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isure Motive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8초

여가동기의 재구성: 여가동기에 따른 여가활동 선호 (New Conceptualization of Leisure Motivation: The Impacts of Leisure Motives on Selection of Leisure Activities)

  • 허태균;박정열;장훈;김소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3권4호
    • /
    • pp.135-153
    • /
    • 2007
  • 본 연구는 여가동기와 관련한 기존 연구들이 여가활동의 결과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현재의 다양한 여가동기와 활동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에 바탕하여 한국인들의 여가동기를 재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48개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동기를 개방형으로 설문조사하여, 이로부터 7개의 여가활동범주(기술요구, 사회적, 개인취미, 목표지향적, 휴식, 자발참여, 디지털)와 7개의 여가동기범주(성취, 대인관계, 심리적 안정추구, 흥미·감각추구, 수단, 내적 자기표현, 비여가적)를 추출하였다. 이 범주를 통해 특정 여가동기를 만족시키기 위해 선호되는 여가활동을 분석하였고, 여가활동에서 특정 동기를 강하게 가진 사람이 어떤 여가활동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흥미·감각추구와 대인관계 동기가 가장 흔한 여가동기였으며 디지털 여가활동이 이러한 동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내적 자기표현 동기가 높은 사람이 개인취미와 디지털 여가활동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이 가지는 여가교육과 여가카운셀링 등에서의 실용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 PDF

스포츠 및 여가 활동 참여동기에 따른 세분시장별 애슬레저 웨어 제품구매행동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urchase Behavior of Athleisure Wear by Segmental Market according to Sports and Leisure Participation)

  • 김세나;오경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1025-1038
    • /
    • 2018
  • This study identifies the socio-psychological factors on athleisure wear purchase behavior and focuses on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es in sports leisure activity. This research compares athleisure wear purchase behavior among the three groups segmented by participation motives for sports and leisure activity. An online survey on male and female consumers between the ages of 20 and 50 provided 319 responses that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The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variance analysis, Duncan test, and Chi squar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1) From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n consumers' sports leisure participation motives clearly showed factorial structures including social interaction, physical health, and pleasant feeling. 2) Cluster analysis indicated three groups of participation motives in sports and leisure activity such as passive motivating type, social interaction type, and wellness type. 3) Consumer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rchase reasons, preferred brands, product items, and pursued performance attributes for purchasing athleisure wear products.

민간경비원의 여가동기와 스포츠 참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Motivation of Private Guards and Sports Participation)

  • 안황권;김평수;김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25-23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경비원의 여가동기와 스포츠 참가의 관계를 알아보고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여 민간경비원들에게 여가활동의 필요성과 정책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7년 서울소재 5개소 민간경비회사에 재직하고 있는 민간경비원을 연구대상으로 유층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해 193명을 표집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835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신뢰도분석과 상관분석을 위해 SPSSWIN 1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이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동기는 스포츠 참가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즉, 휴식적 동기가 증가하면 스포츠 참가경험은 감소한다. 둘째, 여가동기는 스포츠 참가의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유능감인지 동기가 증가할수록 스포츠 참가빈도는 증가한다. 지적 동기가 증가할수록 스포츠참가기간은 증가한다. 또한, 휴식적 동기가 증가할수록 스포츠 참가강도는 낮아지는 반면, 유능감인지 동기가 증가하면 스포츠 참가강도는 증가한다.

여가 스포츠 참여동기 척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cale of Participation Motive for Leisure Sports)

  • 김지영;김승현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3호
    • /
    • pp.439-452
    • /
    • 2015
  • 본 연구는 여가 스포츠 참여동기에 대한 척도 탐색을 통해, 향후 여가활동으로서의 스포츠 활동 참여동기의 세분화를 통해 이용자의 심리적 반응들을 토대로 하여 지속적으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여가스포츠에 참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주요 검색사이트를 이용하여 스포츠 참여동기가 연구되어진 1997년부터 2012년까지 석, 박사학위논문, 학술지논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우선 '동기'의 키워드를 먼저 검색하고, 여가 스포츠 참여동기를 수행한 연구들을 수합하였다. 수합된 각 동기의 키워드 검색을 통해 검색어들을 적절하게 조합하고, 띄어쓰기를 체크하여 검색하여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가스포츠 참여동기는 참여동기, 내적동기, 외적동기, 여가동기, 기타동기로 구분되어 각각 참여동기는 23개의 요인으로, 내적동기는 17개의 요인, 외적동기 17개 요인, 여가동기 8개 요인, 기타동기는 57개의 요인으로 사용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각각의 요인들을 토대로 하여 그 의미가 비슷하거나 중복되는 요인들을 제외한 76개의 요인을 여가스포츠 참여동기 연구를 위한 요인으로 사용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중국 중년 여성들의 소비성향에 따른 의복태도와 구매동기 (A Study on the Clothing Attitudes and Purchasing Motives According to Consumption Orientation of Chinese Middle Aged Women)

  • 김용숙;류국연;왕해연
    • 복식
    • /
    • 제56권2호
    • /
    • pp.45-55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clothing attitudes and purchasing motives according to consumption orientation of Chinese middle aged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actors of shopping orientation were rich & fashion, economy & profit, traditional virtue & leisure utilizing, and frugality & pragmatism. Chinese middle aged women were classified into practicality pursuit group, material & fashion pursuit group, conservative leisure utilizing group, and negative stagnating group. 2. Factors of clothing attitudes were fashion, self-confidence & symbol, politeness, comfort, and luxury. Practicality pursuit group considered politeness of clothing more and did not purchase impulsively, but material & fashion pursuit considered many factors of clothing attitudes most. Conservative leisure utilizing group considered economy most, but negative stagnate group considered less. 3. Factors of clothing purchasing motives were fashion & conformity, fitness, impulse, and practical needs. Practicality pursuit group purchased clothing because of practical needs, but material & fashion pursuit group purchased of fashion & conformity, fitness, impulse, and practical needs.

의류쇼핑동기에 따른 소비자 특성에 관한 연구 -과시소비성향과 의복구매행동을 중심으로- (A Characteristic of Consumer Groups Classified by Clothing Shopping Motives)

  • 이승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242-125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hopping motive factors of clothing and to classify consumer groups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motives, and also to analyz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 among consumer groups. The subjects were 329 women in their twenties living in Seoul. For data analysis, mean,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hi$$^2$-test, ANOVA, Duncan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ree factors of clothing shopping motives were identified: fashion/leisure pursuit, economic, and personal motive. Consumer groups a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subdivisions: personalizing group, apathetic group, fashion/leisure pursuit group, economic group. 2. Among consumer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ge, occupation of the subjects. 3. Among consumer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picuous consumptions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brand intention, status symbol intention. 4. Among consumer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othing purchase behavior according to use of information sources. Regardless of clothing shopping motives, consumer preferred department stores in purchasing formal dress, and preferred haberdashery.bonded store in purchasing casual wear.

  • PDF

소비자의 의복 쇼핑동기와 관여도에 따른 점포 선택기준과 점포에 대한 태도 (A Study on the Store Choice Criteria and Store-Related Attitudes of Consumers in accordance with the Clothing Shopping Motives and Involvement of Customers)

  • 홍금희;강혜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63-371
    • /
    • 2003
  •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dimensions of clothing shopping motives and clothing involvements which influence consumers' store choice behaviors and to find out what variables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attitudes of customers toward stores. The empirical research was made through the survey on 300 female and male shoppers who purchased clothing.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dimension of clothing shopping motives is composed of leisure-related shopping motive, products-related shopping motive, and economy-related shopping motive. And the dimension of clothing involvement consists of pleasure involvement factor, fashion involvement factor, and symbol involvement factor. 2. The dimension of the store choice criteria is composed of such five factors as promotion, products, prices/salespersons, service, and location. 3.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of the products-related shopping factor and the leisure-related shopping motive only. And the store choice criteria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factors of clothing involvement. 4. The high-shopping-motive group turns out to pay more importance to such factors as products and location than the low-shopping-motive group. 5. The variables which have influences on the attitudes of customers toward stores tum out to be such factors as fashion involvement, promotion in the store choice criteria, and gender.

남성의 라이프 스타일과 매일의 의복선택동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fe Style and Daily Clothing Selection Motives of Men)

  • 한화숙
    • 복식
    • /
    • 제28권
    • /
    • pp.137-150
    • /
    • 199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daily clothing selection motives and to group men into life style typ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aily clothing selection motives according to the life style types. Questionnaire comprised of three sections: 36 Likert type items of life style measure; 29 Likert type items of daily clothing selection motives measure: and 4 demographic variables. Samples were 267 salary men in gheir 20's to 30's in Seoul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t-test. 1. Five factors of life style were derived by factor analysis ; F. 1 'appearance oriented' f. 2. 'positive activity' F. 3 'economy oriented': F.4 'active-leisure';F. 5 'contemporary' Four types of life style of men were defined by cluster analysis of the five factors: T. 1'posi-tive activity'; T. 2.'economy interest'; T. 3'contemporary' : T 2'economy interest' T.3'contemporary' ; T. 4 'appearance interest' 2. Four factors of daily clothing selection motives were derived by factor analysis: F.1 'clothing harmony'; F.2 'clothing utility'; F.3 'psychological influence'; F.4 'exogenous situ-ation adaptation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ily clothing selection motives according to the life style types. The types of positive activity economy interest and contemporary had 'clothing utility' motive more than appearance interest type. Economy interest type had 'hpsychological influence' motive more than other three types. Economy interest type and appearance interest type had 'exogenous situ-ation adaptation' motive more than other two types 4. 20's and unmarried men had'psychological influence' motive more than 30's and married. Upper class had 'clothing harmony' and 'ex-ogeneous situation adaptation' motives more than middle and low. Men with less education had ' clothing utility' and 'exogenous situation adaptation' motives more than did more edu-cation.

  • PDF

웹소설 사용자 이해를 위한 데이터 기반 페르소나 분석: 정량적 행동 패턴 데이터 중심으로 (Data-driven Persona Analysis for Understanding Web Novel Users: Focusing on Quantitative Behavioral Pattern Data)

  • 하상집;박도형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3호
    • /
    • pp.259-284
    • /
    • 2022
  • 본 연구는 웹소설 이용자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웹소설 사용자의 행동 유형을 정량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의 방향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웹소설 이용자들이 어떤 주된 이용 동기를 갖고 작품을 읽는지를 다른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 동기를 참조하여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추가로 이용자의 구체적인 행동 유형도 수집하였다. 그 결과, 웹소설 이용 동기는 '타인과의 대인관계 및 정보 습득', '여가 활동', '현실도피/긴장 해소'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체적으로 어떤 이용 동기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군집분석을 한 결과로 여가 활동 이용 동기가 특히 높은 유형의 집단인 '취미 생활'형, 현실 도피 및 긴장 해소 특성이 매우 높은 집단인 '스트레스 해소'형, 타인과의 대인 관계 및 정보 습득이 높은 집단인 '커뮤니케이션'형, 마지막으로 전반적으로 다른 동기 특성 모두 높게 나오는 '다목적'형으로 분류되었다. 이후에 군집 유형 간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차이가 있는 행동 유형을 페르소나로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이론적 공헌으로 웹소설 이용자의 이용 동기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실무적 공헌으로는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행동 패턴을 결합한 페르소나를 구성하여 실제 대표적인 사용자에 가깝도록 시각화하여 실제 작가, 플랫폼 담당자, 사용자들에게 실무적으로 유용한 지표를 마련하는 것으로 웹소설 서비스의 고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Consumer Demand of Leports Wear and Its Implication for Apparel Development by the Types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Marine Leisure Sports

  • Yu, Cheon;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239-249
    • /
    • 2022
  • 본 연구는 레저스포츠 참여동기를 유형화하고 그 유형에 따라 레저스포츠웨어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선호 소재의 기능성은 움직임, 쾌적성, 체온유지 등으로 구성되었고, 구매 시 고려요인은 기본 중시, 과시성 중시, 실용성 중시 등 3개의 하위요인이 추출되었다. 개선 요구사항은 기본 기능 개선과 다양한 기능 추가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구매 만족 요인은 브랜드와 실용성, 디자인, 기능성 등 3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해양 레저스포츠 참여동기는 매니아, 여가, 건강 유형으로 그룹화되었다. 선호 소재의 기능성은 매니아 유형과 여가 유형이 건강 유형보다 움직임, 쾌적성, 체온유지 기능성을 선호하였다. 구매 시 고려요인은 매니아 유형과 여가 유형이 건강 유형보다 기본 중시, 과시성 중시, 실용성 중시 요인에 대한 고려가 더 높았다. 개선 요구사항에서는 기본기능 개선과 다양한 기능 추가 모두 매니아 유형이 가장 높고 건강 유형이 가장 낮았다. 구매 만족 요인에서는 실용성과 브랜드는 여가 유형이 높았고, 기능성 요인은 매니아 유형과 건강 유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니아층을 위해서는 기능성과 추가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건강 유형은 디자인이나 활용도 등을 중심으로 제품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