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er's satisfaction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6초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모바일 콘텐츠가 학습자의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bile Contents on the learner's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 김창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77-188
    • /
    • 2013
  • Since the world entered the age called "Smart Revolution", there has also been a lot of changes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smart learning based on mobile contents,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 Devices and ubiquitous technology. This paper is about a research on what effects smart learning has on leaner side when learners make active use of mobile contents in this age of Smart Revolution. First, we embodied teaching plans for some practical classes in forms of mobile contents using M-bizmaker. After the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embodied contents for students, we analyzed the survey results on 4 sections-their use of apps, screen composition, technical support, interactions. We also studied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on 4 sections-contents, information offering, feedback systems, learner assessment-to evaluate their satisfaction. The research suggests that learn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with smart learning based on mobile contents embodied for leaners.

e-Learning 학습자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e-Learning Learners Satisfaction)

  • 서창갑;이석용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8권3호
    • /
    • pp.1-25
    • /
    • 2009
  • As many universities introduce e-Learning classes as formal courses, numerous research topics relating to c-Learning such as, defining e-Learning,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e-Learning deployment and examin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in e-Learning classes need to be focused on. However, most researches thai have been undertaken only consider the positive side or right functional dimension. This can result in e-Learning dissemination at universities being overlooked. In accordance with this indispensability, the negative factors, which are potentially inherent in e-Learning learner's perception and affect personnel e-Learning acceptance in university classes need 10 be acknowled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gative factors affecting personnel e-Learning acceptance and to analyze the interrelation among the factors in this research model.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avoidable convenience and reliant convenience, based on pilot test results, and self-efficacy and perceived playfulness,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are used to examine the research model. The research problem was tested with data collected from 446 respondents in 12 universities. This study developed and empirically analyzed a model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firstly, that the higher reliant convenience is negatively affecting the degree of system use and learner satisfaction, whereas avoidable convenience is only affecting the learner satisfaction. Secondly, the higher self-efficacy and stronger perceived playfulness affects the degree of system use as well as learner satisfaction. Finally, the degree of system use affects the learner satisfaction.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 영향요인 구조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Adult Learners' Learning Outcomes at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 방희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474-7484
    • /
    • 2015
  • 본 연구는 대전소재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 960명을 대상으로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자특성과 교육기관특성은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를 매개하여 학습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자특성은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기관특성도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습몰입은 학습만족과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습만족은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학습성과는 학습자특성, 교육기관특성, 학습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성과는 학습몰입과 학습만족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평생교육원은 보다 다양하고 전문화된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 수업분위기 조성, 교육시설 환경개선, 우수 교강사 확보, 교직원의 원스톱 행정서비스 등 학습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략, 학습태도, 성취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ing Strategy, Learning Attitude, Achievement Motivation on Satisfaction of Online Extracurricular Participants)

  • 박혜진;권영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3-21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 online extracurricular after COVID-19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strategy, learning attitude, and achievement motivation on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online extracurricula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responses from 163 student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strateg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ese results can be inferred that positive recognition worked in the process of actually applying the learning strategies acquired through the extracurricular to their own learning. Second, learning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e learner's learning attitude to develop necessary skills through experience and the sense of achievement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online extracurricular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achievement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learner's active behavior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cts as a motivation for achievement and affects satisfaction. Finally, through this study, a plan for effectively operating extracurricular in an online environment was presented.

학습 선호도에 의한 학습 콘텐츠 제안 시스템 (The Propose System of Learning Contents using the Preference of Learner)

  • 정화영;이연호;홍봉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477-485
    • /
    • 2010
  • 웹 기반 학습시스템은 다양하고 방대한 학습 콘텐츠가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가 학습을 위해 학습 콘텐츠를 선택할 때 이를 자신에 맞도록 효율적으로 구성하기는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학습을 계획할 때 학습자 프로파일의 학습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선호도를 산출하여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에게 제안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학습 선호도 산출은 토픽 선호도 벡터 값으로 산출하여 적용하였다. 학습의 적용 결과로 학습 모집단을 선별하여 학습을 진행하였으며, 학습후의 학습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으로서 본 제안방법이 학습자 스스로의 학습 진행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적응형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 특성 및 AI튜터 추천문항 학습활동의 학업성취도 예측력 탐색 (An Inquiry into Prediction of Learner's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Learner Characteristics and Recommended Items with AI Tutors in Adaptive Learning)

  • 최민선;정재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29-140
    • /
    • 2021
  • Recently, interest in AI tutors is rising as a way to bridge the educational gap in school settings. However, research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AI tutors is lac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effective learner characteristics and recommended item learning activities are in predicting learner's academic performance in an adaptiv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proposed the hypothesis that learner characteristics (prior knowledge, midterm evaluation) and recommended item learning activities (learning time, correct answer check, incorrect answer correction, satisfaction, correct answer rate)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data of 362 learners were analyzed by collecting data from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analytics. For data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regsubset function provided by the leaps package of the R program. The results of analyses showed that prior knowledge, midterm evaluation, correct answer confirmation, incorrect answer correction, and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but learning time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commended item learning activities, which mean behavioral indicators of interaction with AI tutors, are important in the learning process stage to increase academic performance in an adaptiv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메타버스 환경의 융합(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통한 학습자 태도 및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learner's attitude and satisfaction throug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etaverse environment STEAM educational program)

  • 전재천;장준혁;정순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87-195
    • /
    • 2022
  • 최근 메타버스(Metaverse)에 대한 관심과 함께 메타버스 플랫폼을 다양한 형태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가 가지고 있는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주목하고,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메타버스 환경의 융합(STEAM)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친숙한 마인크래프트와 제페토를 메타버스 학습 플랫폼으로 활용하였고, 모듈 형태의 5가지 주제를 총 16차시로 구성하여 교육 현장에서 차시 대체형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STEAM 태도의 변화 및 학습 만족도를 측정했으며, 개발한 융합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 배려, 소통, 유용성, 자아개념, 자아효능감, 진로선택 영역이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 흥미, 수업 전반과 관련된 학습자 만족도 검사 전 영역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확인되었다. 향후 메타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공간의 제약을 탈피하여 새롭게 소통하고, 높은 자유도와 몰입도를 바탕으로 하는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교육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토론 만족도와 참여 메시지 유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to the Discussion Satisfaction Levels and Mode of Participation Message in the Non-Real-Time Online Discussion)

  • 김태웅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150-15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토론 만족도와 참여 메시지 유형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선,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토론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인지적 차원의 참여 유형 형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차원의 참여와 토론 만족 수준의 향상을 위해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활용할 것이 제안되었다.

학습자 주도와 교수자 주도 기본간호학실습에 따른 술기수행능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실습만족도 비교 (Comparisons of Nurs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Satisfaction by Learner-led vs. Faculty-l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 김영주;송효빈;나윤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391-400
    • /
    • 2020
  • 본 연구는 학습자 주도 및 교수자 주도 기본간호실습이 술기수행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학습자가 주도하는 실습은 사전 오픈랩 실습과 동료 간의 지도로 구성되어 있고, 교수자 주도 실습은 사전 오픈랩 실습 없이 교수자가 학생을 일대일로 개별 지도하는 실습이다. 연구설계는 두 집단간 비동등성 사전사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연구로써 교수자 주도 실습에 참여한 54명, 학습자 주도 실습에 참여한 80명, 총 134명의 간호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와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술기평가를 시행하였다. 학습자 주도 실습 그룹의 술기수행능력 점수와 실습 만족도는 교수자 주도 실습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사전 오픈랩 실습과 동료 간의 지도로 구성된 학습자 주도 기본간호실습이 학생들의 술기수행능력을 향상시키면서 실습만족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실습수업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토픽 맵을 이용한 학습 선호도 기반의 자기주도적 학습 시스템 (The Learning Preference based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using Topic Map)

  • 정화영;김윤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96-301
    • /
    • 2009
  • 자기주도적 학습에서는 학습자가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학습자가 방대한 학습 콘텐츠의 특성을 이해하고 학습과정을 구성하기는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학습을 계획할 때 학습자의 학습 선호도를 산출하여 학습자에게 맞는 학습 콘텐츠 유형 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학습 선호도 산출방식은 토픽 맵의 선호도 벡터값을 이용하였다. 제안방법의 적용을 위해 학습 모집단 20명을 대상으로 테스트 하였으며, 전체적인 학습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으로서 제안방법이 학습자의 학습구성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