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ibrary History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17초

한국의 현행 인쇄본 백과사전에 관한 분석적 연구 (An Analytic Study of the Current Korean printed Encyclopedia)

  • 김문영;박준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1
    • /
    • 2000
  •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general printed encyclopedia published and circulated in Korea. The main purpose it is to offer extensive information helping users or librarians to select superior encyclopedia. 4 printed encyclopedia published and circulated in Korea since 1993 are selected for this purpose And they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6 evaluation standards (purpose & scope, authority, accessibility, clarity & readability, format and special features & cost). Especially, 4 printed encyclopedia among the best American encyclopedia having long history were also co-analyzed to certificate the validity of the evaluative standards.

  • PDF

대륙별 국가주도형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주체와 내용 연구 (A Study on the Main Body and Content of State-led Library Servi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Continent)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25
    • /
    • 2020
  • 유엔 산하의 전문기구인 세계보건기구(WHO)는 지구촌 장애인이 10억 명(또는 세계 인구의 15%)을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장애인의 지식정보 욕구는 비장애인과 동일함에도 세계시각장애인연합(World Blind Union)에 따르면 장애인이 접근할 수 있는 자료포맷은 선진국마저 연간 출판된 도서의 10% 미만으로 추산되고 있다. 어느 국가를 불문하고 장애인 정보접근성을 개선하려면 국가도서관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륙별로 장애인을 위한 국가도서관 및 전국 도서관서비스를 대표하는 미국의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스웨덴의 매체접근기구(Myndigheten fö Tillgägliga Medier), 일본의 국립국회도서관(NDL), 남아프리카공화국의 SALB(The South African Library for the Blind)를 대상으로 역사와 발전, 법적 근거와 조직, 주요 업무 및 자아앤서비스의 특징을 정밀 분석·비교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2019년 국립중앙도서관 소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 1차 소속기관으로 격상된 국립장애인도서관의 역량강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학교마을도서관 운동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y of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Movement in Korea)

  • 변현주;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1-170
    • /
    • 2016
  • 본 연구는 학교마을도서관의 태동, 성장, 발전, 확산을 통한 성과요인을 분석하고 현 단계 학교마을도서관 운동의 과제는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마을도서관 운동과 관련된 관계자와 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문헌자료를 수집하였다. 학교마을도서관 운동의 추진과정을 태동기, 성장기, 발전기, 확산기, 전환기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학교마을도서관의 역사에 나타난 학교마을도서관의 운영 성과와 의미를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마을도서관은 문화소외지역 중심으로 개설되어 공공도서관의 부족과 작은도서관의 편중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였다. 둘째, 농 산 어촌 지역의 소규모 초등학교에 부족한 장서를 제공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운영이 활성화되었다. 셋째, 학교도서관의 운영인력과 장서, 공간을 활용하여 지역주민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도서관 서비스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었다. 넷째, 학교마을도서관이 지역 커뮤니티 거점 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고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었다.

문헌정보학 분야의 어린이 서비스 관련 연구경향 분석 - 1981년~2010년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Analysis for the Tendency to Study Children's Service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cused on Masters and Doctoral theses Submitted from 1981 to 2010)

  • 공정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03-325
    • /
    • 2011
  • 본 연구는 도서관의 어린이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앞서 활발하게 진행된 북미와 우리나라의 연구동향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문헌정보학계의 연구주제 및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학위논문의 분석기간은 1981년부터 2010년까지 30년이며, 한국은 110편, 북미는 89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학위논문의 초록을 보고 학위논문의 주제를 자료, 서비스, 프로그램, 경영 및 관리, 어린이 행태, 이론 및 역사 등 6가지로 나누어 세부주제별로 다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도별 학위논문 생산량으로 한국은 최근 연구가 급증하였으며, 북미는 학위논문의 생산이 일정하였다. 둘째, 연구주제로 한국은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북미는 어린이 자료에 대한 연구가 약 50%씩을 차지하였다. 셋째, 학위별로는 한국은 석사학위논문이, 북미는 박사학위논문이 약90%를 차지하였다. 넷째, 한국이 북미보다 많은 주제는 프로그램, 서비스, 경영 및 관리 분야였으며, 북미가 한국보다 많이 연구된 주제는 어린이 자료, 어린이 행태, 이론 및 역사 등이었다.

근대한국도서관사 연구 - 개화기의 근대도서관 성립과 그 성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s Modern Library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stablishment of Modern Libraries and its Characteristics in the Opening Period. -)

  • 이춘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9권
    • /
    • pp.11-4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odem library which was in a germinal stage at the opening period of Kore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Modern libraries which began to develop during the opening period of Korea were deeply rooted in the spirit of patriotism. After 1905, which was the year of so-called Korean-Japanese Protocal concluded under the Japanese military pressure, the patriotic enlightenment campaign against foreign penetration developed rapidly throughout the country. Accordingly, the movement for establishing modern library was carried out among advanced reformers. 2. The first modern school library was built in the private school of Wonan established by the residents of Wonsan area. They believed that the best way to strengthen the national power to oppose Japanese penetration was to learn the Western culture and technology. 3. The first modern public library named The Central Library of Korea was originated by Oh Ha Young and his comrade in 1906. Included among these promoters of the library were Yun Chi Ho and Min Sang Ho, two persons who had experienced Western culture during their study abroad. 4. Pakmunkuk, the newspaper office of the government, had its own library in 1883 which was the first modernized special library in Korea. 5. Major factors which hindered the rapid growth modern libraries m the opening period are as follows; (1) Lack of people's demand fer the library. (2) Limited scope of the publications(mainly school text-books) (3) Poor financial conditions. 6. Japanese invasion in 1910 had broken the growing roots of modern libraries in formative stage.

  • PDF

도서관자료(圖書館資料) 보존(保存)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Library Materials)

  • 권기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9-213
    • /
    • 1984
  • The history of recording and conserving for maintenance the human's memory from ancient times to modern's has brought about a lot of changing process of the recorded information media with developing in culture, and each society has made important recorded materials in his library as essentially the social apparatus. But most of them that were damaged by factors of the natural disaster, humidity, temperature, light, fungi and insects in the library, and were resulted in deterioration and losing the numerous materials. For removing the inevitable phases repeated, there are studying for counterplan of the fundamental environment factors about preservation, restoration and chemical research of materials in advanced countries, but I get a few researches about protecting the cultural properties. Therefore I research the survey of the actual conditions on 72 university libraries centering around them, and then I have researched the collection rate 81 percent, 58 university libraries. (local : 35, in seoul : 23)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 propose the model of the environment factors of conserving the library materials. 1) To apply the equipment of processing the radiant energy to the new construction and buildings. 2) To remove factors that occur fungi and insects by facilities being controlled relative humility, temperature, and to equip the ventilation arrangement in the library. 3) To shelve all acquired and bound materials after proceeding the vacuum fumigator. 4) Those who want to enter into the library stack were surely taken in sterilzing their hands and shoes, and must put on the gown. 5) To use the vacuum dusting thing (machine) for removing the dust without spreading out the floor of the library at any time. 6) To set up the gas automatic fire extinguisher worked by smoke sensor. 7) To assist the research into the preservation, natures and environment of recorded materials, and to supply financial funds for librarian. 8) To hold regularly the workshop be able to educate the methods of preservation materials by the constant system. (Library Association) 9) To add to responsibilities on certification of preservation materials for librarian. 10) To hold the constant committee system in each library. 11) To keep up with the ideal environment (humidity, temperature, light, ventilation, etc.) of preservation materials in the arrangement room, and to put on the gown.

  • PDF

공공도서관에 대한 사서와 이용자 인식 비교 연구- 서울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the Perceptions on Public Libraries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A Survey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ublic Libraries)

  • 표순희;차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21-24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와 이용자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도서관 발전방안 수립 및 서비스 방향 설정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공공도서관의 사서와 이용자 각각 270명, 820명을 대상으로 현재 도서관의 환경, 미래 도서관의 역할 및 위상, 도서관 정책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사서들은 오랜 역사와 축적된 자원을 가장 큰 강점으로 인식하는 반면, 이용자들은 인적자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미래의 위상에 대해서는 사서와 이용자 모두 독서와 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어, 두 집단이 공공도서관에 대한 공통된 기대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미래 도서관의 정책 방안으로 사서는 노후시설의 개선과 사서의 재교육을 제시한 반면, 이용자는 장서 확충과 열람실 이용 확대를 원하는 등 두 집단 사이의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인식 차이를 고려한 공공도서관 정책 개발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대학도서관 자동화시스템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Academic Library Automation Systems)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9
    • /
    • 1999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자동화시스템의 품질을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도서관자동화의 현단계를 진단하고 현행 자동화시스템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치유하여 향후 보다 바람직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략과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대의 SOLARS, 포항공대의 LINNET, 그리고, 부산대의 PULIP (Vintage Las의 customized 형태)을 사례로 선정하여, 각 시스템의 개발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또한, 품질평가를 위한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하여 각 시스템의 기능을 비교하였고, 나아가, 각 시스템의 장단점을 사서와 최종이용자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대학도서관 자동화시스템의 품질을 열악하게 만든 주요 요인은 : 계획 부재와 졸속 시행, 자동화 전문 인력의 부족, 시스템 중심의 개발 전략, 이용자의 행태에 대한 분석 결여, 도서관들 사이의 협조체계 미비, 과정에 대한 문서화 작업의 소홀, 그리고, 시스템에 대한 평가과정의 결여 등으로 요약된다.

  • PDF

일본 공공도서관의 민간위탁과 사서직의 위기 (The Outsourcing of the Public library Management and the Crisis of Librarianship in Japan)

  • 김영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9-141
    • /
    • 2003
  • 이 논문은 일본의 공공도서관에서 일어나고 있는 도서관의 관리운영의 민간위탁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1970년대 국가적인 행ㆍ재정개혁이라는 정책의 일환으로 시작된 효율적 운영과 지방재정의 위기가 맞물리면서 일어난 민간위탁에 대해서 그 이유와 배경, 역사를 살펴보고,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대응 및 대비책을 찾아내고자 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이런 일련의 민간위탁이 진행됨에 따라 감량경영, 효율적 관리에 의한 사서의 감소, 사서직종의 폐지, 그리고 도서관의 얼굴인 대민봉사업무의 민간업자에 의한 위탁에 따른 비정규직이 증가함으로써 파생되는 사서직의 위기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한국기록보존사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archival librarian in korea)

  • 김상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39-59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archival librarian in Korea. The importance of archival work requires that archivists should receive an archival education at university. But there is no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in Korea. The interdisciplinary character of archival studies programs make it possible to place them in a variety of setting, such as a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 of history. Currently, archival education must assume a much more prominent role with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ors, increasingly concerned with their own survival, seek rational ways to diversify their area. They are looking at mergers with allied fields. Archival education programs will find a welcome home in a number of existing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chival education programs c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ree categories undergraduate coursework, master of archival studies, an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he body of knowledge that a student should master as part of an archival education program is classified here as basic knowledge of archival studies, specified knowledge of archives and records, practical knowledge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complementary and contextual knowledge of archival stud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