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Area Index (LAI)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5초

Orchargrass의 식생 구조 I. 건물생산성의 경년적 변화와 형태적 , 구조적 형질과의 관계 (Vegetational Structure of Orchargrass Sward I. Changes of dry matter production by the times of year and its relation both morphoiogical and structual chracteristics)

  • 이주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77-84
    • /
    • 1988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and structual characters and the dry weight of plant (DW/pl.) concerned vegetational structure of orchardgrass pastures by the times of year, from 1 year to 7 year previous, 1986 through 1980, alternately.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the experimental fields of Yonsei Universit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opulation density (PD) was extremely decreased by the times of year. 2. Pasture productivity was highest at 3 year old pasture, was lowest at 5 year old pasture and was recovered at 7 year old pasture. 3. Recovery of pasture productivity was followed the increase of dry weight of plant (DW/pl.) and number of tillers per plant (NT/pl.). 4. The population density of 7 year old pasture was 14 plants per square meter. 5. The number of tillers per plant (NT/pl.), dry weight of plant (DW/pl.) piant length (PL), and plant size (PS) was frequently showed the highest values by the times of established year. 6. The stubble diameter (DIA), stubble area (SB), plant size (PS), distance between neibour plant (DIS) and leaf alea index (LAI)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times of year. 7. The dry weight of plant (DW/pl.) was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number of tillers per plant (NT/pl.) all of the established pastures, but the dry weight of a tiller (WT) was tended to increase of correlations with the dry weight of plant (DW/pl.) by the times of year. 8. Differences between morphological and structual characters wa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times of year.

  • PDF

질소시비에 대한 Sudangrass의 생육 및 수량반응과 질소이용성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Growth, Forage Yield and Nitrogen Use of Sudangrass)

  • 윤진일;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6-71
    • /
    • 1982
  • 질소시비에 대한 sudangrass의 생장 및 수량반응과 질소이용성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서울대 농대 실험농장에서 품종 ‘Piper’ sudan을 파종하고 년간 100, 200, 400, 800kg/ha 수준의 질소비료를 시용하여 1979년과 1980년에 반복실험을 실시한 바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질소증시에 의한 엽면적과 건물중은 1979년 400kg.N/ha.year, 1980년 800kg.N/ha.year수준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며 저온과 일사량의 부족으로 1980년의 건물수량은 1979년에 비하여 대체로 낮았다. 2. 엽면적지수(LAI)가 증가함에 따라 작물생장속도(CGR)은 정의 직선회귀를 보였다. 3. 질소의 증시에 따라 체내 전질소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각재생기별로 최고수준은 달랐으며 전질소함량은 차이가 크게 났다. 아울러 NO$_3$$^{-}$N 함량은 800kg.N/ha.year 수준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중독을 유발하는 위험수준을 초과하였다. 4. 지상부 식물체에 의한 질소회수율은 평균 34%에 불과하였고 시비수준에 따른 경향은 명백하지 않았다. 5. Sudangrass는 고온.다조 조건에서 순동화속도(NAR)가 증가되었고 단위질소시용량당 건물생산량으로 표시된 질소시용 효율은 향상되었다.

  • PDF

다중 스케일 지구통계학을 이용한 원격탐사 자료 기반 주제도의 다운스케일링 (Downscaling of Thematic Maps Based on Remote Sensing Data using Multi-scale Geostatistics)

  • 박노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9-38
    • /
    • 2010
  • 높은 공간 해상도의 지상 자료와 상대적으로 저해상도인 원격탐사 자료의 통합을 통한 지표 환경 주제도 작성에서는 이러한 해상도의 차이를 반영한 통합 방법론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저해상도인 원격탐사 자료와 지상 자료로부터 고해상도 주제도 작성과 관련된 다운스케일링을 위한 다중 스케일 지구통계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기존 정규 크리깅 시스템을 확장하여 포인트 자료로 간주할 수 있는 지상 자료와 블럭 자료로 간주할 수 있는 원격탐사 자료를 크리깅 시스템에 직접 포함하는 블럭 크리깅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부가적으로 다운스케일링에 따른 불확실성을 묘사하기 위해 블럭 크리깅 기반 시뮬레이션 기법도 함께 이용하였다. SRTM DEM과 MODIS 엽면적 지수 자료의 다운 스케일링 실험 연구를 통해 적용 기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두가지 실험 연구 결과, 적용 기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상대적으로 고해상도 주제도 생성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다중 시뮬레이션 결과는 다운 스케일링된 자료를 입력 자료로 사용하는 GIS 모델에 사용하여 모델 결과의 불확실성 분석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박테리아 거동 모의: SWAT 모델의 한계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Modeling the impact of land use change on Fecal Indicator Bacteria basin-scale transfers: assets and limitations from the SWAT model)

  • 김민정;조경화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49-49
    • /
    • 2018
  • 라오스의 Houay Pano 유역은 상업적 조림으로 인해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급속한 토지이용 변화를 겪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토지이용변화가 박테리아 거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이해하기 위해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형을 활용한 박테리아 거동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SWAT 모형은 수치 표고 모델, 토양 특성, 토지 이용 등의 정보를 종합하여, 유역 내수량 및 수질의 변화를 모의할 수 있는 모형으로, 본 연구는 대표적인 분원성 지표 세균 (Fecal Indicator Bacteria)인 대장균 (Escheichia coli, E. coli)을 대상으로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SWAT 모형은 지표면 위 박테리아를 1)식물 위, 2)토양 용액상, 3)토양 입자상으로 구분하여 모의한다. 각 상태로 분할된 박테리아는 소멸 (die-off), 씻김 (wash-off), 침투, 표면 유출을 통한 수계로의 이동 등의 단계를 통하여 유역 내에서 거동한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기후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각 토지이용 시나리오를 (2011, 2012, 2013) 실제 기후 조건과 동일 기후(2011-2013 평균) 조건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실제 기후 조건에서 SWAT 모형은 표면 유출, 토사 유출, E. coli 거동에 대해 2011년부터 2012년까지 감소,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증가로 모두 동일한 양상을 모의하였다. 이는 강수량의 양상과 동일한 것으로, 강수량이 표면 유출의 양을 결정하고, 달라진 표면 유출에 따라 토사 유출과 E. coli 거동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일 기후 조건에서는, E. coli 거동 동인인 표면 유출과 토사 유출이 비교적 일정해짐에 따라, 각 상태로 분할된 박테리아의 초기 부하량값이 E. coli 거동을 결정하는 주된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초기 부하량 분할에 활용되는 엽면적 지수 (Leaf Area Index)와 분배계수 (BACTKDDB)의 정확도가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박테리아의 유입원인 비료 모델링과, LAI를 활용한 박테리아 초기 부하량 산정, 토양 특성 변수와 토지 이용 변수의 분리, 지하수를 통한 박테리아 거동 등을 중심으로 SWAT 모형의 한계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토지이용변화가 박테리아 거동에 주는 영향을 모형적으로 이해하고, 또한 추후 박테리아 모델링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분포형 물수지 모델(WetSpass-M)을 이용한 삽교천 상류 유역에서의 월별 지하수 함양량 산정 (Evalu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using a Distributed Water Balance Model (WetSpass-M model) for the Sapgyo-cheon Upstream Basin)

  • 안효원;하규철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6호
    • /
    • pp.47-64
    • /
    • 2021
  • In this study, the annual and monthly groundwater recharge for the Sapgyo-cheon upstream basin in Chungnam Province was evaluated by water balance analysis utilizing WetSpass-M model. The modeling input data such as topography, climate parameters, LAI (Leaf Area Index), land use, and soil characteristics were established using ArcGIS, QGIS, and Python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nual average groundwater recharge in 2001 - 2020 was 251 mm, while the monthly groundwater recharge significantly varied over time, fluctuating between 1 and 47 mm. The variation was high in summer, and relatively low in winter. Variation in groundwater recharge was the largest in July in which precipitation was heavily concentrated, and the variatio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total amount of precipitation, the number of days of the precipitation, and the daily average precipitation. This suggests the extent of groundwater recharge is greatly influenced not only by quantity of precipitation but also the precipitation pattern. Since climate condition has a profound effect on the monthly groundwater recharge, evaluation of monthly groundwater recharge need to be carried out by considering both seasonal and regional variability for better groundwater usage and management. In addition, the mathematical tools for groundwater recharge analysis need to be improved for more accurate prediction of groundwater recharge.

보리 품종의 한발저항성과 생리적 지표와의 상관 (Relationship between Drought-Tolerance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in Korean Barley Genotypes)

  • 이변우;부금동;백남천;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16-526
    • /
    • 2003
  • 본 실험은 한국 재배종과 재래 수집종을 포함하는 36개 보리 품종을 공시하여 비가림 플라스틱 하우스의 포장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대조구는 전 생유기간에 걸쳐서 토양 수분 포텐셜이 -0.05㎫이 유지되도록 관개를 하였고, 한발 처리구는 월동 후 재생기부터 수확기까지 곤개를 하지 않았다. 한발 처리구의 토양 수분 포텐셜은 최저 -0.29㎫까지 저하하였고 처리기간 중 평균은 -0.15㎫이었다. 처리에에 따른 생장,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잎의 상대수분함량(RWC), 삼투포텐설(OP), 삼투조정(OA), $^{13}\textrm{C}$ discrimination(A), 등의 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시한 품종 중 한발 처리에 따른 건물 중과 수량 저하 가 작아서 한발 저항성이 강한 품종은 동보리1호. 찰보리, 창영재래, 삼도보리, 월성87-31 등이었으며, 상록보리 , 송학보리, 수원맥360 등은 한발저항성이 낮았다. 2. 건물중 및 수량의 한발피해지수(한발처리구/대조구 비)와 한발조건하 RWC와는 높은 정의 상관이, 한발조건하 OP 및 OA는 매우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조구의 $\Delta$와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OP $\Delta$ 및 RWC의 한발지수(한발처리구/대조구 비)는 건물중, 천립중 및 수량의 한발피해지수와 매우 높은 정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발 저항성이 큰 품종은 삼투 조정능력이 커서 잎의 수분함량을 높게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한발 처리 조건에서 OP와 RWC는 보리의 한발저항성 선발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Delta$와 한발 저항성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춘계 파종시기가 조.만생 연맥의 생장 , 사초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ing Seeding Dates on Growth , Forage Yield and Quality of Early and Late Maturing Oat Cultivars)

  • 김종림;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1-122
    • /
    • 1992
  • 본 시험은 조.만생 사초용 봄연맥의 봄파종시기가 생장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1년 3월부터 6월까지 서울 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실험목장의 사초시험포장에서 실시 되었으며, 만생 Cayuse 품종과 조생 Speed oat 품종을 주구로 하고, 파종시기(3월 15일.22일,29일, 4월 5일 ,12일)를 세굴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겨고는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파종기가 7일씩 늦어짐에 따라서 출수시작일은 3일에서 8일까지 빨라졌으며 조생 Speed oat 품종이 만생 Cayuse 품종에 비해서 14일이 빨랐다. 2. 수확시 사료가치는 조단백질(CP) 및 산성세제불용 섬유소(ADF),중성세제 불용 섬유소(NDF) 및 in vitro 가소화 건물(IVDMD)이 각각 Cayuse 품종이 19.6, 30.0, 44.9, 82.7%를 기록하였고, Speed oat 품종이 14.8, 33.3, 52.3, 71.2%를 기록하였다. 조단백질 함량과 in vitro 건물소화율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증가하였던 반면. 조섬유 함량은 감소하였다. 3. 5월 29일에 수확한 결과 평균 건물 수량과 IVDDM 그리고 조단백질 수량은 각각 만생품종인 Cayuse가 2,960kg. 2,2435kg, 572kg이었고, 저생품종인 Speed oat가 3,255kg,2298kg,475kg이었다. 파종기별로는 3월 15일 ,22일, 29일까지의 파종시 건물술량에 있어서 유의성이 없었고 그 이후에는 ha당 약1 ton의 수량감소가 있었다. 또한 연맥품종과 파종기간에 있어서 교효작용은 유의 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4. 최대 엽면적 지수 (LAI)와 엽적(LAID)은 파종시기가 이를수록 높았고 생육상태가 진행될수록 만생 Cayuse 품종이 소생 Speed oat 품종에 비해소 2~3배가 높게 나타났다. 5. 파종시기가 이를수록 작물생장률 (CGR)은 만생 Cayuse품종의 경우 계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조생 Speed oat 품종은 5월 29일 이후에 감소함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Speed oat 품종의 순동화률 (NAR)에서도 나타났다. 이상에서 얻어진 시험결과를 종합하면 봄연맥은 조생품종을 선택하여 3월 중에 파종하는 것이 사초로서의 생산에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감자(Solanum tuberosum L.) 봄재배 시 작휴와 멀칭이 생육, 수량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dging System and Mulch Types on Growth, Yield, and Profitability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in Spring Cropping)

  • 임주성;조지홍;조광수;장동칠;진용익;유홍섭;이종남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2-210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ridging systems and plastic film mulch types on growth, yield, and profitability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in spring cropping using paddy field and to suggest profitable ridging system and plastic mulch type.METHODS AND RESULTS: Two potato cultivars ('Goun', and 'Atlantic') were grown at paddy field located in Gangneung in spring. For treatments, ridging systems were one-row ridge (OR) and two-row ridge (TR). Mulch types were no-mulch (NM), black plastic film mulch (BPM), and transparent plastic film mulch (TPM). Emergence of sprout was affected by the mulch types and the fastest level was shown at TPM treatment. Accumulative soil temperature during sprouting was 16.2℃ higher at TR than at OR and also higher at TPM than at BPM or NM. Stem length was not affected by ridging systems or mulch types. Leaf area index (LAI) was influenced by mulch types, while not by ridging systems. The highest LAI was shown at TR with TPM and OR of BP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or dry matter rate by ridging systems and mulch types. Tuber yield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ridging systems and mulch types. Mean tuber weight was heavier at OR treatment than at TR and also the heaviest at TPM among mulch types. The highest marketable yield was found at OR with BPM. Based on marketable tuber yield and market price, the highest income ratio in two cultivars was found at OR with BPM and it was 20~82% higher than the ratio at TR with TPM.CONCLUSION: In spring potato cropping using paddy field, OR with BPM is better for high yield and is more profitable for farmer's income than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method, TR with TPM.

한반도 논에서의 에디공분산 방법에 의한 $CO_2$와 수증기 플럭스 관측 ($CO_2$ and Water Vapor Flux Measurement by Eddy Covariance Method in a Paddy Field in Korea)

  • 이정택;이양수;김건엽;심교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5-50
    • /
    • 2005
  • 우리나라의 주요 농업 생태계인 논에서 벼 생육기간 중의 CO₂와 에너지 교환을 정량화하고 분석(평가하기 위하여 미기상학적인 방법인 에디 공분산법으로 물질/에너지 플럭스를 측정하였다. 측정장소는 한반도 중부 지방의 대표적인 벼농사 지대인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신원리 농업과학기술원 이천 시험지 플럭스 측정 지점 (37°18'20.34"N, 127°30'40.46"E)에서 수행되었다. 벼군락 장파복사의 방출은 대기로부터의 장파복사량보다 100Wm/sup -2/정도 많았다. 벼논에서 이앙 후 에너지 배분은 잠열 플럭스로 더 많이 배분되었고, 보웬 비는 0.3-0.7 정도였다. 이앙 후 대기중의 수증기 농도는 이 앙 전에 비하여 2gm/sup -3/ 정도 높아졌다. 벼논에서 CO₂ 농도는 야간이 780~820gm/sup -3/, 주간에는 약 650gm/sup -3/ 정도였다. 일사량 증가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엽면적 지수가 높을수록 높았으며 특히 유수 형성기-출수기에서 가장 높았다.

멀칭재료가 시설참외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ching Material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in Protected Cultivation)

  • Su Gon Bae;Yong Seub Shin;Il Kweon Yeon;Han Woo Do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37-243
    • /
    • 2001
  • 무가온 촉성재배시 멀칭재료가 참외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토양 멀칭재료로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 배색 P.E. 필름, 녹색 P.E. 필름과 대조구로 투명 P.E. 필름을 설치하여 지온의 변화와 생육, 과실품질 등을 조사하였다. 토양 5cm 깊이의 일.월중 지온은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에서 높았으나 광 투과율이 낮은 녹색 P.E필름에서 낮았다. 토양 심도별 야간지온은 녹색 P.E. 필름은 토양 깊이 20cm에서 나머지 필름은 토양 깊이 5cm에서 가장 높았으며, 멀칭 재료별 지온차는 깊이 내려갈수록 점차 감소되었다. 정식 후 30일의 초장과 절수는 지온이 높은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LAI, CGR, RGR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정식 후 30일의 잡초 발생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정식 후 90일에는 투명 P.E.필름에서 많았다. 과실 수확은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에서 빨라 투명 P.E.필름보다 2일 단축되었으나, 과중, 과장, 당도 등 과실특성은 큰 차가 없었다.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에서 상품수량은 2,426kg.10a$^{-1}$로 투명 P.E. 필름보다 6% 증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