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morphology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5초

Echinochloa colona의 생장(生長), 발육(發育) 및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 (Growth,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chinochloa colona)

  • 전재철;키이스 무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
    • /
    • 1986
  • Echinochloa colona(L.) Link의 생장(生長), 발육(發育) 및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을 전생활환(全生活環)을 통(通)해서 조사(調査)하였다. E. colona는 파종후(播種後) 2~3일(日)에 발아(發芽)하며, 파종후(播種後) 8일(日)이면 2엽기(葉期)에 도달한다. 생장(生長)의 초기(初期)에는 근장(根長)이 초장(草長)보다 길지만, 파종후(播種後) 4주(週)간 경과(經過)되면서 이 관계(關係)는 뒤바뀐다. 분얼(分蘖)은 주경(主莖)의 제6엽(第6葉)이 출현(出現)될 때 주경(主莖)의 제3엽(第3葉)으로부터 시작된다. 영양생장기(營養生長期) 동안의 엽(葉) 및 분얼(分蘖)은 일정(一定)한 규칙성(規則性)에 따라 전개(展開)되어 14엽기시(葉時期)에는 19개(個)의 분얼(分蘖)(1차(次) 분얼(分蘖)5, 2차(次) 분얼(分蘖) 12, 3차(次) 분얼(分蘖) 1 및 절분얼(節分蘖 1)을 이루었다. 경엽(莖葉)/근부중량비(根部重量比)는 출수직전(出穗直前)에 가장 높았다. 원추화서(圓錐花序)중 가장 짧은 소수(小穗)는 상위(上位) 2번째의 것으로 가장 적은 수(數)의 종자(種字)를 생산(生産)한다. 이 소수(小穗)로부터 하위(下位)의 소수(小穗)로 내려갈수록 소수(小穗)의 길이와 소수당(小穗當) 종자생산수(種字生産數)는 증가(增加)된다. 종자(種字)의 무게는 하위소수(下位小穗)의 것이 상위소수(上位小穗)의 것보다 가벼웠으며, 발아력(發芽力)도 낮았다. 부정근(不正根)의 신장(伸張)은 화경(花硬)의 엽초기부에서 이루어지며, 그 신장력(伸張力)은 오래된 화경(花硬)에서 보다는 어린 화경(花硬)에서 더욱 컸다.

  • PDF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의 수관 층위별 광합성 특성과 잎 및 과실 특성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sis, Leaf and Fruit by Crown Layer in Rubus coreanus Miq.)

  • 한진규;김세현;정헌관;장용석;조윤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328-333
    • /
    • 2006
  •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의 수관 층위별 광합성 특성과 잎 및 과실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잔자원부 구내에 조성된 복분자딸기 클론보존원에서 선발된 세 클론을 대상으로 각각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관층위별 광합성 특성에서 광보상점은 상 중 하층이 각각 PPFD 33, 20, $5{\mu}mol\;m^{-2}S^{-1}$로 나타났으며, 층위별 광포화점은 상 중 하층이 각각 PPFD 1000, 500, $200{\mu}mol\;m^{-2}S^{-1}$ 에서 각각 8.52, 5.25, $3.60{\mu}mol\;CO_2\;m^{-2}S^{-1}$ 의 광합성 속도를 나타냈다. 클론별로는 덩굴형인 의령 7호가 상층에서 가장 우수한 광합성 능력을 보였으며 직립형인 송계 6호는 덩굴형의 두 클론과 비교해 하층에서 낮은 광합성 능력을 나타냈는데 이는 각 클론의 수형 특성에 따른 영향으로 사료된다. 층위별 엽록소 함량은 세 클론 모두 중층에서 가장 많은 양을 나타냈고 상층에서 가장 적은 엽록소 함량을 나타냈다. 잎의 특성에서는 층위가 높을수록 엽장, 엽폭, 정소엽길이, 정소엽폭 및 엽면적 항목이 낮은 값을 나타내 층위별 광합성 능력과 상반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잎 특성의 단위면적당 건중량과 과실 특성의 종경, 횡경 및 입중 항목은 층위가 높을수록 큰 값을 나타내 층위별 광합성 능력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과실의 당도는 중층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냈다.

한국산 꿩의다리속(Thalictrum L.) 식물의 형태학적 연구 (The morphology of Thalictrum L. in Korea)

  • 박성준;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33-458
    • /
    • 2008
  • 한국산 꿩의다리속 식물에 대해 뿌리, 잎, 화서, 꽃, 수술, 암술, 열매 등 형태 형질의 종합적인 검토를 통하여 형질의 분류학적 가치를 논하고, 이에 따라 새로운 종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화된 줄기 및 뿌리는 수근형, 괴경을 갖는 수근형, 괴근형, 팽미근형(tuberoid), 지하경, 지상경으로 구분되었다. 줄기는 능선의 유무 또는 털의 유무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잎은 일반적으로 2-3회 3출엽이며, 엽선, 엽저, 탁엽의 모양, 열편의 수로 구분되었다. 화서는 산방화서와 원추화서로 구분되고, 꽃은 양성화이다. 꽃잎이 없으며, 개화시 꽃받침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구분되고,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어 종을 동정하는데 중요한 형질로 나타났다. 특히 수술은 약의 모양과 정단모양, 약의 털, 수술대의 팽창정도, 수술대의 표피형태 등에 따라 구분되며, 암술은 주두의 모양, 자방의 선모유무, 심피자루의 길이 등에 따라 구분되었다. 열매는 수과의 형태를 가지며, 수과의 모양, 수과의 능선 또는 날개의 유무, 과병의 길이 등에 따라 구분되었다. 조사된 형질 중 절을 구별하는 데는 수술대의 확장정도, 약의 모양, 수과의 날개와 능선, 수과의 팽창 정도 등이 식별형질이 사용되었으며 종 동정을 하기 위한 유용한 형질은 뿌리, 잎의 모양, 수술과 암술의 모양, 수과의 부리 및 과병의 길이, 수과와 잎의 털 등으로 나타났다.

국내자생 오미자과(科) 3수종의 잎 형태, 엽록소 함량 및 목부해부학적 특성 (Morphology and Chlorophyll Contents of Leaf and Woo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Schisandraceae Species in Korea)

  • 김세현;이갑연;백을선;한진규;강문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37
    • /
    • 2010
  • 우리나라에 천연분포하는 흑오미자 4종류(자웅동주 제주 #41, #6, 숫그루, 암그루), 오미자 및 남오미자의 잎의 형태적 특성과 엽록소 함량 변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미자과의 잎 형질, 기공 및 목부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종 간 많은 차이가 있었으며, 흑오미자 4종류 내에서도 암그루, 숫그루 및 자웅동주 개체 간 많은 차이를 보였다. 잎의 길이는 남오미자가 가장 크고 다음이 오미자, 흑오미자 순이었으며, 흑오미자 4종류에서는 암그루가 가장 크고 자웅동주 개체가 중간이었다. 엽병길이는 흑오미자가 오미자와 남오미자에 비해 2배 이상 길었다. 기공길이에서는 흑오미자가 $92.5{\sim}105.9\;{\mu}m$, 오미자가 $79.9\;{\mu}m$, 남오미자가 $76.2\;{\mu}m$ 로 흑오미자의 기공길이가 길었으며, 기공 폭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여 흑오미자의 기공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공밀도는 오미자나 남오미자에 비해 낮았다. 도관요소 및 목부섬유의 크기도 기공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흑오미자 4종류 내에서도 자웅동주와 암그루, 숫그루 간 차이를 보였다. 엽록소 함량조사 결과 종 간 및 개체 간 변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흑오미자와 남오미자의 SPAD-501 값은 각각 $38.8{\pm}6.7$, $39.5{\pm}8.2$로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오미자는 SPAD-501 값이 $29.2{\pm}6.2$로 다른 두 수종에 비하여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한국산 원지속(Polygala) 약용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Korean Medicinal Plants of Genus Polygala)

  • 오병운;노재섭;이경순;김재길
    • 생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16-322
    • /
    • 1996
  • Three medicinal species of the genus Polygala were examined by comparative morphology, anatomy and TLC analysis.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species, and distinctly divided into two groups in this study. Group I is composed of P. japonica, P. sibirica and Group II P. tenuifolia. Consider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wo groups by the differences of leaf shape, adnated part of petal, flower colour, fruit shape etc., Group II may have been independently evolved from the common ancestor by having one raw of palisadelike chlorenchyma under the stem epidermis through the different pathway.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taxa of Group II appear to be more advanced than those of Group I.

  • PDF

감나무 둥근무늬낙엽병균 Mycosphaerella nawae 분생포지의 2창 전염원으로서 역할 (Further Evidence that Ramularia-type Conidia in vivo Plays a Role as a Secondary Inoculum of Mycosphaerella nawae)

  • 권진혁;강수웅;박창석;김희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393-396
    • /
    • 1998
  • The characteristic Ramularia type conidia of Mycosphaerella nawae were formed on naturally infected leaves. Artificial inoculation with the conidia induced typical symptom on leaves, which was not distinguishable from those of ascospore infection,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 primary inoculum source in nature. Also the morphology of the conidia produced on PDA was not different from those formed on artificially inoculated leaves or on naturally infected leaves at later stage of symptom development. Accordingly, we report the role of the conidia as a secondary inoculum of the circular leaf spot pathogen of persimmon for the first time.

  • PDF

한국산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의 형태학적 특징, 분포 및 분류학적 검토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and taxonomic consideration of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in Korea)

  • 송준호;공민정;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6-163
    • /
    • 2011
  • 국내에 분포하는 이팝나무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여 기존 문헌과 선행 연구와의 차이를 파악하였으며, 식물상 문헌 및 표본정보를 통해 국내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잎 표피 미세구조학적 형질과 엽병의 해부학적 형질을 추가하여 간략히 기재하였다.

참깨종자에서 검출된 Alternaria longissima와 그의 병원성 (Pathogenic Isolates of Alternaria longissima Deighton & Macgarvie from Sesame Seed)

  • 유승헌;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77-80
    • /
    • 1980
  • 참깨 (Sesamum indicum L.) 종자로 부터 Alternaria longissima가 최초로 낮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본균의 종자 및 WALM위에서의 생육상, 분생포자의 형태 그리고 배양적 성질을 상세히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병원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본균이 참깨에 심한 병원성을 나타내어 잎, 줄기 및 꼬투리에 점무늬 및 괴사의 병징을 나타내었으나 벼 및 수수에는 병원성이 없었다. 배양특성과 병원성 조사결과 참깨에서 분리된 Alternaria longissima는 Deighton & Macgarvie가 벼 및 수수 등에서 분리한 균과는 다른 계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PDF

First Record of Endophytic Paraconiothyrium brasiliense Isolated from Chinese Maple Leaves in Korea

  • Paul, Narayan Chandra;Lee, Hyang Burm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49-352
    • /
    • 2014
  • The fungal endophyte EML-CM25 was isolated in Korea from surface sterilized Chinese maple leaf tissue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solate showed 99% sequence similarity with Paraconiothyrium brasiliense, a finding that was confirmed by morphological analyses. The fungal colonies did not express aerial hyphae. Conidiomata formation was observed in the fungus cultured on potato dextrose agar at $25^{\circ}C$ for 7 days. Visible scattered black dots consisting of pycnidia were present throughout the colony. This is the first record of P. brasiliense in Korea.

New Rust Disease of Korean Willow (Salix koreensis) Caused by Melampsora yezoensis, Unrecorded Pathogen in Korea

  • Yun, Yeo Hong;Ahn, Geum Ran;Yoon, Seong Kwon;Kim, Hoo Hyun;Son, Seung Yeol;Kim, Seong Hwan
    • Mycobiology
    • /
    • 제44권4호
    • /
    • pp.335-337
    • /
    • 2016
  •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2015, leaf specimens with yellow rust spots were collected from Salix koreensis Andersson, known as Korean willow, in riverine areas in Cheonan, Korea. The fungus on S. koreensis was identified as the rust species, Melampsora yezoensis, based on the morphology of urediniospores observed by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he molecular properti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region. Pathogenicity tests confirmed that the urediniospores are the causal agent of the rust symptoms on the leaves and young stems of S. koreensis. Here, we report a new rust disease of S. koreensis caused by the rust fungus, M. yezoensis, a previously unrecorded rust pathogen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