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xical effect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6초

영어 억양의 리듬효과 (A Rhythmic Effect of Tone in English)

  • 이주경;강선미
    • 음성과학
    • /
    • 제10권2호
    • /
    • pp.303-318
    • /
    • 2003
  •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tonal implementations of English stress clash, arguing that a preceding stress shifts leftward when two lexical stresses conflict across word boundaries or that H* and L* pitch accents are alternatively manifested on the stressed syllables, establishing intonational peak and valley contours. We claim that the H*/L* alternation might be a tonal strategy to avoid stress clash, and that pitch could be solely manipulated to display a rhythmic effect with maintaining lexical stress. In the experiment, we examined two-word combinations whose boundaries involve stress clash, and divided them into two categories. One has the preceding words involving a heavy syllable ahead of stress to guarantee the place for a shifting stress and the other, a light syllable, in which case stress shift is completely prevented.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pitch accents in the word combinations, focusing on the pitch configurations in the cases where stress should not be shifted. Results show that approximately 50% of the stimuli show stress shift in the heavy syllable combinations of the preceding words; the preceding stress is moved leftward within the word. The other 50% and the light syllable combinations show various pitch accents patterns; H* and L* alternation, deaccentuation of either stressed syllable, or L-insertion between two H* pitch accents, etc. We interpret this as a rhythmic effect of tone to avoid stress clash and suggest that a true stress clash would be confined into cases without H*/L* contours.

  • PDF

부정문 처리와 문장 진리치 판단의 인지신경기제: 한국어 통사적 부정문과 어휘적 부정문에 대한 ERP 연구 (An ERP study on the processing of Syntactic and lexical negation in Korean)

  • 남윤주
    • 인지과학
    • /
    • 제27권3호
    • /
    • pp.469-49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통사적 부정문(예를 들면, 침대는/시계는 가구에 속한다/속하지 않는다)과 어휘적 부정문(예를 들면, 호랑이는/나비는 꼬리가 있다/없다)을 이용하여 부정어 처리의 인지신경기제를 확인하고 부정문 처리의 언어 보편적/특수적 기제를 밝히기 위한 진리치 판단과제 및 ERP(Event-related potentials)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23명의 피험자가 전체 실험에 참여하였고 이들 중 15명의 뇌파 반응 데이터를 ERP 분석을 위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진리치 판단과제에 있어서는 영어를 이용한 선행연구들과 동일하게 긍정-참 >긍정-거짓>부정-거짓>부정-참의 순서를 확인할 수 있었다(높은 정확도, 짧은 반응 시간 순서). 그러나 ERP 결과에서는 선행 연구와는 다른 몇 가지 점을 발견하였다. 우선 어휘적 부정문의 경우 이른 시간 구간(250-350ms)에서의 N400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긍정문과 부정문을 아우르는 진리치 요인의 주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통사적 부정문의 경우 부정-참에 비하여 부정 거짓문장에서 P600 효과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표층적으로 나타나는 부정의 형태 및 위치와 같은 언어 특수적 요인에 대한 처리 전략은 각 언어별, 부정 종류별로 달라질 수 있지만 부정 처리의 결과로 얻어지는 문장의 최종 표상 및 이에 대한 진리치 판단의 기제는 언어 및 부정어 종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보편적인 특성을 지닌다는 것을 보여준다.

Perceptual development in the categorization of pitch accent contrasts in children and adults

  • Kim, Jung-Sun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3권3호
    • /
    • pp.11-18
    • /
    • 2011
  • This paper examines the categorical labeling of lexical pitch accent contrasts in North Kyungsang and South Cholla Korean listeners. It focuses specifically on investigating whether the pitch accent perception of adults and children has a dialect-specific effect.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perceptual identification, slopes, intercepts, and positions at categorical boundaries were computed using a logistic regression fun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ces in slopes and intercepts were significant between North Kyungsang child and adult listeners, but the same was not the case for the positions at boundaries. As far as South Cholla child and adult listeners were concern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lopes, but not intercepts and positions at boundaries. In the present study, the comparison of intercepts and slopes at the boundaries indicated developmental differences between North Kyungsang adult and child listeners. This improvement in categorical proportion seems to be a result of developmental changes in categorical perception. For South Cholla adult and child listeners, however, perception of the non-native contrast becomes less categorical.

  • PDF

영어의 강음절(강세 음절)과 한국어 화자의 단어 분절 (Strong (stressed) syllables in English and lexical segmentation by Koreans)

  • 김선미;남기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3권1호
    • /
    • pp.3-14
    • /
    • 2011
  • It has been posited that in English, native listeners use the Metrical Segmentation Strategy (MSS) for the segmentation of continuous speech. Strong syllables tend to be perceived as potential word onsets for English native speakers, which is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strong syllables word-initially in the English vocabulary.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Koreans employ the same strategy when segmenting speech input in English. Word-spott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vowel-initial and consonant-initial bisyllabic targets embedded in nonsense trisyllables in Experiment 1 and 2, respectively. The effect of strong syllable was significant in the RT (reaction times) analysis but not in the error analysis. In both experiments, Korean listeners detected words more slowly when the word-initial syllable is strong (stressed) than when it is weak (unstressed). However, the error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effect of initial stress in Experiment 1 and in the item (F2) analysis in Experiment 2. Only the subject (F1) analysis in Experiment 2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made more errors when the word starts with a strong syllabl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oran listeners do not use the Metrical Segmentation Strategy for segmenting English speech. They do not treat strong syllables as word beginnings, but rather have difficulties recognizing words when the word starts with a strong syllable.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intonational properties of Korean prosodic phrases which are found to serve as lexical segmentation cues in the Korean language.

  • PDF

한글단어재인에서 습득연령의 영향 (The Influence of Age of Acquisition in Hangul Word Recognition)

  • 이혜원;김선경
    • 인지과학
    • /
    • 제24권4호
    • /
    • pp.339-363
    • /
    • 2013
  • 습득연령효과는 연령 초기에 습득된 단어가 후기에 습득된 단어에 비해 효율적으로 처리되는 현상이다. 습득연령은 단어빈도와 함께 단어처리과정의 주요한 변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한글 단어재인에서 습득연령효과를 검토하였다. 실험 1에서는 단어명명과제와 어휘판단과제에서 습득연령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과제유형과 습득연령 간의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습득연령효과는 단어명명과제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어휘판단과제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어휘판단과제를 사용하여 습득연령과 단어빈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습득연령과 단어빈도는 각각 유의한 변인으로 드러났다. 후기습득 단어에 비해 초기습득 단어의 어휘 판단 수행이 우수했으며, 저빈도 단어에 비해 고빈도 단어의 어휘 판단 수행이 우수했다. 두 변인의 독립적 효과는 확인했으나, 둘 간의 상호작용은 없었다. 실험 3에서는 음 변화가 일어나는 단어 조건과 음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단어 조건에서 습득연령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습득연령효과는 두 조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두 조건 간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해 여러 가설들을 비교 논의하였다.

  • PDF

한국어 코퍼스에서 나타나는 빈도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Frequency Effects among Korean Corpus)

  • 정재범;임희석;남기춘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2년도 11월 학술대회지
    • /
    • pp.93-96
    • /
    • 2002
  • This research studied the correlation of word frequency effect in Korean corpus. Experiment 1 showed that word frequency of each other corpus was significant correlated. Experiment 2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ord frequency of each corpus and lexical decision time of participants. These results support that 4 corpus in this research should have stability to word frequency effect of participants

  • PDF

한국어 음절의 표기빈도와 형태소빈도가 단어인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rthographic and morphological frequency of a syllable in Korean word recognition)

  • 이광오;배성봉
    • 인지과학
    • /
    • 제20권3호
    • /
    • pp.309-333
    • /
    • 2009
  • 2음절 한자 합성어의 어휘판단에서 형태소 처리와 글자 처리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실험 1의 단어에 대한 반응에서는 어두와 어말 위치 모두에서 형태소 빈도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단어에 대한 반응에서는 글자 빈도의 효과와 글자-형태소 대응의 효과가 나타났다. 빈도가 높은 글자를 포함하는 비단어일수록 반응시간이 길었고, 글자-형태소의 대응이 불투명한 비단어일수록 반응시간이 길었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나타난 글자-형태소 대응의 효과를 단어에서 직접 관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단어 자극에 대해서도 글자-형태소 대응이 불투명할수록 어휘 판단이 느렸으며, 비단어 자극에서 그러한 경향이 더 뚜렷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글자-형태소 대응이 불투명한 단어의 경우 다양한 형태소를 활성화시키게 되고, 그 결과 형태소의 파악은 늦어지고, 결국은 단어 인지의 지연으로 연결된다는 주장을 지지한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글 표기 한자어의 인지에서 형태소 위치 효과, 글자 빈도의 역할 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PDF

A Set-theoretic Account of English Crossover Effects

  • Lee, Gunsoo
    • 한국영어학회지:영어학
    • /
    • 제1권1호
    • /
    • pp.101-117
    • /
    • 2001
  • In English, whether or not wh-movement creates weak crossover effects depends upon the type of wh-phrases that cross over. A bare interrogative like who shows a typical weak crossover effect whereas which N type (e.g. which girl) and partitive type (e.g. which of these girls) wh-phrases would show mere weaker and weakest crossover effects, respectively. Previous approaches to English crossover phenomena that resort to a binary notion of specificity or D-linking cannot account for the three-way contrast the three different types of wh-phrases show. To overcome this problem, I argue in this paper that specificity should be a non-binary set-theoretic notion and propose the following subset principle and optimal binding relation: Between two lexical nominal expressions A and B, A is regarded as more specific than B iff the denotation of A comes from a more narrowly defined non-singleton set than B. Between two lexical nominal expressions A and B, if A locally binds B, then the non-singleton set from which the denotation of A comes should be a subset of the set from which the denotation of B comes (i.e. B cannot be more specific than A). The smaller the subset (i.e. the wider the specificity gap between binder and binder), the more optimal the local binding relation is. A locally binds B iff A is coindexed with B, and A c-commands B, and there is no such C that does not bind A but binds B. Finally, I show that partitivity functions to carve out a smaller subset and thus make partitive wh-phrases more specific than simple which N type wh-phrases.

  • PDF

대명사의 참조관계 처리시의 맥락의 역할 (The Contextual Effects on Pronoun Reaolution)

  • 방희정
    • 인지과학
    • /
    • 제2권2호
    • /
    • pp.279-307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글이해시의 참조관계 처리 과정에서 맥락이 어떤 영향을 미치며 다른 통사 정보와는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대명사 해결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실험1에서는 무관단어 어휘판단 과제 및 선행참조어 강제선택 과제를 사용하여 글이해시 대용어 문장에서 제공되는 하위 수준의 국소적 맥락편중에 의한 촉진 효과를 입증했다.그러나 맥락 편중에 의한 촉진 효과는 통사적으로 명료한 조건에서는 보다는 애매 조건에서 더욱 강하여,맥락과 통사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냈다.실험 2 에서는 대용어 문장 수준에서는 국소적 맥락 정보가 주어지지 않더라도 선행글로 부터 제공된 상위 수준의 전체주제와 관련된 총체적 맥락 정보가 참조관계 해결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실험 3 에서는 전체 덩이글 에서의 선행된 총체적 맥락과 후행하는 국소적 맥락간의 일관성 변인이 대명사 해결시에 촉진적 역할을 하는것으로 나타났다.즉 세개의 실험을 통해 글이해에 미치는 맥락 촉진 효과가 다양한 수준에서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한국어 시·청각 동음동철이의 어절 재인에 나타나는 어휘-의미 상호작용 (Lexico-semantic interactions during the visual and spoken recognition of homonymous Korean Eojeols)

  • 김준우;강귀영;유도영;전인서;김현경;남현민;신지영;남기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1-15
    • /
    • 2021
  • 본 연구는 중의성을 가진 어휘가 심성 어휘집에 표상된 방식과 감각 양상에 따른 처리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어 동음동철이의 어절의 시·청각 재인 과정을 조사하였다. 청각 어절 판단 과제(실험 1)와 시각 어절 판단 과제(실험 2)를 이용한 두 실험에서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가진 동음동철이의 어절(예: '물었다')과 단일한 의미만을 가진 통제 어절(예: '고통을')이 사용되었다. 어절 자극들의 누적 빈도는 조작하는 한편, 각 동음동철이의 어절의 다양한 의미가 가지는 상대적 빈도는 통제하였다. 어절 판단 과제를 사용한 두 실험 모두에서 유의한 빈도의 주효과와 함께 의미 수에 따른 어절 유형과 빈도 간의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실험 1에서 청각적으로 제시된 동음동철이의 어절은 저빈도 조건에서 단의 어절에 비해 반응시간이 빠른 중의성 이득 효과가 나타난 반면, 고빈도 조건에서는 이와 반대로 비이득 효과가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시각적으로 제시된 실험 2의 자극에서도 유사한 상호작용 패턴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시각 및 청각 양상 모두에서 어휘-의미 처리가 상호의존적으로 이루어짐을 보여주며, 이는 의미 처리가 감각 의존적 단계보다는 일반적 어휘 지식 처리 단계에서 이루어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와 더불어 의미 선택 과정에서 동음동철이의 어절이 가지는 다양한 의미의 후보군은 어절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때에만 촉진적 피드백을 제공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