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cithin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25초

마늘 Oleoresin의 제조 및 저장안정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Keeping Quality of Garlic Oleoresin)

  • 조길석;김현구;권동진;박무현;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46-851
    • /
    • 1990
  • 마늘의 이용성 증진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마늘로부터 oleoresin을 제조하고, 아울러 저장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물, 인산, 마늘 extract 및 poly sorbate를 혼합하고 antifoam agent인 KM-72을 가하여 거품의 생성을 방지한다. 여기에 lecithin을 첨가한 후 온도를 $50{\sim}55^{\circ}C$에서 7분간 유지한 다음, 다시 온도를 $25^{\circ}C$ 이하로 냉각하고, 최종적으로 TBHQ 및 마늘 정유물을 혼합하여 마늘 oleoresin을 제조하였다. 마늘 oleoresin 제조를 위한 적정 조성은 정유물 1.0%, extract 10.5%, poly sorbate 10.0%, KM-72 0.01%, lecithin 18.0%, TBHQ 0.05%, 인산용액 0.15% 및 물 60.0% 였다. 저장 60일 동안 thiosulfinate과 pyruvate 함량 및 관능검사를 기준으로 마늘 oleoresin의 품질을 판정할 때 $55^{\circ}C$ 저장 처리구의 품질저하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25^{\circ}C$ 저장의 경우는 크게 일어났다.

  • PDF

레시틴 오가노겔을 이용한 난용성 제니스테인의 용해도 향상 (Development of Lecithin Organogel to Improve Solubility of Genistein)

  • 이수진;김정아;강내규;박선규;이천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1-208
    • /
    • 2015
  • 오가노겔은 반고형상이며 3차원의 네트워크 구조로 이루어진 친유성 용매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상과 수상에서 모두 난용성 특징을 가진 제니스테인을 포함하는 레시틴 오가노겔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안정할 뿐만 아니라 경피 흡수 실험에서도 높은 흡수율을 보였다. 본 오가노겔 제형에 적합한 원료들을 선별한 결과, 수화된 레시틴, 해바라기유, dipropylene glycol (DPG), polyethylene glycol (PEG)이 이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레시틴 오가노겔의 제조에 적합한 원료의 함량은 phase ternary diagram 작성을 통하여 결정하였다. 제조된 레시틴 오가노겔을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stability, pH, rheology, phase transition temperatures, microscopic analysis, skin penetration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레시틴 오가노겔 제형은 안정한 상태에서 난용성 물질을 높은 농도로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제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육계에서의 양지, 우지 및 레시친의 이용

  • 고태송;오세정;김춘수
    • 월간양계
    • /
    • 제11권6호통권116호
    • /
    • pp.75-83
    • /
    • 1979
  •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lipids on the utilization of the energy and protein of the diet, the isocaloric and isoprotein diets added with mutton fat, tallow, and lecithin at the levels of two percent and five percent were prepared. The growth of chicken and the feed efficiency were observed on hatched chicken which were fed a commercial diet for the first week, with starters for the next four weeks, and with finisher diets for the last three weeks respectively during the eight weeks of the experiment. Growth rate, feed efficiency, and average body weight gain per day were similar among the chicken fed diets containing various lipids or at the levels of two percent and five percent. The metabolize energy of the diets was found to be from 2.713 kcal to 3.059 kcal per gram, and the metabolizability of the gross energy was from 62 percent to 70 percent. Also the metabolizability of basal diet was higher as compared with the diets containing lipids. And the lower energy utiliztion was found in the broilers fed diets containing five percent lipids than those of two percent, showing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Daily matabolizable energy of three week old brids ranged from 0.631 gr to 0.738 gr, which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on the birds fed five percent mutton fat and tallow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wo percent. But the lecithin brought about a reverse tendency. The digestibility of crude fats was found to be from 48 percent to 76 percent, but b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ets plus lipids or at the levels of two percent and five percent. The birds fed five percent mutton fat and tallow showed a tendency of lower digestibility as compared with those fed two percent, but the similar results were found between two percent and five percent lecithin fed to the birds. Then, it was tentatively concluded that the effect of the mutton fat on the energy and protein utilization was similar to tallow but resulted different tendency with lecithin.

  • PDF

남해안 해수로부터 원유 분해 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il Degrading Bacteria from Southern Sea of Korea)

  • 김학주;김봉조;공재열;구헌서
    • KSBB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27-34
    • /
    • 2000
  • 남해안 유류 오염지역으로부터 유류분해능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aeruginosa로 동정되었으며, Pseudomonas aeruginosa BYK-2로 명명하였다. 균 성장 및 생물 유화제 생산을 위한 최적배양온도, 시간, pH, NaCl 농도는 각각 $25^{\circ}C$, 48시간, 7.0 이었으며, NaCl은 첨가하지 않았을 때 가장 많은 양의 생물유화체가 생산되었다. 본 균주의 경우, 1%(w/v) arabian light 원유와 bunker C oil을 기질로 7일간 배양한 결과 92.1%(w/w)와 76.2%(w/w)가 생분해되었다. n-hexadccane 에 대한 세포부착능이 실험에서는 탄화수소화합물들(arabian light 원유, kuwait 원유, bunker C 유, n-paraffine, n-hexadecane, n-tetradecane)을 기질로 배양했을때는 모두 80% 이상의 높은 세포부착능을 나타냈으며, 지방산들(oleic acid, olive oil, lecithin)중에는 lecithin을 기질로 배양했을 때 91.5%로 가장 높은 세포부착능을 나타냈어다. 또한 당들(arabinose, trehalose, dextrose, galactose, lactose, fructose, maltose, sorbitol, sucrose)을 기질로 했을 경우 arabinose, galactose, sorbitol, sucrose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70%이하의 세포부착능을 나타냈다.

  • PDF

Evaluation of fat sources (lecithin, mono-glyceride and mono-diglyceride) in weaned pigs: Apparent total tract and ileal nutrient digestibilities

  • Cho, Jin-Ho;Chen, Ying Jie;Yoo, Jong-Sang;Kim, Wan-Tae;Chung, Il-Byung;Kim, In-H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2권2호
    • /
    • pp.130-133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cithin, mono-glyceride and mono-diglyceride on apparent total tract and ileal nutrient digestibilities in nursery pigs. Twenty [(Landrace$\times$Yorkshire)$\times$ Duroc] barrows were surgically fitted with simple T-cannulas.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CON (basal diet: soy oil), 2) LO (lecithin 0.5%), 3) MO (mono-glyceride 0.5%), 4) MG (mono-glyceride 1.0%) and 5) MDG (mono-diglyceride 1.0%). In apparent total tract nutrient digestibility, dry matter (DM) and gross energy (GE) digestibilities of MDG treatments were higher than LO and MG treatments (p<0.05). In nitrogen (N) digestibility, LO treatment showed the lowest compared to others (p<0.05). The digestibility of crude fat was higher in MDG treatment than CON and LO treatments (p<0.05). In apparent ileal nutrient digestibility, DM digestibility was higher in MDG treatment than LO and MG treatments (p<0.05). GE digestibility was higher in MDG treatment than LO, MO and MG treatments (p<0.05). N digestibility of MDG treatment was greater than LO treatment (p<0.05). Also, the digestibility of crude fat was higher in MDG treatment than CON and LO treatments (p<0.05). In conclusion, mono-diglyceride can increase apparent total tract nutrient and apparent ileal nutrient digestibilities of DM, GE, N and crude fat.

식이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에 따라 우유가 흰쥐의 Lecithin: Cholesterol Acyltransfer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Lecithin : Cholesterol Acyltransferase Activities in Rats Fed Cow량s Milk with Different Levels of Cholesterol)

  • 최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71-379
    • /
    • 1994
  • The effect of milk in low and high cholesterol diets were investigated on serum cholesterol esterification. Weanling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low(0.01% w/w) and high (1.01% w/w) cholesterol-diets groups. Bothlow and high cholesterol groups were consisted of three groups : control , LM(low heat milk), and HM (high heat milk) groups. After feeding these experimental diets for six weeks, serum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and cholestryl ester) concentration and activity of lecithin.: cholesterol acyltransferase (LCAT) were measured, and serum lipoprotein profile was examined using gel column chromatography. According to the result, activity of LCAT was elevated independently by intakes of high cholesterol and milk , which resulted in the increase of daily turnover of serum cholesteryl ester. However, the turnover of HDL-cholesteryl ester increased only by milk. LCAT activity was moderately correlated with levels of total-and HDL-free choelsterol. It is concluded from the present study that milk had the cholesterol-lowering effect which partly appears to be mediated through facilitated reverse cholesterol transport.

  • PDF

포스파티딜콜린의 액정형성을 이용한 로즈마린산 포집 효율연구 (A Study on Entrapment Efficiency of Rosmarinic Acid Using Liquid Crystal Phosphatidylcholin)

  • 강기춘
    • 공업화학
    • /
    • 제24권2호
    • /
    • pp.132-137
    • /
    • 2013
  • 포스파티딜콜린이 다량 함유된 수첨레시틴을 이용한 실험에서 액정구조가 잘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액정구조를 형성하는 물질로는 포스포리피드, 에탄올, 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고 로즈마린산을 지표물질로 캡슐화하였다. 액정의 평균입자크기는 480 nm ~ $3{\mu}m$로 이는 액의 구성물질과 물리적인 힘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리포좀과 비교했을 때 액정구조는 매우 높은 캡슐화 효율을 보였다. 수첨레시틴의 함량이 증가하면 많은 액정을 형성하였고, 수첨레시틴의 함량이 적으면 액정의 양도 적게 나타났다. 로즈마린산을 함유한 액정구조의 방출실험결과 리포좀으로 형성된 베지클보다 훨씬 적은 양이 방출됨을 알 수 있었다.

사료내 아마종실과 사료첨가물질의 조합첨가가 난황내 지방산 함량과 산란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이준엽;이선연;오상집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28-129
    • /
    • 2002
  • 본 연구결과로 $\omega$-3 지방산을 포함한 지방산의 계란내 이행정도는 flaxseed의 첨가와 지방산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미량 사료 첨가물질의 병용첨가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생균물질과 lecithin의 생리적 기능에 의한 계란내 $\omega$-3 지방산의 급증이 특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량 사료 첨가물질의 지방대사 조절기전에 관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쌀가루 슈의 품질향상을 위한 첨가물의 효과 (Effect of the Additives on Choux Quality of Rice Flour)

  • 이선옥;김명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2-98
    • /
    • 1996
  • 쌀가루(200 mesh)로 만든 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장 효과적인 첨가물의 종류와 첨가비율을 구명하고져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첨가물로는 lecithin, span 20, span 40, span 80 등의 유화제와, gelatin, arabic pm, methylcellulose, CMC 등의 점증제를 사용하였다. 1. 쌀가루만으로도 슈형성은 가능하였다. 2. 그러나, 유화제를 첨가하면 쌀가루만의 무첨가구 보다 관능평가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지만 팽화력이 우수하였다. 3. 점증제로는 큰 효과가 없었으며, 오히려 다량첨가시에는 반죽의 경도가 커져서 슈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지 않았다. 4. 두가지의 유화제나 점증제와의 복합사용은 유화제 단독 사용시보다 효과가 없었다. 5. Lecithin을 0.6%로 첨가할 경우, 슈의 품질이 가장 우수하였다.

  • PDF

인공막(人工膜)과 Rat의 간세포(肝細胞)를 이용(利用)한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의 항산화(抗酸化) 작용(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Inhibitory Effects of H.B.T. on Peroxidation of Lecithin-Liposome and Rat Liver Cell)

  • 우대윤;이태균;문진영;임종국;박원환;남경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65-477
    • /
    • 1996
  • Inhibitory effects of Hyeulbuchuckeutang(H.B.T) On the peroxidations of lecithin-liposomes by active oxygens, hydroxyl radical and superoxide anion, derived from hydrogen $peroxidase-Fe^{2+}$ system and xanthine- xanthine oxidase system. These effects were similar to and stronger than those of catalase, mannitol, superoxide dismutase or $dl-{\alpha}-tocopherol$ as a scavenger or an antioxidant. H.B.T. inhibited the peroxidation of lecithin-liposome and active oxygens i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H.B.T. also dose-dependently protected the cell death mduced by tert-butvlhydroperoxide(tBHP) and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in the rat normal liver cell (Ac2F).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B.T might playa protective role in lipid peroxidation by free radicals and tBH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