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Service Competency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18초

A Study on the Operation of Librarian Learning Communities and Competency Improvement

  • Youngmi Jung;Younghee Noh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111-136
    • /
    • 2024
  • In this study, we collaborated with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s Library Education Institute to pilot the operation of a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and aimed to measure its effectiveness based on the improvement of librarian competencies. A total of 28 participants attended four programs,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analyzing competencies in terms of community capacity, attitude competenc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knowledge and skills competencies in that order.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competencies showed that there were mutual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competencies. Second, in the pre-post analysis of the three competencies and their sub-competencies, it was found that all competencies, including sub-competencies, impro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the average competencies of librarians can be improved, which can directly impact the enhancement of the library's service capabilitie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need to activate the operation of librarian learning communities and explore nationwide dissemination strategies for the operating model.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학생의 핵심역량 함양 자아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A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Awareness of School Library Service Facilitation and Self Efficacy toward Core Competencies)

  • 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15-232
    • /
    • 2018
  • 학생의 핵심역량 함양과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고등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웹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2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이 느끼는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은 5점 중 3.72점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6가지 핵심역량에 대해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을 조사한 결과, 의사소통 역량이 4.07점으로 가장 높게, 창의적 사고 역량은 3.6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 이용자의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핵심역량 자아효능감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6개 핵심역량 모든 영역에서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통계적으로 뚜렷하게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방향 설정과 학교도서관 교육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의 실천을 가속화시켜줄 바탕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구성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Competency Model of Teacher Librarian)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5-65
    • /
    • 2007
  • 본 연구는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즉, 수업전문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추출하고, 이를 모형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교과교사가 갖추어야 할 교수역량에 관한 문헌은 물론 사서교사의 자격기준 에 관한 문헌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모형은 교수-학습 과정을 고려하여 크게 수업 설계, 수업 실행, 수업 평가로 구분하고, 각 단계마다 단독수업과 협력수업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사서교사의 연수 프로그램이나 사서교사 양성 대학의 교육 과정을 개편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도서관 사서의 역량가치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Librarian's Competency Value)

  • 차성종;김진묵;박희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07-133
    • /
    • 2021
  • 본 연구는 정보전문직으로서 사서의 역량가치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사서의 역량 강화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로는 첫째, 도서관 인적자본으로서 사서의 공통 역량가치를 기량, 지식 및 행동과 태도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역에 대한 A도서관 사서의 역량가치를 평가한 결과, '사서의 행동 및 태도' 영역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사서의 기량' 영역, '사서의 지식' 영역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A도서관 사서의 '사서의 기량' 영역의 역량가치 평가에서는 '의사소통', '리더십', '기술' 평가요소 순으로, '사서의 지식' 영역의 평가에서는 '법률 및 정책', '마케팅', '학습 및 성장', '재무 및 회계' 평가요소 순으로, '사서의 행동 및 태도' 영역의 평가에서는 '윤리 및 가치', '대인관계', '고객 서비스' 평가요소 순으로 각각 평가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A도서관 사서의 역량가치 평가 결과에 대하여 평가 대상자 특성에 따른 평균 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한 결과, 전체 역량가치에 대해서는 '근무기간' 요인 만이, '사서의 지식' 영역에서는 '연령'과 '근무기간' 2가지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사서의 역량가치는 평가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사서의 기량' 영역의 역량가치에 대해 '최종학력' 요인 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사서의 역량가치를 높이는 데 있어 문제점 및 바람직한 개선방안에 대한 조사에서는 '사서자격제도'나 '사서 양성체계' 등 시스템적 측면에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비율이 높았다.

공공도서관 직원의 직무만족과 도서관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Librarian's Job Satisfaction in Public Libraries)

  • 김미진;김기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1-266
    • /
    • 2015
  • 도서관의 성과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 강화라고 할 때,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도서관 내부인적자원의 능력이 검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직원의 직무만족과 이용자가 인식하는 서비스 품질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 10개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직원의 직무만족도와 $LibQUAL+^{TM}$모형을 적용한 도서관서비스 품질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직무만족 중 직무자체 요인과 조직요인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서관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해 직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른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다문화서비스 담당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의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y for Multicultural Services Librarians)

  • 이연옥;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53-276
    • /
    • 2014
  • 최근 한국사회에 외국인근로자, 결혼이주여성, 유학생 등 이주민의 수가 증가하면서 문헌정보학 분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주민의 증가는 문헌정보전문직으로 하여금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주민에게 적절하며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역량을 개발할 것을 요구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시대, 사서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문화적 역량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다문화서비스 담당 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이란 무엇이며, 그 구성요소는 무엇인지 등 사서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내용 체계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다문화서비스를 이행하고 있는 사서, 다문화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사서에게 필요한 문화적 역량은 다문화에 대한 태도, 다문화에 대한 지식, 다문화에 대한 기술이라는 3가지로 구분되었으며, 그 세부적 요소로서 다문화 태도, 다문화구성원에 대한 지식,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지식, 장서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서비스전달, 언어의 다양성, 교육 및 인력개발 부문이 제시되었다.

계층분석방법을 활용한 사서교사 역량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ority of Teacher Librarians' Competencies Us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임정훈;이승민;강봉숙;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7-144
    • /
    • 2021
  • 본 연구 목적은 사서교사 역량을 재정의하고, 역량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사서교사 양성 및 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AHP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서교사들은 직무의 상위 계층 영역 중 정보 전문가, 교사, 경영자, 협력적 리더 순으로 우선순위를 인식하고 있었다. 하위 계층별로는, 장서개발·관리·보존, 교수·학습 매체 제작, 정보서비스, 도서관협력수업, 도서관활용수업, 콘텐츠 큐레이션의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학교도서관에서는 교육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장서를 개발하고 정보 자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역량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온·오프라인 장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학교도서관 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교수 매체 제작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찰했다. 이를 바탕으로 사서교사 양성 및 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정보활용교육 주요 토픽과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Librarian Teacher Evaluation Index in Teachers'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

  • 이민수;김혜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455-477
    • /
    • 2022
  •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의 주요 토픽과 사서교사 역량 강화를 위해 실시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사서교사가 적절한 요소를 통해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5년부터 2022년 5월까지 문헌정보학 분야 4대 학술지에서 출판된 정보활용교육 관련 논문들을 수집하여 LDA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토픽모델링 결과 20개의 토픽 중 정보활용교육(T10)이 12.0%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서관 활용수업(T2) 10.4%, 이용자 서비스(T3) 8.8%가 그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독서토론(T7) 3.3%, 독서교육(T19) 2.9%, 인력 관리(T13) 2.1%, 사서교사 직무 만족도(T17) 2.1% 등은 정보활용교육 토픽모델링에서 저조한 토픽들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도서관 사서교사의 수업모형개발(T1)과 교육과정 개발(T20)은 사서교사가 협업수업과 정보활용교육을 진행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현행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에는 고유한 평가지표로 반영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 '교육 및 수업 지원' 요소에 '수업모형 및 교육과정 개발'을 추가 평가지표로 제안하였다.

저자 키워드와 초록 분석을 통한 법학사서 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Law Librarians through Author Keywords and Abstract Analysis)

  • 이세나;이성신;백수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2-31
    • /
    • 2024
  • 이 연구는 국외에서 진행된 법학사서 관련 연구의 연구 동향을 확인하여 국내 법학 사서 관련 논의의 필요성과 주제 확장을 제안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외에서 진행된 법학 사서 관련 연구를 수집하여 저자 키워드와 초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법학 사서의 주요 역할이 법률 연구 지원 서비스, 법률 정보 서비스, 교육 서비스임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법률 연구 환경의 변화에 따른 법학 사서의 역할 변화, 법학 사서의 전문성과 역량 강화에 대한 주제들이 논의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법학 사서와 관련되어 논의되어야 하는 주제와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 지적자본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Model of Intellectual Capital of the Public Library)

  • 장우권;박성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71-397
    • /
    • 2012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지적자본과 평가지표를 통한 도서관의 지적자본 평가모형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은 지식정보서비스 기반 지적자본과 사회자본의 창출자이다. 연구에서는 정보생태환경에 기반을 둔 도서관의 핵심역량과 지표, 지적자본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평가모형을 도서관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도서관의 내외적 환경에 대한 가치와 역량을 정량과 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