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morphology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잎담배에서 분리된 PVY계통 (Two New PVY Strains Isolated from Tobacco Plant in Korea)

  • 박은경;김종진;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09-214
    • /
    • 1984
  • 1980년도부터 우리나라 Burley 종 잎담배산지에서 엽맥에 녹대병상 또는 괴저증상을 나타내는 새로운 병징이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기주범위조사, 항혈청반응, 물리적성질조사, 복숭아혹진딧물에 의한 전염여부 및 바이러스 입자 관찰을 통해 이들은 서로 병징을 달리하는 PYY의 두가지 계통으로 밝혀졌다. 이 계통들은 잎담배포장에서 자연감염에 의해 나타난 주요병징에 따라 엽맥연대계통 (PVY-VB)과 엽맥괴저계통 (PVY-VN) 으로 명명하였다. PVY 항혈청과 이 계통들의 이병즙액을 반응시킨 결과 양성반응을 나타냈으며 그 반응에서는 두계통간의 차가 없었다. 이들과 병징이 유사한 tobacco etch virus 및 tobacco vein mottling virus 항혈청과의 반응에서는 음성반응을 나타냈다. 전자현미경에 의해 약 730 nm의 사상형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으며 그 형태와 크기에는 두 계통간 차가 없었다.

  • PDF

Analysis of metabolites in wheat roots in response to salinity stress

  • Kim, Da-Eun;Roy, Swapan Kumar;Kim, Ki-Hyun;Cho, Seong-Woo;Park, Chul-Soo;Lee, Moon-Soon;Woo, Sun-H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00-200
    • /
    • 2017
  • Salinity str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biotic stresses and severely impairs plant growth and production. Root is the first site for nutrient accumulation like as $Na^+$ in the plant.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wheat root under salinity stress, we executed the characterization of morphology and analysis of metabolites. Wheat seeds cv. Keumgang (Korean cultivar) were grown on the moist filter paper in Petri dish. After 5 days, seedlings were transferred to hydroponic apparatus at 1500 LUX light intensity, at $20^{\circ}C$ with 70% relative humidity in a growth chamber. Seedlings (5-day-old) were exposed to 50mM, 75mM, 100mM NaCl for 5 days. Ten-day-old seedlings were used for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metabolite analysis. Root and leaf length became shorter in high NaCl concentration compared to following NaCl treatment. For confirmation of salt accumulation, wheat roots were stained with $CoroNa^+$ Green AM, and fluoresce, and the image was taken by confocal microscopy. $Na^+$ ion accumulation rate was higher at 100mM compared to the untreated sample. Furthermore, to analyze metabolites in the wheat root, samples were extracted by $D_2O$ solvent, and extracted sample was analyzed by 1H NMR spectroscopy. Fourteen metabolites were identified in wheat roots using NMR spectroscopy. Methanol and ethanol were up-regulated, whereas formate, aspartate, aminobutyrate, acetate and valine were down-regulated under salinity stress on roots of wheat. Fumarate had no change, while glucose, betaine, choline, glutamate and lactate were unevenly affected during salinity stress.

  • PDF

대마(Cannabis sativa L.) 영양조직의 색소체 비교 (Comparative Morphology of Plastids on Vegitative Tissue of Cannabis sativa L.)

  • 신민철;김은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4호
    • /
    • pp.1-12
    • /
    • 1994
  • 대마(Cannabis sativa L.)의 잎과 암꽃의 포(苞)를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어린 엽육세포에서 관찰되는 원시색소체는 타원형으로서 장축의 크기는 $1.5-2.0{\mu}m$이었으며, 스트로마 기질내에는 100nm 크기의 색소체소구가 많이 나타났다. 파종후 3주후에 채취된 시료의 엽육세포에 있어서는 그라나가 잘 발달된 엽록체가 관찰되었는데, 틸라코이드의 신장과 더불어 엽록체의 형태도 긴 장타원형을 이루고 있었다. 엽육세포가 성숙하면서 전분립의 수와 크기가 점차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서 엽록체의 형태도구형에 가까운 타원형으로 변하였다. 특히 이 시기의 그라나간틸라코이드는 매우 팽창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엽육세포 가운데 비교적 어린 단계에 있는 세포에서는 원시색소체가 엽록체와 함께 출현하기도 하였는데, 이때의 이들 엽록체는 전분립을 전혀 지니지 않았다. 엽육조직과 암꽃의 포에서 관찰된 표피세포는 전분립을 지닌 엽록체가 세포벽을 따라 나타났으며, 핵은 세포의 기부에 규칙적으로 배열하였다. 비분비모는 세포의 중앙에 큰 액포가 발달하였으며 아주 적은 세포질이 세포벽을 따라 존재하였다. 이들 세포질내에도 옅록체가 나타났는데, 이들은 엽육세포의 엽록체에 비해 현저히 작았고, 형태도 타원형에 가까왔다. 한편, 분비모에서는 매우 특징적인 색소체가 출현하였는데, 이들은 격자구조의 막성구조(reticulate body)를 지니면서 분비작용을 왕성히 하고 있었다.

  • PDF

토양으로부터의 Agrobacterium tumefaciens의 분리, 동정 및 옥수수의 형질전환에 이용 (Identification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from Soil and Transformation of Maize)

  • 노광수;강봉중
    • KSBB Journal
    • /
    • 제7권3호
    • /
    • pp.191-200
    • /
    • 1992
  • 토양 시료로부터A. tumefaciens를 분리 동정하고 이를 옥수수의 형질전환에 이용하기 위하여 binary vector를 이용하여 형질전환시킨 후 옥수수의 중배축 조직과 공존배양을 실시하였다. Schroth의 선택배지에서 선별된 colony들은 단일 형태를 나타내었다. 분리 균주는 해바라기 유식물의 잎조직에 종양을 형성하였으며, 거대 plasmid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대조균주인 C58이나 Ach5의 plasmid와는 다른 종류였다. 분리균주들에 의해 형성된 tumor의 형태 및 균주의 생리, 생화학적 특성들에 의하여 공시균주를 A. tumefaciens biovar 1으로 동정하였으며 nopaline 형으로 추정하였다. 분리 균주중 AK204를 사용하여 옥수수 조직을 형질전환시키기 위하여 선택maker를 가지고 있는 binary vector(pGA642)를 균주내로 전이 시켰다. 이로 인하여 형질전환된 AK204를 옥수수 중배축 조직과 공존배양하므로서 옥수수 조직세포를 형질전환 시킨 결과, 1차적으로 Km에 저항성을 띠는 형질전환체를 선발할 수 있었으며, 그들의 가용성 단백질의 PAGE pattern이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한국산(韓國産) Abies 속(屬)의 내외형태학적(內外形態學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研究) (Studies on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Genus Abies in Korea)

  • 김영두;김삼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68-75
    • /
    • 1983
  • 한국산(韓國産) Abies 속(屬) 4종(種)에 대(對)하여 수종간(樹種間)의 특성(特性)과 분류학적(分類學的) 유연관계(類緣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몇가지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과 침엽(針葉)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구과(毬果) 및 잎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과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등 18개(個) 형질중(形質中) 엽후(葉厚)와 하표피(下表皮)의 세포층수(細胞層數) 등 2개(個) 형질(形質)은 유의차(有意差)가 없었고, 14개(個) 형질(形質)은 A. koreana와 A. nephrolepis가 유사(類似)하고 A. holophylla와 A. firma가 유사(類似)하였으며, 2개(個) 형질(形質)은 A. koreana와 A. firma가 유사(類似)하게 나타났고, 특히 침엽(針葉)에 있어서 주수지구(主樹脂溝)의 위치(位置)는 A. koreana와 A. nephrolepis는 엽록부(葉綠部)인 L, LM에 위치(位置)하고, A. holophylla는 L, LM, M에 위치(位置)하고 A. firma는 L를 제외(除外)한 전지역(全地域)에 위치(位置)하나 M에 가장 많이 분포(分布)하고 있었다.

  • PDF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나도양귀비 (양귀비과)와 좀개불알풀 (현삼과) (Unrecorded naturalized species: Papaver setigerum DC. (Papaveraceae) and Veronica serpyllifolia L. (Scrophulariaceae))

  • 김찬수;송관필;문명옥;이은주;김철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5-151
    • /
    • 2006
  • 제주도의 저지대 길가 공터에서 채집한 나도양귀비 (Papaver setigerium DC.)와 해발 400-800 m의 길가나 목장 내에서 채집한 좀개불알풀 (Veronica serpyllifolia L.) 등 2종을 국내 미기록 귀화식물로 보고한다. 나도양귀비는 양귀비와 유사하지만 나도양귀비는 높이 30-70 cm, 원반형의 암술머리의 직경이 열매의 직경보다 작으며, 줄기, 잎, 꽃받침 등에 강모가 산생하는 점에서 쉽게 식별된다. 좀개불알풀은 방패꽃과 공통점이 많지만 본 종이 전체적으로 소형이고, 줄기 하부의 잎이 엽병을 가지며, 거치가 있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한국 미기록 식물 : 빌레나무 (빌레나무과)와 꼬마냉이 (십자화과)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n flora : Maesa japonica (Thunb.) Moritzi & Zoll. [Maesaceae] and Cardamine tanakae Franch. & Sav. [Brassicaceae])

  • 문명옥;도재화;김철환;김찬수;김문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3-161
    • /
    • 2006
  • 제주도에서 한국 미기록과인 빌레나무과 (Maesaceae)의 빌레나무 (Maesa japonica)와 십자화과의 꼬마냉이 (Cardamine tanakae)가 채집되었다. 빌레나무과는 Maesa, 1 속으로 구성된 과로서 소화경에 한 쌍의 소포엽이 있으며, 가웅예가 없고, 준자방하위이며, 다수의 종자를 갖는 폐과인 점 등으로 자금우과와 앵초과 식물과 구별된다. 빌레나무는 엽신, 화관 및 소포엽의 형태, 엽연부의 거치의 유무, 화통과 화관열편의 길이의 비율, 과실 표면의 특성 및 색깔에 의해 각각 중국, 대만 및 일본에 분포하는 M. salicifolia와 M. montana var. formosana와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꼬마냉이는 경생엽의 소엽 수 및 정소엽의 크기, 한 화서에 붙는 꽃의 수, 자방 및 열매의 백색 연모의 유무의 특징에 의해 국내 고유종인 벌깨냉이 (C. glechomifolia)와 명백히 구분되었다.

한국산 사초과(Cyperaceae) 식물의 규소체(Silica body) 형태에 의한 분류 (Morphology of Silica bodies on Cyperaceae in Korea)

  • 오용자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3-335
    • /
    • 2005
  • 식물규소체는 토양과 물에 용해된 규소가 이산화규소($SiO_2$)의 형태로 식물체내의 여러 기관 또는 표피세포에 축적되면서 형성되어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식물의 규소체에 관한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사초과 (Cyperaceae) 식물 13속 228종 중, 12속 136종의 잎의 표피형에서 밝힌 규소체의 형태를 검토하여 정리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사초과 식물은 규소체의 모양에 따라 2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제 1 그룹은 원추형(conical body)의 규소체를 나타내고, 골풀아재비속(Rhynchospora), 검정방동산이속(Fuirena), 너도고랭이속(Scleria), 사초속(Carex)과 황새풀속(Eriophorum)이 이에 속한다. 제 2 그룹은 규소체의 모양이 원추형을 중심으로 많은 위성형을 보이며, 방동산이속(Cyperus), 올챙이골속(Scirpus), 바늘골속(Eleocharis), 하늘지기속(Fimbristylis), 파대가리속(Kyllinga), 모기골속(Bulbostylis)과 세대가리속(Lipocarpha.)이 속한다.

모데미풀속과 근연속들의 형태 및 분포 비교 (미나리아재비과) (Comparison of the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genus Megaleranthis Ohwi with those of its relative genera (Ranunculaceae))

  • 손동찬;조경진;고성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15-323
    • /
    • 2011
  • 모데미풀(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monotype)의 외부형태학적 특징과 분포역을 조사하였다. 또한 근연속으로 알려진 금매화속(Trollius L.)과 Calathodes속(Calathodes Hook.f. et Thomson)의 질적 외부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유집분석을 통하여 모데미풀속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모데미풀은 금매화속, Calathodes속과 0.385의 낮은 유사도를 나타냈으며, 금매화속은 Calathodes속과 함께 유집되어 모데미풀속과 뚜렷이 구분되었다. 모데미풀은 화피편이 존재하는 특징으로 Calathodes속 식물과 뚜렷이 구분되며, 금매화속 식물과는 꽃 아래에 경생엽 대신 한 매의 총포엽을 가지고 있고, 골돌의 맥은 분지되지 않는 특징에 의해 구분된다. 상기 3속의 분포역에 있어서 금매화속과 Calathodes속 식물은 이들의 분포경계지인 중국의 사천성과 운남성지역에서, 모데미풀과 금매화속 식물은 이들의 분포경계지인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각각 부분적으로 중복되나, 전체적으로 볼 때 이들 각각은 나름대로의 독립적인 분포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모데미풀은 근연속들과의 외부형태학적 차이가 분명하고, 분포역을 비교해 볼 때 독립된 속으로의 처리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쉬땅나무속(장미과-조팝나무아과)의 미기록 식물: 좀쉬땅나무 (First record of Sorbaria kirilowii (Rosaceae-Spiraeoideae) from Korea)

  • 송준호;장진성;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4-178
    • /
    • 2010
  • 경기도 포천시 내천면과 여주군 북내면에서 발견된 우리나라 장미과 내의 미기록 종인 Sorbaria kirilowii (Regel & Tiling) Maxim.을 확인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 종은 근연분류군인 쉬땅나무(Sorbaria sorbifolia (L.) A. Braun var. stellipila Maxim.)에 비해서 잎과 화경에 털이 없고, 원추화서는 넓게 퍼져 아래로 처지며, 꽃은 5-8mm로 작고, 꽃받침은 반원형, 둔두이며, 수술의 수가 적고, 비교적 짧으며, 골돌은 작고 털이 없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국명은 꽃과 열매의 크기가 쉬땅나무에 비해 작은 특징을 고려하여 '좀쉬땅나무'로 명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