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habits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2초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검사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Readiness Inventory for Preschoolers)

  • 방소영;황혜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1호
    • /
    • pp.29-4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he definition of school readiness specific to the contex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school readiness tes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nabl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to determine the general readiness of preschoolers and provide support to fit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six stages of the school readiness development process were considered, that is, draft development, primary preliminary survey, primary expert verification, secondary expert verification, secondary preliminary survey, and main survey. In the main survey,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school readiness final draft targeting 344 preschoole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The item discrimination power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or the examination area and question area were also conducted. Consequently, a test tool was developed on the basic of the results obtained, consisting of 129 items in the five areas of knowledge, function, adaptation, tendency, and attitude. The knowledge area was divided into general, linguistic, and mathematical knowledge, and the function area into fine motor function, basic living ability, expressive function, and gross motor function. The adaptation area was classified into adaptation activity, separation anxiety, maladaptive behavior, and environment adaptation; the tendency area into learning tendency; others understanding, and individual tendency, and the attitude area into rule compliance and life habits.

아동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요인 및 식이섭취 실태에 대한 비만군과 대조군의 비교 연구 -인천시내 초등학교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on Dietary Intake and Environmental Factors at an Elementary School in Inchon)

  • 이윤주;장경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504-51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obese children, dietary intake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this survey compared obese children with normal children on dietary intake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survey were 110 obese children and 110 normal children whose age, height, and sex were same as the obese children of 21 elementary school in Inch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was completed using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student's obesity was related to parent's obesity and number of their sibling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bese groups and normal group for these two factors. 2) Meal time of the obese group showed more irregularity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Otherwise, the normal group were more "piclity" about special food than the obese group(p<0.05). Also obese children showed unconsious eating while reading or watching TV(p<0.01). The normal group attended physical education class more eagerily the obese group(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for learning habits. 3) Obese children shoed higher intake of nutrients compared to normal children. Among all the nutrients, minerals and vitami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further study on obese children and their intake of minerals and vitamin is needed. Also, in order to prevent factors which influence obesity, nutrition education at home as well as school was needed.as needed.

  • PDF

Classification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Diabetic Diseases Prediction

  • Sheetal Mahlan;Sukhvinder Singh Deor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2호
    • /
    • pp.204-212
    • /
    • 2023
  • Diabetes is a condition that can be brought on by a variety of different factors, some of which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age, a lack of physical activity, a sedentary lifestyle, a family history of diabetes, high blood pressure, depression and stress, inappropriate eating habits, and so on. Diabetes is a disorder that can be brought on by a number of different factors. A chronic disorder that may lead to a wide range of complications. Diabetes mellitus is synonymous with diabete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diabetes and an increased chance of having a variety of various ailments, some of which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nerve damage, and eye difficulties. There are a number of illnesses that are connected to kidney dysfunction, including stroke. According to the figures provided by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there are more than 382 million people all over the world who are afflicted with diabetes. This number will have risen during the years in order to reach 592 million by the year 2035. There are a substantial number of people who become victims on a regular basis, and a significant percentage of those people are uninformed of whether or not they have it. The individuals who are most adversely impacted by it are those who are between the ages of 25 and 74 years old. This paper reviews about variou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used to detect diabetes mellitus.

사이버가정학습 진단처방학습관리시스템 사용성 평가 및 학습 경험 개선 방향 도출 (Learning Diagnosis & Prescription Service in Cyber Home Learning System : Improvements on User Experience by doing Usability Evaluation)

  • 차현진;안미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876-883
    • /
    • 2009
  • 진단 처방학습관리시스템은 차세대 개인화 교육 서비스 모델 중 하나로써, 단순한 이러닝 활용학습에서 벗어나 학생의 학력 및 학습 습관을 진단하고 처방하는 차세대 학습관리 시스템이다. 학생의 학업성취 진단결과에 따라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개별화된 조언과 학습전략을 제시하여 학습습관을 관리하는 등의 개인화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최근 기술적으로 구현 가능한 차세대 교육 서비스 모델개발을 위한 가시적인 노력은 있지만 아직까지 효율적이고 효과적이면서도 사용경험의 극대화를 고려한 시스템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사용성 평가는 Silius와 Tervakari(2002)의 웹사이트의 사용성에 대한 평가와 교육 시스템의 교육적 사용성 평가 도구가 있으며, 서영석(2007)의 교육적 사용성 고려한 웹기반 학습 사이트에 특화된 사용성 평가를 위한 전문가용 도구가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전국적으로 도입될 가능성 있는 진단처방학습관리시스템의 교육적 사용성 평가를 위해 교육적 사용성 영역에 따라 개발된 전문가용 도구를 활용한 전문가 평가, 사용자를 통한 사용성 평가, 교사 및 담당 교육 연구사 인터뷰를 통한 문제점을 진단을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교육용 시스템은 효과성만을 강조하여 평가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학생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과정에서의 사용 경험과 개인적 가치에 대해 조사하여 학생들의 교육적 효과성 뿐 아니라 사용자 중심의 사용 경험 극대화를 추구하는 관점에서 평가하고 그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 PDF

Relationships between milk consump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y, and personality in Korean adolescents

  • Kim, Sun Hyo;Kim, Woo Kyoung;Kang, Myung-H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2호
    • /
    • pp.198-205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A healthy diet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physical development, cogni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and personality during adolescenc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ilk consump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ies, and personality among Korean adolescents. SUBJECTS/METHODS: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was a surve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k consump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in which intakes of milk and milk products and academic scores were examined in percentiles among 63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2009. The second part was a surve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ilk consumption and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y as well as personality, in which milk consumption habits were collected and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y Test (L-MOST) for adolescents and Total Personality Inventory for Adolescents (TPI-A) were conducted in 262 high school students in 2011. RESULTS: In the 2009 survey, milk and milk product intakes of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low intake group (LM: ${\leq}60.2g/day$), medium intake group (MM: 60.3-150.9 g/day), and high intake group (HM: ${\geq}151.0g/day$). Academic performance of each group was expressed as a percentile, and performance in Korean, social science, and mathematic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M group (P < 0.05). In the 2011 survey, the group with a higher frequency of everyday milk consump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arning strategy total," "testing technique," and "resources management technique" scores (P < 0.05) in all subjects. However, when subjects were divided by gender, milk intake frequency, learning strategy total, class participation technique, and testing techniqu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P < 0.05) in boys, whereas no correlation was observed in girls. Correlations between milk intake frequency and each item of the personality test were only detected in boys, and milk intake frequenc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otal agreeability", "organization", "responsibility", "conscientiousness", and "intellectual curiosity" (P < 0.05). CONCLUSION: Intakes of milk and milk products were correlated with academic performance (Korean, social science, and mathematics) in Korean adolescents. In male high school students, particularly, higher milk intake frequ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y as well as some items of the personality inventory.

구성주의적 토의식 학습이 수학에 대한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the Constructivist Discussion on Learning Attitude in Mathematics and Children's Mathematics Achievement)

  • 황혜진;신항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1권1호
    • /
    • pp.59-74
    • /
    • 2008
  • 본 연구는 수학적 사고를 토의를 통해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통한 반성적 사고를 유발하는 구성주의적 토의식 학습이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 학업 성취도에 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서울 시내에 위치하고 있는 초등학교 3학년 1개반(30명)을 실험집단으로하여 구성주의적 토의식 학습을 하고, 다른 한 학급(30명)은 비교집단으로 하여 일반적인 수학학습을 6주 동안 시행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수학적 상황과 의문점들을 토의에 의해 해결해 가는 학습 방법, 즉 자신의 사고를 수학적으로 의사소통해 나가는 구성주의적 토의식 학습은 수학에 대한 태도 중 자아개념과 교과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교과에 대한 학습 습관 중 자율학습과 학습기술 적용에 있어서 학생들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또한 구성주의적 토의식 학습은 일반적인 수업보다 학업성취도면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본 연구가 3학년의 30명 재적의 한 개 반만을 대상으로 하여 학생들이 보인 결과를 분석한 것이므로 통계적으로 좀 더 유의미한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년과 다양한 환경의 학생들의 결과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 PDF

협동 학습이 중학교 여학생들의 과학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 - 지각 변동 단원에 STAD 모델의 적용 -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Middle School Girls' Science Preferences - Applying the STAD Model in the Unit of Crustal Deformation -)

  • 조규성;이광호;양수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9-288
    • /
    • 2006
  • 본 연구는 김제시 1개 중학교 2학년 여학생 5개 반을 대상으로, 중학교 과학 '지각 변동' 단원을 중심으로 협동학습을 실시하여 협동 학습이 여학생들의 과학 선호도에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협동 학습 모둠은 학습 능력이 이질적으로 되도록 4명을 한 모둠으로 구성하여 약 10주간의 협동 학습을 실시하였다. 협동 학습 실시 전 후 동일한 검사지로 과학 선호도에 대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협동 학습 실시 후 여중생들의 과학 선호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과 과학 수업에 대한 참여도가 협동 학습 전과 달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과학자들에 대한 인식이나 과학적으로 사고하거나 행동하는 습관을 나타내는 과학적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10주 동안의 기간은 협동 학습 전략을 효과적으로 시행하는데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조사에서 중위 수준 학생들은 상-하위 수준 학생들과 달리 협동 학습에 대해 강한 긍정을 나타냈다. 협동 학습을 통해 상위 수준 학생들에게 배우고, 하위 수준 학생들에게 나누는 모둠 활동에서 자신감을 얻고 흥미를 느낀 것으로 보인다. 다른 의견으로는 협동 학습이 과학 수업에 대한 흥미 유발과 공부에 더 도움이 되고, 학생의 참여도를 높이며, 학생들에게 협동심을 길러주는 등의 좋은 점이 있으나,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인한 소란스러움을 유발시키고, 모둠 내 협동하는데 의견 충돌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

구한말 사회변혁과 식량사정 (The social changes and food situatio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 이철호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5권2호
    • /
    • pp.203-217
    • /
    • 2022
  • The influence of the social changes on the food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during the late period of Joseon Kingdom (1800-1910) was analysed by using old literatures and the records of the Westerners visited Korea during the period. The late period of Joseon can be designated the most poor and miserable period in the history of Korea. The people suffered from the corrupted and incompetent government and social disturbances. The main driving forces to reforming the society at that time were 'Silhak' (Practical Learning), introduction of Catholic church and Donghak movement. The food related literatures written in this period in Korea described the life of upper classes (Yangban) and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life of the poor majority. This paper introduces the food availability and habits of Korean observed by the Westerners visited Korea at that time.

가네의 수업사태(instructional event)별 비계설정(scaffolding) 교수전략에 따른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평가 - 중학교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by Gagne's instructional events using scaffolding - Focusing on 'nutrition and meal of adolescents' unit in middle school-)

  • 서수연;박미정;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7-54
    • /
    • 2011
  •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가정과의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에 가네(Gagn$\'{e}$)의 수업사태별로 비계설정을 적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수업을 실행하여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중심으로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71명의 중학생에게 시행되어 평가되었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은 총 5차시로 구성되었으며 주제는 영양과 건강, 6대 영양소의 기능(1차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청소년기의 영양 특징(2차시), 청소년의 하루 식사구성(3차시), 청소년의 영양문제(4차시), 그리고 미래 건강과 직업(5차시)으로 구성하였다. 이 과정안의 특정은 다음과 같다: (1) 가네의 9가지 수업사태별로 각각 다른 비계설정을 적용하여 가정과교사가 수업에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수업방법과 예를 상세히 제시하였다; (2) 매차시마다 기본탐구와 심화탐구로 수행평가와 채점기준표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3) 학습주제는 '청소년의 생활'에 초점을 맞추었고 매차시마다 2가지 학습주제를 제시하였다. 교수 학습 과정안에 제시된 비계는 모두 45개 이었고 교수 학습 자료는 27개(활동지 14, 읽기자료 6, 수행평가 7)이었다. 이 수업을 받은 중학생들은 수업에서 교사의 설명이 재미있고 알아듣기 쉬웠으며, 학습 자료와 학습 내용이 이해가 잘되어 전반적으로 수업에 만족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의 평가에 대해서 21명의 가정과 교사는 중학생의 발달단계에 적합하며, 교사의 질문은 명확하였고, 학습자료를 포함한 학습내용은 이해가 쉬웠으며, 가네의 수업사태에 따른 학습내용이 적합하였고 현장 실행에 유용하고 용이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 PDF

여대생의 월경전 증후군, 월경통, 월경에 대한 태도, 수면의 질이 학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menstrual syndrome, menstrual pain, attitude toward menstruation, and sleep quality on learning immers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 김지영;김나연;김나현;김다은;김세은;김수경;제남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5-50
    • /
    • 2024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월경전 증후군, 월경에 대한 태도, 수면의 질, 통증이 학습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 C 대학교 여대생 166명이며, 자료수집은 구글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3년 7월 01부터 8월 31일까지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월경전 증후군은 월경에 대한 태도(r=.40, p<.001)와 월경통(r=.33,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수면의 질은 월경통(r=.31, p<.001), 학습몰입도(r=.24, p=.002)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습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식사 '불규칙적'(β=.20, p=.007), 월경통 완화 '복무마사지'(β=.27, p=.003), 수면의 질(β=.16, p=.038)이었다. 월경통 완화 '복무마사지'가 학습몰입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식사 '불규칙적', 수면의 질 순이었다. 총 설명력은 13.9%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월경전 증후군을 완화를 통한 학습몰입도 증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치료법과 이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켜 적극적인 대처 방안을 모색하고, 올바른 식사 습관을 갖추어 월경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교육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