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e Sam

Search Result 4,87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Inactivation of Phospholipase $A_2$ and Inhibition of Histamine Release from Mast Cell by Biflavonoid

  • Lee, Jee-Hye;Son, Keun-Ho;Kim, Hyun-Pyo;Kang, Sam-Sik;Chang, Hyeun-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5.04a
    • /
    • pp.57-57
    • /
    • 1995
  • 1) 효소원의 조제 : 류마티스 관절염환자의 관절액 및 rat platelet PLA$_2$는 장등의 방법으로 조재하여 사용하였으며, 기질은 1-pal- (1-$^{14}$ C) linoleoyl PE로 하여 Dole 변법으로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2) Histamine 유리반응 ; Rat복강으로부터 정제한 비만세포를 항원-항체 복합체로 자극하거나, $A_{23187}$등의 처리로 유리되는 histamine 을 methylation 시킨 후 유기용매법으로 추출한 후 scintillation counter로 측정하였다. 결과 : \circled1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5종의 biflavonoid (amentoflavone 및 그 유도체)의 PLA$_2$ 저해 활성을 검토한 결과 거의 유사한 IC50 (약 3$\mu\textrm{m}$)을 나타내었다. \circled2 이들 중 amentoflavone은 염증성 PLA$_2$(Group II형 PLA$_2$)에 비교적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제해양식은 비경쟁적 이면서 비가역적이였다. \circled3 비만세포에서 histamine 유리 억제반응은 자극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억제작용을 나타내었으며, 기존에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Tranilast나 DSCG(disodium chromoglycate)에 비하여 10배 이상 강한 histamine 유리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다.

  • PDF

Suppression of lymphocyte proliferation and in viv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bifblavonoids

  • Lee, Song-Jin;Dongbang, Myung-Ock;Son, Kun-Ho;Chang, Hyun-Wook;Kang, Sam-Sik;Kim, Hyun-P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5.04a
    • /
    • pp.56-56
    • /
    • 1995
  •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flavonoid 유도체들은 다양한 구조에 따라, 다양한 생물활성을 보인다. 최근에는 이들이 cyclooxygenase/lipoxygenase를 저해한다는 사실이 알려진 후에 이들 유도체들을 항염증제 또는 항알레르기 약물로 개발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이들 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자들은 여러 flavonoid유도체들에 대한 in vivo 항염증능 및 림프구증식억제능을 보고하였다 (Arch. Pharm. Res. 16, 18, 25 (1993), 17, 31, 236 (1994), Life Sci. 54, 313 (1994)). 또한 flavonoid 유도체들 중 apigenin-dimer인 수종의 biflavonoid들이 group II phospholipase $A_2$ 저해제인 것을 밝혔고 (BBRC 205, 843 (1994)), 이들 중 몇 종은 림프구증식능에 대하여 억제작용을 보인다는 것을 알았다 (Life Sci. in revision). 본 연구에서는 이들 biflavonoid 유도체들 중 amentoflavone과 ginkgetin을 중심으로 이들의 림프구증식억제능 및 in vivo에서의 항염증작용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ginkgetin (1-10 $\mu$M)은 Con A와 LPS에 의해 유도되는 림프구중식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들 유도체들은 마우스 귀부종에 대하여 복강내투여에서 강력한 항염증능을 보인다는 것을 알았다.

  • PDF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ene encoding ABP57, a soluble auxin-binding protein

  • Lee, Keunpyo;Kim, Myung-Il;Kwon, Yu-Jihn;Kim, Minkyun;Kim, Yong-Sam;Kim, Donghern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v.3 no.4
    • /
    • pp.293-299
    • /
    • 2009
  • Auxin-binding protein 57 ($ABP_{57}$), a soluble auxin-binding protein, acts as a receptor to activate plasma membrane (PM) $H^+-ATPase$. Here, we report the cloning of abp57 and the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its protein expressed in E. coli. The analysis of internal amino acid sequences of $ABP_{57}$ purified from rice shoots enabled us to search for the corresponding gene in protein DB of NCBI. Further BLAST analysis showed that rice has four abp57-like genes and maize has at least one homolog. Interestingly, Arabidopsis seems to have no homolog. Recombinant $ABP_{57}$ expressed in E. coli caused the activation of PM $H^+-ATPase$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IAA. Scatchard analysis showed that the recombinant protein has relatively low affinity to IAA as compared to natural $ABP_{57}$. These results collectively support the notion that the cloned gene is responsible for $ABP_{57}$.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and Eventration Requiring Operation in the first 24hrs of Life - A report of 5 cases - (생후 24 시간 이내에 수술을 요하는 선천성 횡경막 탈장 및 횡경막 내번증5례 보고)

  • Lee, Cheol-Beom;Hong, Gi-Ung;No, Jin-Sa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21 no.1
    • /
    • pp.175-183
    • /
    • 1988
  •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CDH] is a surgical emergency in the newborn infant because it causes severe cardiorespiratory distress. Congenital diaphragmatic eventration [CDE] may also produce severe cardiorespiratory distress in the newborn infant. CDH is an anatomically simple defect that can be easily repaired by reduction of the displaced viscera from the pleural cavity and closure of the diaphragmatic defect. But these infants mortality has not been reduced and still remains very high. The barrier to survival is pulmonary parenchymal and vascular hypoplasia as well as the complex syndrome of persistent fetal circulation. Between May, 1985 and Oct, 1987, 4 neonates with CDH and 1 neonate with CDE were seen in respiratory distress within 12 hrs of birth at St. Francisco general hospital. Each had severe acidosis and hypoxia. And was transferred from a local clinic. They were surgically repaired within 24 hrs of birth. Three neonates lived and two died. Two of the three neonates with CDH operated in the first 6 hrs died. The remaining two [one with CDH, the other with CDE] operated between 6hrs and 24 hrs lived. One case of mortality was combined with bilateral pulmonary hypoplasia and contralateral pneumothorax. The other one case of mortality was combined with complex syndrome of persistent fetal circulation after honeymoon period.

  • PDF

Clinical Observation on Subacute Thyroiditis (아급성(亞急性) 갑상선염(甲狀腺炎)의 임상적(臨床的) 고찰(考察))

  • Kim, Sam-Yong;Jung, Jun-Ki;Suk, Chang-Ho;Hong, Kee-Suck;Lee, Hong-Kyu;Koh, Chang-Soon;Park, Seong-Hoe;Kim, Yong-Il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12 no.2
    • /
    • pp.41-46
    • /
    • 1978
  • 8 cases of subacute thyroiditis was diagnosed among 108 needle biopsy of the thyroid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76 to August 1978. Correlation of the histologic findings with the clinical staging proposed by Czernick was relatively well matched; cases with long clinical course or low thyroid hormone levels showed greater fibrosis and reduction of follicular elements in thyroid. Thyroid $^{131}I$ uptake or the uptake as seen on the thyroid scanning correlated inversely with the thyroid hormone levels. The clinical course of the patients seen in their initial stage of disease followed the classical pattern; hyperthyroid-like, hypothyroid-like and recovery. 3 among the 4, who were seen in their later clinical course showed hypothyroidism, which seemed the final outcome of their diseases.

  • PDF

Case Studies of Organic Livestock Farming in Europe and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Organic Livestock Farming in Korea (유럽의 유기축산 사례 및 우리나라 유기축산의 발전 방안)

  • An, Jong-Ho;Jo, Ik-Hwan;Lee, Ju-Sam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11 no.4
    • /
    • pp.75-92
    • /
    • 2003
  • Organic livestock farming in northern European regions has been expanded with the major animals of large ruminants using pastures and grass silages. Organic livestock farming in some European countries has been in rather short of productiv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ivestock farming, however since the gap of productivity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livestock farming has been reported to be reduced when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would improve, organic livestock farming has a potential to develop as a clean livestock farming in the future. We expect that organic livestock farming be propelled to a future model of livestock farming in Korea too. As the schemes for realization of organic livestock farming in Korea, firstly a system for the consistent supply of organic feed should be established. Mountainous areas that represents 63 % of total area of Korea could be utilized for the production of organic forages. Uncultivated rice paddy and upland agricultural field could also be used for this purpose. The active application of organic agricultural by-products such as organic rice straw, organic rice bran and SO forth can be considered for organic livestock farming. Secondly, the replacement of anti-biotics for the management of animal diseases should be developed using natural products. Plants and microbes would be good sources of natural products. Thirdly, the realization of organic livestock farming may require a system for certification of the organic farms and consequently the experts to work on.

  • PDF

A Study of Treatment of Cattle Manure and Food Waste by Vermicomposting (Vermicomposting에 의한 우분과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에 관한 연구)

  • Jo, Ik-Hwan;Lee, Ju-Sam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11 no.4
    • /
    • pp.93-102
    • /
    • 2003
  • This research was made to determine the optimum mixing ratio cattle manure and food waste investigating the effect that gets the growth and reproductive efficiency of earthworm and productivity of earthworm casts at processing process when handled cattle manure and food waste by vermicomposting, in order to establish the treatment system of organic wastes by vermicomposting. Survival ratio of earthworm was highest in the mixing ratio 80~100% : 20~0% of cattle manure and food Waste, and the increasing ratio was highest in cattle manure 100%, and the number of young worms, the weight of young worms and the productivity of earthworm casts in plots more than the mixing ratio 60% of cattle manur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treatment plots(p<0.05). Total nitrogen and carbon contents in earthworm cast were decreased when rearing time of earthworm was increased. Carbon and nitrogen rate(C/N) of earthworm cast in plots more than the mixing ratio 80% of cattle manu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treatment plots(p<0.05). pH in earthworm cast was higher than that in residual matter. The contents of electrolytic conductivity in the higher mixing ratio of food wast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treatment plots(p<0.05).

  • PDF

A Study on the Effect Range Due to the Dam Operation at the Downstream Channel (댐 운영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권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 Park, Bong-Jin;Kim, Jae-Yun;Lee, Sam-Hee;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38-642
    • /
    • 2007
  • 댐 운영이 하류하천의 하도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권 범위를 설정하고, 영향정도를 정량화하고자 하는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댐 운영이 하류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지형학적, 수리 수문학적, 환경 생태학적, 사회적 영향권으로 구분하여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한 댐 하류하천 영향권 범위 설정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형학적인 영향권 범위는 댐으로 인한 유사 공급 차단, 토시공급 능력 감소와 하상변동, 하상의 장갑화 현상과 같은 하상토 대표입경의 변화 등으로 설정한다. 둘째, 수리 수문학적인 영향권 범위는 홍수파 전달, 하도의 홍수조절효과, 홍수조절비, 유황변동 등으로 설정한다. 셋째, 환경 생태학적인 영향권 범위는 수질 변화, 하도내 식생분포 변화, 어류서식처 변화 하천 코리도의 토지이용 변화 등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홍수량에 따른 댐 하류하천의 홍수범람지구 및 댐 방류로 인한 하류하천 홍수소통 장애요인 등의 요인에 의한 사회적 측면에서의 영향권 범위를 설정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영향권 범위 설정방법은 정성적인 의미가 크다. 따라서 댐 운영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세부적하고 정량화 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Understa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Sand Bars' Movement in the Meandering Reaches by a Movable-Bed Experiment (이동상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만곡부 모래사주의 거동특성 분석)

  • Lee, Sam-Hee;Hwang, Seung-Yong;Park, Jae-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79-1683
    • /
    • 2007
  • 최근 우리나라에서 하천 및 유역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하천 형태가 많이 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행하는 모래 하천에서 만곡부 사주의 형태 변화가 커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모래 하천의 만곡부에서 사주의 변화 특성을 평가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동상 수리모형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하천 및 유역의 여러 상황 변화를 감안하여 유량, 유사 공급량, 공급 시간, 하천 변형 등 다양한 조건을 상정하였다. 연구 대상하천은 낙동강 본류이며, 중점 수리모형 실험대상 구간은 우리나라의 전통민속마을인 안동 하회마을을 태극형으로 감싸면서 사행하는 만곡부이다. 이동상 실험규모는 수평축적 1/110, 수직축적 1/50로 왜곡도가 2.2로써 비교적 대규모이다. 모형 하상재료는 입경 0.29 mm의 석탄분(anthracite)을 채택하였으며, 현장에서 하상재료조사와 상사해석을 통해 결정하였다. 실험 결과, 유량과 유사 공급량 변화에 따른 사주 변화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사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국지적 퇴적양상을 보였다. 이는 사주 내 식생활착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설계홍수량 규모에서 구하도와 과거 사주가 재현되었는데, 이는 지역주민을 통해 입증되었다. 또한 천연기념물인 만송정 주변의 모래둔덕의 형성과정이 입증되었다.

  • PDF

A Study on Vegetation Expansion Process by Soil Survey in the Sand Bar of Movable Channel (이동상 하도의 모래사주에서 토양조사를 통한 식생역 발달과정의 평가)

  • Lee, Sam-Hee;Ock, G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58-1062
    • /
    • 2007
  • 본 연구에서 이동상 모래하천에서 식생의 변화과정을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 하천은 낙동강 상류 하회지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지역은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모래하천으로서 지형적인 요인으로 형성된 사행하천의 만곡부에 해당하고 있다. 특히 상류에 댐과 취수보 등 수자원개발시설이 건설되면서 수십 년 동안 물과 유사의 공급이 조절되어 안동시권역에서부터 하류방향으로 향하면서 점차 바뀌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가운데, 이동성을 지니고 있던 사주부에 식생이 유입되고, 식생역이 확장되면서 사주가 고정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이동상 하도에서 이동사주내 식생역의 발달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주내 토양의 물리화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안동 하회지구내 모래사주에서 식생이 정착 발달 확장 되어가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회지구의 식생역의 발달은 시기적으로 홍수기와 비홍수기의 반복적인 출현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리고 공간적으로는 홍수기 동안의 유사의 퇴적과 세굴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생역의 확장과정은 이러한 시공간적 상황으로 인해 유발되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높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