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ians' Role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5초

레퍼토리 그리드 기법을 통한 학교도서관 서비스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School Library Services Using the Repertory Grid Technique)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49-270
    • /
    • 2023
  • 본 연구는 레퍼토리 그리드 기법을 적용하여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인적자원(사서교사, 교과교사, 사서)간의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내적 경험의 차이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요소 강도, 구성개념 극단, 불일치 구성개념, 암묵적 딜레마 등의 지표를 활용하였다. 렙그리드의 요소를 9개로 설정하고, 현장 사서교사 3명과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전개하여 14개의 구성개념을 설정하였다. 교육대학원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웹상에서 접근이 가능한 GRIDCOR 6.0을 통해 레퍼토리 그리드를 완성하도록 하고, 그 중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최종 6개를 선정, 분석하였다. 요소 강도의 관점에서 보면, 학교도서관 서비스 중에서 자료관리, 도서관협력수업, 독서·정보 상담 서비스가 중요하고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개념 강도의 관점에서 볼 때, 자기 역할이 분명한 정도, 실제 수행 정도,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지역 거점도서관 건립을 위한 이용자 인식조사 연구 - 광주광역시 하남도서관을 대상으로 - (A Study on User's Perception Survey for Establishment of Regional Base Library: Centered on Gwangju Metropolitan Library)

  • 한상우;장우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67-292
    • /
    • 2022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건립될 거점도서관인 하남도서관 운영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이용자, 공공도서관 사서, 거점도서관의 관리자 등으로 대상을 구분하여 인식조사를 진행하여 거점도서관의 장서, 프로그램, 지위, 역할, 공동보존서고의 운영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이용자가 선호하는 정보자원은 문학 주제의 단행본이며, 선호하는 도서관 서비스는 정보자원의 이용과 문화행사의 참여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사서는 이용자 대상 도서관서비스와 도서관 간의 협력사업을 수행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분담 수서를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업무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공동보존서고의 운영에 대하여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거점도서관 관리자는 거점도서관의 지위와 역할을 명확하게 하여 도서관 거버넌스를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고, 공공도서관으로서 지역의 이용자에 대한 정보서비스와 협력사업의 추진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남도서관 종합운영계획의 수립 및 향후 운영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공유경제의 도서관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ying the Sharing Economy to Libraries)

  • 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75-98
    • /
    • 2016
  • 공유경제가 향후 10년을 지배할 지속가능한 시스템, 그리고 세상을 변화시킬 10가지 아이디어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공유경제가 도서관과 어떤 관련성이 있으며, 공유경제의 핵심모델로서 도서관은 공유경제 활성화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유경제관련 문헌분석 및 공유경제 실현 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은 수세기 동안 정보 및 도구를 공유해 온 공유경제의 성공적 모델로서 도서관이 공유경제를 리드할 수 있는 기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도서관은 무한상상실 및 스마트워크센터 기능을 하는 장소 및 공간의 공유, 도서관의 각종 자원은 물론 리틀프리도서관을 통한 물품의 공유, 그리고 참고서비스 및 각종 지식의 공유를 통해 공유경제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도서관에 공유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는데, 그 역할을 적극적으로 해내고 성패를 좌우하는 것은 사서라는 것이다. 향후에는 도서관 공유경제 실현사례의 성과를 측정하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문헌정보학과 재학생의 취업전망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LIS Employment Prospects: LIS Students' Perspective)

  • 노영희;안인자;이종문;오세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43-167
    • /
    • 2013
  • 도서관의 인력은 도서관서비스 수준을 결정하고, 도서관의 수준은 한 나라의 지적 역량을 가늠하는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문헌정보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서직 취업전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도서관으로 취업하고 싶다는 비율이 40%로, 다른 분야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그들은 사서직 고용환경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향후 발전가능성이 있다는 취업전망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설문응답자가 희망하는 업무로 '문화프로그램 등 업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현재의 교육과정에는 대체로 만족하지만 취업지원프로그램으로 진로지도와 취업멘토링, 인턴십에 대해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다. 넷째, 학생들은 학업성적, 어학능력, 각종 자격증 취득, 인턴 및 실습, 경력관리를 매우 중요한 취업요건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생들의 직장선택에 영향을 주는 조직 환경적 요인은 보수와 복리후생, 자기발전 기회부여, 근무조건과 조직문화, 조직의 발전가능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개인적 요인은 개인의 적성, 취업분야 지식 및 기술 수준, 사회적 대우 및 인식, 전공일치여부, 직장과의 거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문헌분석을 통해서 도출한 공공도서관 소비자건강정보(CHI) 서비스 연구 (A Critical Analysis of Literature for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 노영희;오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7-77
    • /
    • 2011
  • 인터넷사용량의 증가,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공공도서관에서의 소비자건강정보(Consumer Health Information: CHI)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경우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할 수 있는 CHI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CHI와 관련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공공도서관 사서(소비자건강사서)의 역할, 그리고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CHI 서비스 내용 등을 규명하고자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해야 할 서비스로는 1) CHI 장서 및 정보원 개발, 2) CHI 참고서비스, 3) CHI 이용자 교육, 4) CHI 취약 계층에 대한 서비스, 5) CHI 아웃 리치 프로그램 개발, 6) CHI 협력체계구축 등이며, 각각의 서비스 개발에 대한 현황과 관련 사례를 제시했다. 비록 본 연구에서는 미국 및 국외 나라들의 서비스를 위주로 조사했지만, 연구 결과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CHI 서비스 제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실제 서비스를 개발하는 중요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공유공간이 이용자 유동패턴과 도서관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Commons on User Traffic Patterns and Perceptions of the Library)

  • 박지홍;박진희;남은경;이서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3-110
    • /
    • 2013
  • 정보에 대한 접근을 증가시키는 기술의 사용은 지난 십 년 동안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정보공유공간의 등장은 이러한 변화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대부분의 이전 연구는 이의 개념이나 역할에 치중하였다. 반면, 정보공유공간을 공간서비스로 파악하고 있는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공유공간이 이용자 유동패턴과 도서관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있다. 정보공유공간이 도서관의 주요 공간과 시설로 자리매김하였고 이에 따라 이들이 이용자의 행위와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두 가지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관찰법을 사용하여 이용자들의 유동 패턴 및 행위를 관찰하였고, 둘째,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이용과 인식에 관한 인터뷰를 20명의 학부학생과 12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학부학생과 대학원생은 서로 차별화 되는 유동패턴을 보였고, 시설의 위치와 구조는 이용자들의 움직임과 행위에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인식은 도서관 전반에 대한 인식으로 해석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이용자 요구를 고려한 도서관 공간 설계 및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소비자 보건정보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for Activation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

  • 홍기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63-281
    • /
    • 2005
  • 본 연구는 소비자 보건정보서비스의 이론적 배경과 국내외의 이에 대한 현황을 문헌적으로 고찰하고 국내 병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에서의 소비자 보건정보서비스 제공실태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소비자의 보건정보요구에 대한 도서관의 역할을 제고하여, 그 요구에 대응하도록 도서관 봉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이 소비자보건정보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재 병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소비자 보건정보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인식을 하고 있으며, 소비자 보건정보서비스를 실시하게 될 경우에는 소비자의 예방적인 보건의료와 환자의 알 권리 존중이라는 영역까지 도서관의 기능화대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병원도서관내에 환자도서관 설치를 하여 적극적으로 소비자 보건정보서비스를 실시해 나가야하며 병원도서관이 환자 및 가족을 위한 의학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소비자용 보건정보자료의 적극적인 수집과 이에 대한 서지류도 같이 개발해야 할 것이다. 공공도서관도 적극적으로 보건정보자료를 수집하고 유지관리하며 참고실에 별도의 장서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MEDLIS(Medical Library Information System)의 subsystem으로 미국의 CHIN이나 CHIPS와 같은 협력망을 구축하고 소비자용 보건정보자료의 종합목록데이터베이스 제작과 상호대차시스템, 참고봉사 시스템의 구축으로 병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망을 구성한다.

  • PDF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기대수준에 관한 연구 - 고양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xpected Level of Users of the Public Library - Focused on the Public Library of Goyang -)

  • 이현정;남영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3-63
    • /
    • 2015
  • 도서관 서비스 품질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주관적 의미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개별 기대수준에 따라 만족과 불만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 서비스도 결국은 이용자의 기댓값에 따라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평가도 좌우될 수 있다. 이 연구는 고양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조사이다. 만족도의 조사 결과, 고양시민들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만족의 선호순위는 1) 시설, 2) 문화프로그램 및 강좌, 3) 사서친절도, 4) 소장자료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호순위의 내재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1) 도서관 공간에 기대수준, 2) 도서관 사서에 대한 기대수준, 3) 이용자가 새롭게 희망하는 서비스, 4) 도서관에서 희망하는 강좌 등을 연령별, 직업별로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도서관 이용법에 대한 요구는 연령이 높아지면서 나타났다. 또한 외부 강사활용과 같은 도서관외부자원을 활용한 서비스는 취업이나 예술강좌 등이었으며, 도서관 내 자원을 활용하는 독서강좌 등에 대한 이용자 기댓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종별 공간구성을 위한 핵심 도서관용품 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e List Development of Library Goods by Library Types)

  • 안인자;노영희;박미영;이재권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5-220
    • /
    • 2011
  • 최근 도서관 공간과 용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대하면서 담당 사서는 관련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업무 중요도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업무 수행을 원활히 하고, 이용자의 만족도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도서관, 학교도서관의 공간구성에 필요한 핵심용품과 비핵심용품을 개발하였다.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은 장서공간, 열람공간, 문화공간 등 9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용품 80-90개(핵심용품 50-60개, 비핵심용품 20-30개)를 도출하였다. 어린이도서관은 열람공간(서가공간, 진입공간), 특별활동공간 등 4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60-70개(핵심용품 30여개, 비핵심용품 30-40개)를, 학교도서관은 장서공간, 멀티미디어공간, 열람공간, 교수학습공간 등 7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90여개(핵심용품 30-40개, 비핵심용품 50-60개)를 제시하였다. 본 결과는 사서의 구매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추가적으로 관리지침 및 기준, 관리매뉴얼 등의 업무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s for Utilizing Digital Room in Public Library)

  • 문성빈;김판준;이미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21-350
    • /
    • 2009
  •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구축사업이 완료된 이후 약 5년이 경과한 현 시점에서 디지털자료실의 운영 현황을 조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디지털 자료실의 활성화와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무엇보다도 인프라 측면의 보완 및 개선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향후 운영 방안으로는 크게 디지털자료실 통합운영체계 구축과 디지털자료실 기능 다변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먼저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운영실태 조사 내용과 활성화 전략을 다각도로 검토한 결과, 현 시점에서는 디지털자료실에서 가능한 부문을 위주로 최대한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이 최선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기능 다변화는 기존의 디지털자료실 기능에 다양한 유형의 원자료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정보의 제작뿐만 아니라 교육 기능, 참고정보서비스 기능, 온라인/오프라인 커뮤니티 형성 및 정보공유 활성화 기능 등을 추가 또는 강화하여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은 단순한 인터넷 정보의 접근 및 이용을 위한 장소에서 사서와 이용자, 이용자와 이용자간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는 물론 정보나 지식의 공유 및 협력활동을 위한 온라인/오프라인 공간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