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cturers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31초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수학과 수업의 운영 실태 조사 -부산광역시 방과후학교를 중심으로- (A survey on the status and content of after-school mathematics class - Focusing to the elementary school in Busan -)

  • 이영희;김성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85-408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수학과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그 운영실태를 조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100개교에서 방과후학교 수학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강사 관련 실태, 학생 관련 실태, 수업 관련 실태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특히 수업 관련 실태의 경우 수업의 운영과 관련된 전반적인 목표, 시간과 횟수, 교재와 내용, 평가에 이르기까지 강사들의 답변을 종합하였다. 또한 서술형 설문 문항을 통해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진행에서의 어려움과 함께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을 정리하였다. 초등학교 수학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경우 그 유형은 교과 중심의 예습 복습에 초점을 맞추는 교과수학, 교과와 함께 창의적 활동과 체험을 고려한 창의수학, 그리고 연산 중심의 주산/암산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강사들의 공통 의견으로는 강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을 비롯하여 수학과 방과후학교에 적합한 프로그램과 교재의 개발,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수학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강사의 노력과 함께 학부모의 수학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학교의 방과후학교 지원 등을 꼽았다. 이러한 실태조사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방과후학교 수학과 프로그램이 방과후학교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대학과목선이수제를 위한 환경과학 표준교육과정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Curriculum for University-level Program in Environmental Science)

  • 최돈형;조성화;이순철;전영석;홍준의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4호
    • /
    • pp.67-78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f standard curriculum for University-level Program (UP) in environmental science. UP has much merit; for example, high school students can develop their road for future by the UP procedure which is related intimately with their choice of road for future. Environmental Science is the subject which is stable for UP's goals because of interated nature of environmental science. These goals and the increase of social demand made us proceed this study. So this study had developed a standard curriculum for UP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designed in-service program for lecturer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the present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versity liberal arts and high school environmental science curriculum. As a result, most of environmental educations have been conducted mainly by an approach of natural science. Inevitably they should have limits in which students can't have holistic view in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 Development of Standard Curriculum for UP in Environmental Science targeted on three points. The first point is the consideration for nature of talente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interests for environment. The second point is promotion of environmental literature for talented highschool students. The third point is the level of lecture, which we put together the lecture level on university general liberal arts. And designed the in-service program for lecturers, which constructed of six field and sisty hours.

  • PDF

강의 평가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Course Evaluation)

  • 이혜진;문일;홍대식
    • 공학교육연구
    • /
    • 제3권1호
    • /
    • pp.92-9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강의 평가제의 실례를 통해서 강의 평가제가 교수들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5학기 동안 동일 학과의 강의 평가를 분석한 결과, 각 교수별로는 차이가 있었지만 평균점수는 전반적으로 향상되었고 어느 기간이 지나면 더 이상 진전이 없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강의 평가의 실시 목적에 부합되는 결과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수행되어야 할 몇 가지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또한 외국 대학의 설문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나라 대학에서 실시하는 강의 평가제의 향후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강의 평가제는 신중하게 운영되어야 하며, 반드시 교수 자신의 발전을 위해서만 사용되어야한다. 미국의 경우 강의 평가제가 교수의 평가 수단으로 사용되면 많은 부작용이 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의과대학에서의 기공교육 향상을 위한 강의 만족도 조사 (Satisfaction of Qigong Lecture i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 김기진;한창현;박지하;최성훈;이상남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69-78
    • /
    • 2009
  • Objectives : To understand the basis for futur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in the lectures, an evaluation was made on the lecture by the 'theory-practice-self study' system initiated in 'Yangseng Qigong(養生氣功) and practice' at Daegu Haani University. Method : We surveyed the satisfaction of 'Yangsaeng Qigon and Practice' which is the lecture that is composed theory, practice, self study for 120 students at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in Daegu Haani University. Result : In the inquiry for the satisfaction with the general class of 'Yangsaeng Qigong and practice', 69% of students answered positively. As to the satisfaction with class grouping, 76% answered affirmatively, and as to the question "Agreement to the plan workable?", 72% said it was satisfactory, showing lectures by class grouping were made successful as planed. As to satisfaction with theory lectures, 36% were satisfied (38% unsatisfied), as to practice 90% was satisfied (2% unsatisfied) and as to the self-study and special lectures, 36% was satisfied (23% unsatisfied), showing the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er for practice. To the question "Was it helpful in understanding hygiene Danjeon-breathing science?", 31% said yes (16% no) for theory, 87% yes (3% no) for practices, 32% yes (32% no) for special lectures, and 37% yes (28% no) for team assignments. Conclusions : The textbooks and majors of the lecturers turned out to be varied, but as seen from the result of lecture satisfaction on 'Yangseng Qigong and practice', i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eparedness of the lecturers and satisfaction with the lecture material. Despite the situation that most schools have chosen it as a major subject, the subject name was divergent among schools and the textbook and the content of practice were also not unified. At the point of globally rising interest in Qigong, this will only lead to its weak competitiveness when advancing to the world.

  • PDF

조리.외식관련 대학생들의 교육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udent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in a Cooking and Food Service Program)

  • 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4-84
    • /
    • 2011
  • 조리 외식전공 대학생들의 교육환경서비스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리 외식전공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환경서비스와 전반적인 만족도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공자 3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조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계 프로그램 SPSS 17.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군집분석과 One-Way ANOVA 분석을 진행하였다. 교육환경서비스가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가설검정결과는 교육환경서비스 요인 중 실습시설 만족도와 교수의 친절강의 만족도에서(p<0.01) 부분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시설 만족도와 행정 서비스 만족도에서(p<0.01)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환경서비스의 군집분류를 보면, 4개의 군집에서 군집 1은 미스트리형, 군집2는 만족형, 군집3은 불만족형, 군집4는 부정형 만족집단으로 분류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에서(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추나의학 관련과목 개설현황 조사 (Curriculum Analysis of Chuna Manual Medicine in Korea)

  • 박태용;신병철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7-168
    • /
    • 201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iculum of Chuna manual medicine (CMM)-related subjects in oriental medicine college and to let CMM have opportunities to develope current curriculum and basic circumstance for CMM. Methods: Questionnaire was obtained from 11 oriental medicine college and 1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bye-mail. If there was any insufficient information from response, we asked more information by direct call. Results and Conclusions: The findings from our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are three CMM-related subjects, CMM,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ORM) and Neuromusculoskeletology(NMS). All curriculums of 8 colleges belonged to classification I have CMM and DRM courses. Curriculums of 4 colleges belonged to classification II, have ORM or NMS course without CMM course. 2. 10 colleges of 11 ones which have ORM course, have major compulsory courses, 1 college has a major optional course. 5 colleges of 8 ones which have CMM course, have major compulsory courses, 3 colleges have major optional courses. 2 colleges have only part-time lecturers for CMM course, other 2 college have cooperation of specialized professors and part-time lecturers, another 8 colleges have only specialized professors. 3. Most CMM-related subjects is teached at 3 or 4 grade of medical course. The units taken for CMM-related subjects is minimum 4 units to maximum 8 units in total about 160 units. 4. Total class hour for CMM-related subjects is minimum 120 hours to maximum 225 hours, and practice hours is about minimum 30 hours to maximum 75 hours. 5. The systematic regulation and financial support is needed for patients to get the best CMM treatment, because the present curriculum of CMM is insufficient for carrying out the best manual therapy for patients.

  • PDF

디지털 게임 기반 학습 방법을 이용한 강사 소개 교육용 게임의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al Game for Learning the Lecturers Information using the Digital Game-based Learning Methodology)

  • 아리아 비스마 와휴타마;완다 구스디야;황민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190-119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게임 기반 학습(DGBL) 방법을 사용하여 대학 신입생들이 학과의 강사들 정보와 지도 교과목들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대화형 강사 소개 게임을 구현한 결과를 제시한다. 이 게임은 강사의 이름, 사진, 지도 교과목 등의 정보들을 퀴즈 게임 형식으로 제공하며, 개발 환경으로는 유니티(Unity)와 PHP를 사용하였다. 게임과 통합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 Content Management System)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간의 통신은 REST API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CMS는 게임의 내용을 관리하고 각 레벨에 대한 점수와 질문 수, 게임 사용자의 암호, 성능 임계값과 같은 게임의 여러 파라미터들로 구성된다. 개발한 대화형 게임은 통합 CMS를 사용하고 있어 상황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컨텐츠 업데이트가 가능하므로 학과의 변경의 대해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다양한 교육용 게임 개발에도 활용할 수가 있다.

디지털 게임 기반 학습 방법을 이용한 대화형 교육 게임의 설계 (Design of the Interactive Educational Game using the Digital Game-based Learning Methodology)

  • 아리아 비스마 와휴타마;리린 드위 아구스틴;황민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337-134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개발자에게 다목적의 대화형 교육용 게임 개발을 지원하는 DGBL(Digital Game-based Learning) 기반의 교육용 게임 설계 과정을 제시하였다. DGBL은 분석, 디자인, 개발, 품질 보증 및 구현 평가 이렇게 다섯 단계로 구성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DGBL 기반의 게임 설계 과정에 포함되는 분석과 디자인 단계에 대해서만 초점을 맞추어 세부 기술을 다루었다. 먼저 첫번째 단계인 게임 분석 과정에서는 요구사항 수집, 게임 아이디어 및 학습 목표를 설정하게 되고, 두번째 단계인 게임 디자인 과정에서는 게임 구조 정립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정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DGBL 기반의 교육용 게임의 분석과 디자인 단계에 대한 접근 사례 연구로서 신입생을 위한 강사 소개 게임을 예로 들어 그 분석 과정을 제시하고, 스토리보드 형태로 디자인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SAUDI ARABIAN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E-LEARNING QUALITY DURING COVID19 PANDEMIC

  • Alkinani, Edrees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2호
    • /
    • pp.66-76
    • /
    • 2021
  • The quality of the E-learning education in Saudi Arabia has been a major concern by many academicians, especially, and people in general as this platform has not been a priority for education. Not until recently, the world has been impacted by the Covid-19 pandemic, which makes every education institution shifted to the online platform to continue the education for the students. Thus, many studies on the perceptions on the online learning have been carried out, and though many are focusing on the perceptions by the education institutions' faculty and administration, there is a lack in the amount of study performed to analyse the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learning during the pandemic time. The current study is conducted by utilising qualitative methods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 and investigate the students' perception regarding online learning during the pandemic Covid-19, based on their individual experiences. A number of fifteen (15) students were selected as respondents for the study, in which 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using a convenient sampling technique for data collection. Through the discussion, all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online learning, as well a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ose perception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the positive perceptions were contributed based on the flexibility, cost-effectiveness, availability of the electronic research databases, and well-designed online classroom interfaces. For the negative perceptions from using online learning platforms, the respondents informed that they were contributed by the lecturer's delayed feedback, lack of technical support by lecturers, low in self-esteem and self-motivation, feel isolated, one-way of educational methods, and poorly-designed class materials. Through the findings, the school's administration and lecturers would be able to know the struggles experienced by the students, and eventually come out with better solutions to improve their teaching methods.

온라인 화상 교육 몰입도 향상을 위한 디자인 방안 제안 -줌(Zoom)과 웹엑스(Webex)를 중심으로- (Proposal of design plan to improve immersion in online video education -Focusing on Zoom and Webex-)

  • 이가하;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341-348
    • /
    • 2021
  • 본 연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이후 대학가에서 쓰이고 있는 온라인 화상 교육 플랫폼, 줌과 웹엑스를 중심으로 학습자들의 몰입도를 파악하고 몰입도 향상을 위한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몰입의 구성요소와 온라인 원격 교육 플랫폼의 화면 구성요소를 파악하였고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몰입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줌과 웹엑스를 통해 온라인 교육을 받는 20-30대 학부생, 대학원생 50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7일부터 12일까지 5일간 진행하였고, 그중 6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실험 결과 학습자와 강의자의 소통이 가장 큰 요소로 도출되어 학습자와 강의자 간 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디자인 방안을 구텐베르크의 다이어그램을 토대로 제안하였다. 온라인 화상 교육이 COVID-19 이후에도 지속될 것이라 예측됨에 따라 지속적인 온라인 화상 교육 몰입도 연구가 필요하며, 몰입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