Inquiry, As a Research Methodolog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이호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49-172
    • /
    • 2015
  • 이 연구는 문헌정보학 연구방법의 하나로 이야기의 가능성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사회과학적인 인식의 방법으로서 이야기의 가능성과 힘을 논의하고, 서구 사회과학의 해석학적인, 내러티브적인 전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연구의 대상이면서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의 특징과 수행 절차를 소개하고, 문화기술적 연구와 현상학적 연구 등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미국에서의 선행연구 사례를 소개하면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탐구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문헌정보학 발전을 위한 국가연구지원기관의 역할 (The Innovative Role of National Supporting Agencies for Developing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산업기술정보원 정보자료실
    • 정보관리연구
    • /
    • 제27권3호
    • /
    • pp.61-74
    • /
    • 1996
  •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개발 지원방법과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영국도서관 연구개발부(이하 BLRDD)와 미국도서관진흥재단(이하 CLR)을 현지에서 조사하였다. 본고에서는 양기관의 연구개발 지원활동의 역사, 조직의 개요, 지원방법, 대상분야의 특징 등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양기관이 문헌정보학계에 이바지한 역할을 기술하고자 한다. 그 역할은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 할 수 있다. (1) 문헌정보학의 선도적 연구를 위한 자금지원과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기여 (2) 연구기관 및 연구자의 육성 (3) 도서관 정보서비스의 개선과 이의 도서관 보급 (4) 전국적이고 국제적인 수준의 연구교류 기회 제공

  • PDF

문헌정보학 연구에 있어서 글쓰기의 혁신은 가능한가 (Is the new writing style possibl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tudies\ulcorner)

  • 김정근;김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2권
    • /
    • pp.27-59
    • /
    • 1995
  • The present writers have raised some basic questions related to writing. Do the theses produced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tell our story\ulcorner Are they field-oriented\ulcorner Are they easy to be read and to be a n.0, pplied by the librarians\ulcorner Problems in writing include research theme, research method and writing style. The present writers have a n.0, pplied phenomenological a n.0, pproach to these problems, using the observation of 'Co-workers Team' and interpretation of the 'Term Paper Collection'(vol.1-vol.5). Co-workers Team members consist of 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rchives and Information Studies of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We have made some proposals in this paper: First, we should not talk about American story. We should talk about our own story, and go back to basic themes. This proposal is related to the innovation of research theme. Seco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hould be introduced extensively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ird, the strict 'thesis-oriented' and 'text-oriented' writing style should be overcome. The prevalent writing style in our field is so uniform that they are not capable of describing the intricate problems like "our living library".ary".uot;.

  • PDF

녹색도서관 분야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Literature Trends in Green Library)

  • 안인자;곽철완;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89-20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녹색도서관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연구 방향 및 내용 분석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녹색도서관 연구는 초기에 녹색도서관 건축에 대한 부분과 필요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으며, 점차 녹색도서관 운영에 대한 연구로 확산되었다. 녹색도서관 건축에 관한 연구는 LEED 평가시스템의 5가지 범주를 기반으로 진행되었으며, 5가지 범주 중 '에너지와 공기'와 '실내 환경의 질' 범주가 가장 중요시 되었다. 녹색도서관 운영에 대한 연구는 도서관 자원의 재활용에 대한 부분과 장서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한 에너지 활용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미래의 녹색도서관 연구방향으로, 해당 지역에 건립 가능한 도서관 수, 도서관 서가의 위치 및 간격, 도서관 공간구성, 서고에 소장할 자료의 비율, 이용자 연구를 제시하였다.

한국의 문헌정보학분야 석.박사 학위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1959∼2002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the Master′s & Doctor′s Dissertations in the Field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1959∼2002)

  • 손정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1-42
    • /
    • 2003
  • 이 연구는 1959∼2002년간의 문헌정보학분야 석ㆍ박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1959∼2002년간의 연평균 발표량을 38.5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도별로는 2002년이 가장 많고, 영역별 연평균 발표량은 순위는 도서관경영, 정보학, 공공봉사, 자료조직, 서지학, 장서개발(관리), 도서 및 도서관사, 문헌정보학기초 순으로, 각 영역의 주제별로는 문헌정보학교육, 도서관경영론 전반, 분류법, 장서개발(관리) 일반, 참고 정보봉사, 분석서지학, 도서관사, 정보검색분야가 각 영역의 타 주제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국내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분야의 연구 동향과 과제 (Research Trends and Tasks in the field of Public Library Programs in Korea)

  • 김판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51-71
    • /
    • 2022
  • 1990년대 이후 사회적 변화와 이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공공도서관에서 프로그램이 주요 업무로 그 비중을 높여가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에서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분야의 성장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에서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분야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따라 국내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분야의 연구 동향을 실제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저자키워드 프로파일링에 기초한 지적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RISS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저자키워드(비통제키워드)에 기초하여 주제어 분석, 네트워크 분석 및 군집 분석, 시기별·년도별 분석을 단계적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이러한 지적구조 분석의 결과로 파악한 국내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향후의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교수연구업적 평가분석 - 문헌정보학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ssessment of Faculty Performance in Research Achievement : A Focus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 정진식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9-142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헌정보학분야 교수들의 연구업적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교수들의 연구업적 실태규명과 평가를 통해 향후 연구의 질적 제고를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질문지와 문헌조사 방법으로 2003년에서부터 2007년까지 5년 동안 교수들의 학술저서와 연구논문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 결과 41명의 교수들이 출판한 학술저서는 총 49권이며, 연구논문은 총 239편이다. 연구결과 교수 개개의 연구업적에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업적의 질적 및 양적 측면에 개선이 있어야 할 것이다.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Job Seeking College Degree Candidates and the Librarians Concerning Library Specialized Services

  • 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81-108
    • /
    • 2019
  • This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subject specialization services and the opinions of students major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eparing for librarianship, librarians operating in the field, and library directors on the status and ways of nurturing subject specialization for librarians, among others. To this en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survey questionnaire analysis, we have presented a policy to train subject librarians. First, we have proposed a plan for systematizing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with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 have also suggested ways to secure subject expertise based on curriculum management, minor programs, multi-major programs, and interdisciplinary major programs based on the standard curriculum model. Second, we have presented a subject specialization educational system for field librarians, and further suggested details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help build subject expertise and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methods as well as the personnel in charge of implementing the educational programs. Third, we have propose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qualifications of the subject librarian where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have been organized considering academic background, major program, library career, and career experience in the subject specialization service, further suggesting the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ystem.

Passive Design Elements i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Public Librarie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Site and Building in the G-SEED Pre-certified and Non-certified library -

  • Lee, Ga-Young;Oh, Joon-Gul
    • KIEAE Journal
    • /
    • 제15권6호
    • /
    • pp.27-36
    • /
    • 2015
  • Purpose: The definition and factors of passive design being the sustainable method of building plan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is deducted and the effect of passive design within the public library by applying the deducted factors in the case of built public libraries and further the realization plan of green library aimed to be reviewed in this research. Method: This study is to induce common elements of architecture plan for public library and passive design, and assess application level of re-classified elements of sustainable public library in order to analyze present condition of passive design applied on facilities of public library. First, related laws and planning standards of public library will be reviewed, then the definition of passive design will be considered using advanced research. Through advanced research related to planing elements and passive design for library induced from various plans for library standards, a common ground of induced passive design element will be transformed into assessment items and practices to be analyzed. Result: Libraries which are and are not preliminarily certified by G-SEED will b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passive design on G-SEED. Even though various passive elements such as load reduction of air conditioning and energy efficiency exist, there are no assessment tool within G-SEED. The fact that there are only standards for temporary methods such as utiliz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 and installation of equipment highlights the challenges in quantitative evaluation.

Construction of a Hexapeptide Library using Phage Display for Bio-panning

  • Cho, Won-Hee;Yoo, Seung-Ku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7권2호
    • /
    • pp.97-101
    • /
    • 1999
  • Random hexapeptide library on the surface of filamentous bacteriophage was constructed using the SurfZAP vector. The size of the library was approximately 105. The peptide insert was flanked by two cysteines to constrain the peptide structure with a disulfide bond. This library was screened for the topoisomerase II binding peptide. Dramatic enrichment of the fusion phage over the VCS M13 helper phage was demonstrated by bio-panning affinity sele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