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Participation

검색결과 1,077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iveness of Blended Learning Method on Digital Logic Circuit

  • Lim, Se-Young;Lim, Dong-Kyun;Lee, Ji-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4권2호
    • /
    • pp.34-37
    • /
    • 2015
  • An ideal teaching-learning method, such as the blended learning method, is to motivate interests in education and to allow active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s. Students exposed to this method are hypothesized to be dedicated in learning and their school life. A research was conducted on $11^{th}$ graders in Daejeon city high school specialized in industry; the blended learning method was applied to a course, digital logic circuit and the effects on the students' learning were monitored. The result shows that compared with a common leaning method, the blended learning method is very effective in terms of increasing educational interest, class participation, the level of concentration in cla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lso, it shows positive feedbacks from the students on the educational videos and the usage of the contents. Conclusively, the blended learning method effectively increases academic achievements through improved educational motivation and active class participation which positively affec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미적분학 수업에 그룹게임을 적용한 협동학습 사례 (A Case Study of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Group Game to Calculus Class)

  • 조영;김미라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41-51
    • /
    • 2021
  • This paper is to study whether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group games becomes a teaching method that can increas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lass in calculus an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tudents. To increas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lass, the researcher conducted cooperative learning by applying smartphones and various game tools to group games. The consequence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class increased regardless of their mathematics basic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alculus which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will be more easily approached by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group games in the future.

공과대학생의 온라인 학습에서 자기 조절 학습 능력 및 학습양식과 학습참여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tyle and Degree of Learning Participation on On-line Learning of Engineering University Student)

  • 김미영;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0-128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4년제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유형을 조사하고,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유형간의 관계를 분석하며, 이들이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들의 참여도,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으로 4년제 대학교 정규과정 1개반을 선정하여 온라인 학습 환경을 설계한 후 한학기 동안 운영하고 학습참여도를 확인하기 위해 시스템 로그 파일과 게시판 게시횟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자기 주도 학습 능력과 학습 참여도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학습양식과 학습참여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학습양식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다. 학습양식은 연구자가 기대한 수렴자와는 달리 분산자가 63.4%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온라인 학습을 설계할 때 더 나은 학업성취도를 위해 적절한 자기조절 학습 전략을 고려한 설계가 요구된다.

긍정심리자본이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Participation in Lifelong: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ness to learning)

  • 이효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98-209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평생학습기관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이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주도성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긍정심리자본을 독립변인으로, 평생학습 참여성과를 종속변인으로, 자기주도성을 매개변인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은 평생 학습 참여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은 자기주도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성은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주도성은 긍정심리자본과 평생학습 참여성과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긍정적 심리와 자기주도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학습체제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긍정심리자본, 자기주도성이 중요 요인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긍정심리자본의 평생학습조직에의 적용 등 평생학습 참여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연구결과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을 비롯해 평생교육 발전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만족도 및 학습성과가 사회적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ults' Participation Motives for Lifelong learning, and their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on Social Capital Formation)

  • 윤종찬;한상훈;박명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79-58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성인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만족도 및 학습성과가 사회적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해 D시의 평생교육기관 및 시설에서 평생교육참여 경험이 있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학습자 354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동기는 사회적자본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만족도와 학습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인의 만족도와 학습성과는 성인의 사회적자본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사회적자본 형성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평생교육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로서 평생교육 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참여가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협동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ing Community Program Participation on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 조보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43-54
    • /
    • 2020
  •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참여가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협동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2학기에 A대학교 재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참여가 대학생의 협동학습역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분석에서는 협동학습역량의 학습참여, 학습만족도 요인에서 프로그램 전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년별 차이를 살펴본 바, 2학년과 3학년에서 프로그램 전후 협동학습역량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활동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행되는 학습공동체 활동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협동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학습공동체 활동의 체계적인 운영과 지원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독일 평생학습도시 프로그램 고찰 - 초·중등학생의 참여 관점에서 - (Students'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 implications from the German case)

  • 강구섭;김진희
    • 비교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105-124
    • /
    • 2016
  • 평생학습이 하나의 전 사회적 문화로 형성되고 일상에서 향유되는 사회가 평생학습 사회이다.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그러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세부적인 단위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초중등학생 참여의 관점에서 독일의 평생학습도시 프로젝트의 내용을 고찰하고 우리의 평생학습도시 프로그램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초중등학생 참여의 관점에서 독일의 평생학습도시 프로젝트에서는 개인학습지원, 다음 학제 단계로의 전환과정 지원, 직업 및 진로 지도라는 세 가지 방향에서 초 중 고등학생의 참여를 위한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독일의 사례는 평생학습도시 프로젝트가 급변하는 사회적 상황에서, 평생교육의 실질적인 대상을 확장하고 초 중등학생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학습 관련 필요를 충족하는 동시에 전통적인 학교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보완하는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CMC기반의 영어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교수설계가 영어학습에 미치는 효과 : 교양 영작문 과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Further Interaction on English Learning in a CMC Based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Focusing on University General English Education)

  • 정양수
    • 한국영어학회지:영어학
    • /
    • 제3권2호
    • /
    • pp.281-30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MC-based English learning. In this study, CMC components were found to provide circumstances of facilitating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tudent and student-student-teacher, which enabled students to accomplish language learning tasks.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MC based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helps students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ir English language learning. Second, student-student-instructor interaction group outperformed other group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activity participation. Third, cooperative learning groups mor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activity than the individual learning group resulting in better academic performances. These findings supported the fact that cooperative learning with CMC components are useful in bringing more class participation and positive attitude that were believed to foster language learning than other groups in traditional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structor needs to us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helpful to facilitate active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better effectiveness of English learning in a CMC based learning environment.

  • PDF

Exploring Online Learning Profiles of In-service Teachers in a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

  • PARK, Yujin;SUNG, Jihyun;CHO, Young Hoa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8권2호
    • /
    • pp.193-213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online learning profiles of in-service teachers in South Korea, focusing on video lecture and discussion activities. A total of 269 teachers took an online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 for 14 days, using an online learning platform from which web log data were collected. The data showe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the initial participation time,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procrastinating behaviors. A cluster analysis revealed three online learning profiles of in-service teachers: procrastinating (n=42), passive interaction (n=136), and active learning (n=91) clusters. The active learning cluster showed high-level participation in both video lecture and discussion activities from the beginning of the online course, whereas the procrastinating cluster was seldom engaged in learning activities for the first half of the learning period. The passive interaction cluster was actively engaged in watching video lectures from the beginning of the online course but passively participated in discussion activities. As a result, the active learning cluster outperformed the passive interaction cluster in learning achievements.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gard to how to improve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through considering online learning profiles of in-service teachers.

메타버스 활용 물류 교육이 학습 참여와 학습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gistics Education Using Metaverse on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 조상리;신학승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61-73
    • /
    • 2023
  • 메타버스 기반 물류교육을 실시할 때 콘텐츠가 갖춰야 되는 요인으로 교육성, 오락성, 실재감을 선행요인으로 제시하고 학습자 참여를 매개하여 학습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와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첫째, 교육성, 오락성, 실재감은 학습자의 참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의 일환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이므로 교육성이 가장 높을 것을 예상할 수 있지만 오락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메타버스 기반 물류 교육이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생들이 재밌고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콘텐츠를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의 참여는 학습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의 세계이지만 실재감 있고 다른 학습자들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면 학습에 만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메타버스 기반 물류 교육을 제공할 때 지속적으로 학습만족을 제공하기 위해서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