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Motive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4초

인지수준에 따른 마인드 툴 활용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n learning achievements and motives by using mind tools regarded students' congitive levels)

  • 김동렬;문두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3-4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인지수준과 동기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마인드 툴인 의미망 프로그램이 인지수준에 따른 학업 성취도와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교육현장에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인지수준별 동기 전략을 적용한 마인드 툴을 활용한 수업은 과도기 학생들의 생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켰고, 학습 내용에 시각적인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학생들의 인지구조에 새로운 지식을 효과적으로 연결시켜 주의집중과 자신감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형식적 조작기 학생들 보다 과도기 학생들의 의미망 형성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내용이 구조지식으로 조직화되어 학습내용의 파지에 효과적이었다.

  • PDF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학습전략 영향요인 (Learning Strategies Influencing factors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 문인오;정지나;서명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407-416
    • /
    • 2019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J도 소재의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보건 의료분야 전공 대학생 373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 전략은 진학동기, 전공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자기주도적 학습은 학년, 진학동기, 전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습전략과 독립변수 간 상관계수는 학업적 자기 효능감(r=.478, p<.001), 자기주도적 학습(r=645, p<.001), 학업 스트레스(r=-.193, p<.001)로 유의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beta}=0.61$), 전공만족도(만족)(${\beta}=0.31$), 전공만족도(보통)(${\beta}=0.24$)의 순으로 학습전략에 영향을 주며, 전체 설명력은 42.6%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공만족도 개선방안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방안의 모색은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학습전략을 높이는데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 6학년 과학과에서 프레어모형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동기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Program with Frayer model on Learning Motive and Learning Achievement of 6th Grade Elementary Science Learning)

  • 양치훈;이석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2-163
    • /
    • 2015
  • In this study, to raise the interest and curiosity of students and at the same time to learn science concepts meaningfully for student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Frayer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Elementary Science Teaching Program with Frayer model on Learning Motive and Learning Achievement. To this end, the 6th grade classroom of A-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gwipo-city was selected the experimental group (26 patients). And the other 6th grade classroom in the same school was selected to the comparative group (27 pati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applying the Frayer model. Comparison group has been conducted lesson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science class teacher guide. Was through a pre-test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can be assumed in the same group. After complet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by conducting a post-mortem examination was statistically validat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elementary science class which applied Frayer model had the effect of to improve the scientific motivation. In particular, attention (p <.01), association (p <.01), confidence (p <.01)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Second, the Frayer model applied to elementary science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cience achievemen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Frayer model was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science achievement post-test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01). The above findings, Elementary science class which applied Frayer model can be concluded to be effective in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motivation. Therefore, applying the Frayer model of elementary science class could be useful i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previous study, applying the Frayer model classes will be able to derive a meaningful learning also subjected to a number of fields and areas.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태도요인이 학습흥미도와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Digital Textbook Attribute Factors on the Learning Interest and Learning Satisfaction)

  • 백현기;한상훈;최은하;김수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735-749
    • /
    • 2008
  • 본 논문은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태도요인이 학습흥미도와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현재 디지털교과서 연구시범학교에서 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 325명으로부터 자료를 얻어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태도요인을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요인인 우월감, 자신감요인과 교과에 대한 태도요인으로 흥미, 목적의식, 성취동기요인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본 결과 자신감, 흥미, 목적의식, 성취동기요인이 학습흥미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또한, 이들 태도요인에 따른 학습흥미도는 학습만족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디지털교과서의 상용화에 대비하여 학습자의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태도요인을 고려하여 콘텐츠 설계 및 제작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콘텐츠 구성면에서도 학습흥미도를 고려하여 풍부한 학습내용 및 다양한 피드백 경로 제공 등을 통해 학습만족도와 학습성과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른 영재판별의 차이 (Difference on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by Level of Percep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 고민석;박병태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427-447
    • /
    • 2011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 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영재 판별 및 추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라 영재 판별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영재관련 경험에 따라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재직무연수를 이수하였거나 관찰추천을 담당하는 교사의 영재판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일반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교사들은 영재판별척도로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를 가장 높은 판단 기준으로 여겼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학부모 추천 및 동료 추천에 대한 교사들의 영재판별척도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학습능력, 창의성, 리더십, 학습동기 및 태도에 비해 낮았으며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 집단이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 영역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소외지역 초등학생의 내·외적 SW학습 동기 성향에 따른 SW진로 선택 연구 -인천광역시 읍·면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SW Career Selection According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SW Learning Motiv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ducational Underprivileged Areas)

  • 이재호;장준형;김정훈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4호
    • /
    • pp.187-196
    • /
    • 2021
  • 본 연구는 SW교육이 보편적 교육이 되기 위한 필요조건이나 연구가 미진한 소외지역 학생들의 SW진로 교육에 대한 연구이다. 읍·면 교육 소외지역에 위치한 6개 학교, 3~6학년 2,231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SW진로 선택 모형 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소외지역 학생들의 내적 SW학습 동기는 SW진로 선택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 외적 SW학습 동기는 SW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교육 소외지역 학생들의 SW경험이 부족하여 내적 SW학습 동기가 SW진로 선택에까지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추론된다. 내·외적 SW학습 동기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소외계층 학생들이 SW교육 경험이 많아짐에 따라 내적 SW학습 동기가 SW진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부분, 외적 SW학습 동기가 내적 SW학습 동기를 어떻게 지원하는가에 대한 부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NCS 기반 교육과 학습동기에 따른 학업성과 결정요인분석 (An Analysis of the Academic Achivement of Study Based on NCS-based Education and Learning Motives)

  • 강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53-359
    • /
    • 2018
  • 본 연구는 NCS기반 교육 및 학습동기와 학업성과간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정부의 NCS(국가직무능력표준)와 학습모듈 개발 장려에 따른 NCS 기반 교육의 실효성을 진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을 위해 우선, 실무중심 교육이 주를 이루는 항공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관련내용 척도를 개발하였다. 관련학과 학생들을 표본대상으로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교수역량,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으로 측정된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교육은 학업성과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를 영향요인으로 한 학습동기는 학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등과학 수업에서 오조봇 코딩을 활용한 SW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W-STEAM Program by Utilizing Ozobot Coding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 김혜란;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234-24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W-STEAM program by utilizing ozobot coding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The developed SW-STEAM program was applied to $5^{th}$ grade students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 cit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which is consisted of 22 students and a comparative group comprised 22 students. And they were engaged in differ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during 11 class hour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W-STEAM program, the comparative group was taught by using a traditional instruc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s. The SW-STEAM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ic science process skill, science learning motive, science achievement. Therefore, the SW-STEAM program by utilizing ozobot coding could be meaningful works to encourage students' basic science process skill, science learning motive and science achievement, and more studies on developing SW-STEAM program are needed.

Keller의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중학교 가정 '영양과 식사' 단원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applying Keller's motive induction strategy to 'Nutrition and Meal' unit of the revised 7th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 편은영;박미정;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59-173
    • /
    • 2009
  •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기술 가정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에 동기유발 전략을 활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위해 먼저 켈러와 송상호가 밝힌 Dick과 Carey 모형과 ARCS 모형의 인터페이스를 기초하여 수업 설계 단계를 추출하였다. 수업설계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밝히고 있는 가정과교육의 성격과 특징을 분석하여 수업의 목적을 규명하고, 대단원과 중단원, 소단원의 학습목표를 연계하여 공통의 목표를 지향할 수 있는 5개의 학습 문제를 추출하였다. 구상한 교수 학습 활동의 학습 목표를 진술하고, 교수전략과 교재를 개발하였다. 교수전략은 교수 학습 과정안에 접목할 동기요소들을 교수전략과 연계하여 제시하였고, 교재 개발은 교수 학습 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활동지를 구성하는 단계로 사용하였다. 개발한 5개의 교수 학습 과정안의 도입 단계에서는 학생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문제를 제시하였다. 다음 단계에서 그러한 문제와 관련된 배경지식을 학습하고, 제기된 문제와 관련하여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모습과 비교하여 이루고 싶은 목표를 설정하게 하였다. 설정한 목표가 자신과 가족, 친구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 봄으로써 목표에 대한 결과를 고려하고, 자신의 행동으로 어떻게 옮길 지를 작성하여,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교수 학습 과정안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의 평가는 켈러와 송상호가 밝힌 동기전술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동기요소와 그에 따르는 하위요소의 문항에 적합한 요소를 추출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의 오른쪽에 아이콘화 하여 나타내었으며, 이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를 가정과교육 전공 교수 1인과 가정과교육전공 박사학위를 소지한 현장교사 1인, 중등 가정과교사 5인으로부터 검토 받고 검토 내용을 참조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을 다시 수정하고 보완하여 완성하였다.

  • PDF

맥박변화를 이용한 음악 감상 학습 효과의 분석 (The analysis of learning effect in the field of music appreciation using pulse change)

  • 윤덕은;이만우;김순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92-79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On-line 상의 교육에 의한 E-learning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교육프로그램에 이를 적용하였다. 교육과정에 감상부분을 통해 학습의 동기유발과 학습효과의 기대, 학습의욕증대를 위해 나타나는 각 그룹의 학생의 맥박을 체크하여 정서적 안정성에 대한 연구결과 음악 감상 컨텐츠의 적용에 의한 음악 흥미도를 추출하여 음악 감상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