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k accidents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3초

복합화력발전소 내 암모니아 누출 사고에 의한 피해영향 모델링 (Modeling of Damage Effects Caused by Ammonia Leakage Accidents in Combined Cycle Power Plant)

  • 고은성;박경식;김동민;노영태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15
    • /
    • 2023
  • 본 연구는 복합화력발전소 내 배연탈질 설비에서 원료 및 중간재로 많이 사용되는 암모니아의 연속 누출에 대한 유해 위험 거리 예측 및 정량적 평가를 위한 피해영향 모델링이다. 피해 예측은 사고 영향 평가와 확산모델을 기반으로 암모니아 저장탱크 누출사고의 최적 시나리오를 모델링 하기 위해 변수들의 조업조건을 표준조건으로 하였다. 대상지역인 한국서부발전 태안발전본부의 복합화력발전소는 온도, 습도, 풍속, 대기 안정도, 풍향 등의 계절적 요인에 따른 기상 조건과 지형적 조건을 설정하기에 최적의 조건이며, 시나리오에 따른 모델링 결과가 누출 사고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기에 가장 적합하였다. 암모니아 가스는 Gaussian 확산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확산에 따른 LOC 별 농도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ALOHA 모델링 결과는 대기 조건의 경우 온도가 높고 안정도가 표준수치 범위이며, 풍속이 낮을수록 암모니아 확산에 의한 인체 피해 영향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도체용 특수가스 공급을 위한 가스캐비닛 내부 유동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nal Flow Analysis of Gas Cylinder Cabinet for Specialty Gas of Semiconductor)

  • 김정덕;한승아;양원백;임종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4-81
    • /
    • 2020
  • 일반적으로 반도체를 제조할 때는 인화성, 독성, 부식성의 유해·위험물질이 다수 사용되며, 특히 화학적 증착(CVD), 식각(Etch) 등의 공정에서는 특수가스를 사용하여 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다. 특수가스는 압축 또는 액화가스의 상태로 용기에 충전되어 있는데, 특수가스를 반도체 제조공정에 공급하는 설비로서 가스캐비닛(Gas Cylinder Cabinet)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스공급시스템 내에서 실린더 이상 발생 시 배관·계측기 등 공급시스템의 안전 확보를 위해 가스실린더에 설치된 압력방출장치를 통해 가스가 방출하게 되는데, 이 경우 가스캐비닛 내부에 방출되는 가스가 캐비닛 외부로 누출될 위험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가스캐비닛 내부의 유체유동을 분석하여 누출에 따른 위험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위험도 감소를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H 연구지역의 수리지질-수리분산특성과 지하수 오염가능성 평가연구 (A Study on Hydrogeologic, Hydrodispersive Characterization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Assessment of an H-site)

  • 한정상
    • 자원환경지질
    • /
    • 제27권3호
    • /
    • pp.295-311
    • /
    • 1994
  • A comprehensive in-situ tests are performed to define the hydrogeologic and hydrodispersive characteristics such as hydraulic conductivities, longitudinal dispersivity, and average linear velocities as well as conducting flow-net analysis at the study a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y area is very heterogeneous so that hydraulic conductivities range from $6.45{\times}10^{-7}$ to $1.15{\times}10^{-5}m/s$ with average linear velocities of 0.34~0.62m/day. Whole groundwater in upper-most aquifer is discharging into the sea with specific discharge rate of $7.2{\times}10^{-3}$ to $1.3{\times}10^{-2}m/day$. The longitudinal dispersivity of the aquifer is estimated about 4.8m through In-situ injection phase test. The area is highly vulnerable to potential contaminant sources due to it's high value of DRASTIC index ranging from 139 to 155 and also under water table condition with very shallow groundwater level. To delineate contaminant plumes of toxic NaOH and carcinogenic benzene when these substances are assumed to be leaked through existing TSDF at the study area by unexpected accidents or spill, Aquifer Simulation Model (ASM) including Flow and Transport Model is used. Te simulated results reveal that the size of NaOH plume after 5 years continuous leak is about $250{\times}100m$ and benzene after 10 years, $490{\times}100m$. When the groundwater is abstracted about 50 days, which is maximum continuously sustained no-precipitation period during 30 years, with pumping rate of $100m^3/day$, THWELL program shows that the groundwater is adversly affected by sea water intrusion.

  • PDF

ZigBee를 적용한 누전상태 모니터링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Leakage Monitoring System Using ZigBee)

  • 주재한;나승권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07-112
    • /
    • 2017
  • 최근 가정이나 산업용 건물에서 컴퓨터, TV, 냉장고, LED 조명 등 가전기기들의 누전전류에 의한 감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가정 내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에 직접 연결되어 제어 하는 누전차단 모듈들은 모듈 후단에 병렬로 연결된 각각의 가전기기들의 누전상태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전류가 정상적인 전류의 통로 이외로 흐르는 누전전류를 기존의 누전차단기들은 배전함에 설치되어 누전시 전원을 차단해 주는 역할 을 한다. 가전기기의 누전으로 인한 감전, 화재 등 여러 가지 재해가 발생하여 누전전류의 위험성이 심각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에 근거리 무선통신시스템 중에서 저전력과 저가격 면에서 장점이 많은 IEEE 80215.4 기반의 지그비통신을 이용하여 상시 감시할 수 있는 누전상태 모니터링시스템 구현방안을 제시한다.

중증외상환자의 주 손상 부위별 특성과 간호활동 (Characteristics and Nursing Activities of Severe Trauma Patients Regarding the Main Damaged Body Parts)

  • 김명희;김명희;박정하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5권4호
    • /
    • pp.210-218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nursing activities of severe trauma patients regarding damaged body parts in Busan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Methods: A survey using a 'trauma patient information questionnaire and a list of nurse activities' was conducted with 133 patients over 15 points ISS on EMR from June 1, 2011 to May 31, 201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WIN 12.0 program. Results: Almost all of the subjects were men, and the mean age was 48.8. The amount of road traffic accidents was 60.4%, and the mean RTS and ISS were 6.08, and 23.14 points. Nursing activities in common were airway management, assessment of LOC & GCS, and EKG monitoring. Most of head and neck trauma patients were cared for manasing using intracranial pressure: each patience had the following assessed: pupil size and light reflex, they were checked the leak of CSF, kept $30^{\circ}$ head elevation, and administered medications. Some of chest trauma patients were treated for chest tube and central venous catheter insertion. Partial abdominal trauma patients were administered analgesic and cared for using arterial pressure measurement. Part of the limbs and pelvis trauma patients were given a blood transfus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and nursing activities were specific according to the specific damaged body parts.

오염토양 내 석유제품 판별을 위한 TPH 및 BTEX 분석 (Combined TPH and BTEX Analytic Method to Identify Domestic Petroleum Products in Contaminated Soil)

  • 임영관;나용규;김정민;김종렬;하종한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3권6호
    • /
    • pp.263-268
    • /
    • 2017
  • The significance of maintaining the soil environment is gradually increasing owing to soil and underground water contamination by petroleum leak accidents. However, the purification of soil is an expensive and more time-consuming process than the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water and air. Moreover, determining the source and people responsible for soil pollution gets often embroiled in legal conflicts, further delaying the cleanup process of the contaminate site. Generally, TPH (total petroleum hydrocarbon) pattern analysis is used to determine the petroleum species and polluter responsible for soil contamination. However, this process has limited application for petroleum products with a similar TPH pattern.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TPH pattern and specific sectional ratio (${\sim}C_{10}$, $C_{10}-C_{12}$, $C_{12}-C_{36}$, and $C_{36}{\sim}$) of various domestic petroleum products to identify the petroleum product responsible for soil contamination. Also, we perform BTEX (benzene, toluene, ethyl benzene, xylene) quantitative analysis and determine B:T:E:X ratio using GC-MS. The results show that gasoline grade 1 and 2 have a similar TPH pattern but different BTEX values and ratios. This means that BTEX analysis can be used as a new method to purify soil pollution. This complementary TPH and BTEX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identify the petroleum species and polluters present in the contaminated soil.

Biorisk Assessment of Medical Diagnostic Laboratories in Nigeria

  • Oladeinde, Bankole Henry;Omoregie, Richard;Odia, Ikponmwonsa;Osakue, Eguagie Osareniro;Imade, Odaro Stanley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4권2호
    • /
    • pp.100-104
    • /
    • 2013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ublic and private medical diagnostic laboratories in Nigeria for the presence of biosafety equipment, devices, and measures. Methods: A total of 80 diagnostic laboratories in biosafety level 3 were assessed for the presence of biosafety equipment, devices, and compliance rate with biosafety practices. A detailed questionnaire and checklist was used to obtain the relevant information from enlisted laboratori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e presence of an isolated unit for microbiological work, leak-proof working benches, self-closing doors, emergency exits, fire extinguisher(s), autoclaves, and hand washing sinks in 21.3%, 71.3%, 15.0%, 1.3%, 11.3%, 82.5%, and 67.5%, respectively, of all laboratories surveyed. It was observed that public diagnostic laboratorie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ave an isolated unit for microbiological work (p = 0.001), hand washing sink (p = 0.003), and an autoclave ($p{\leq}0.001$) than private ones. Routine use of hand gloves, biosafety cabinet, and a first aid box was observed in 35.0%, 20.0%, and 2.5%, respectively, of all laboratories examined. Writte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biosafety manuals, and biohazard signs on door entrances were observed in 6.3%, 1.3%, and 3.8%, respectively, of all audited laboratories. No biosafety officer(s) or records of previous spills, or injuries and accidents, were observed in all diagnostic laboratories studied. Conclusion: In all laboratories (public and private) surveyed, marked deficiencies were observed in the area of administrative control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biosafety. Increased emphasis on provision of biosafety devices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codes of practices issued by relevant authorities is strongly advocated.

LPG 가열로 및 건조로의 안전장치 설치에 따른 사고빈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ident Frequency by Installing Safety Devices in the LPG Heating and Drying Furnace)

  • 송동우;김기성;김충희;이성경;이수경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9-5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가열로 건조로의 안전장치 유무에 따른 위험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FTA(Fault Tree Analysis)를 통하여 안전장치들의 사고발생 빈도수 도출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LPG 가열로 및 건조로의 안전장치의 국내 설치기준이 미비하고 가스 누출하여 체류할 수 있는 구조로 폭발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 안전장치는 다른 설비의 연소기 국내 기준과 NFPA를 바탕으로 4가지를 선정하였다. 안전장치 설치 전후의 사고발생 빈도감소효과를 각각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LPG 가열로 건조로의 가스누출 피해 방지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제시하였다.

산업용 밸브의 위험요소 분석을 통한 IoT 기반 안전관리 방안 개발 (Development of IoT-based Safety Management Method through an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Industrial Valves)

  • 김정훈;김영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5-43
    • /
    • 2019
  • 플랜트시설의 핵심부품인 산업용 밸브에 대한 기존안전관리는 인력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점검 영역이 넓고 시설물의 특성상 제한된 접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다. 플랜트 시설의 수많은 산업용 밸브에서 누출 및 고장 발생 시 생산중단, 독성물질 및 가연성 가스의 누출 및 폭발로 인한 인명피해, 사고 위치 파악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안전관리 및 제어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IoT 기반 무선통신을 통한 산업용 밸브의 안전관리 및 액츄에이터 제어 시스템 개발 내용 중에서 위험요소 예측기술 개발과 관련 된 내용이다. 밸브의 구조적 특성 분석을 하고 고장데이터, 문헌 등으로 부터 주요 위험요소 분석, 위험요소 원인분석 및 사고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주요 위험요소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IoT 기반 산업용 밸브의 안전관리 기법을 개발하였다.

토양오염 원인자 판단을 위한 항공유 분석 (Analysis of Jet Fuel for the Judgment of Soil Polluter)

  • 임영관;정충섭;한관욱;장영주
    • 공업화학
    • /
    • 제25권1호
    • /
    • pp.27-33
    • /
    • 2014
  • 석유누출 사고로 인해 토양과 지하수 오염이 점차 증가되면서, 토양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늘고 있다. 토양오염은 다른 환경오염에 비해 많은 정화비용과 긴 정화기간이 요구된다. 이런 이유로 토양오염이 발생되면, 어떤 오염물질에 의해 토양이 오염되었으며, 토양정화의 책임이 있는 오염자가 누구인지 법적 분쟁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항공유에 대한 물성 분석과 함께 항공유 내의 특정 첨가제를 분석함으로써 등유와 항공유의 구분법을 찾아내었다. 특히 발색제에 의해 등유 내 화학적 식별제만 발색되었으며, GC-MS 분석결과 항공유에서만 산화방지제와 금속불활성제가 분석되었다. 이는 추후 항공유에 의한 토양오염 야기 시, 어떤 석유제품에 의한 오염인지 쉽게 판단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