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uric acid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8초

옥수수단백/카라기난 적층필름의 다진 고등어육의 포장특성 (Corn-zein Laminated Carrageenan Film for Packaging Minced Mackerels)

  • 박정욱;박현진;정순택;임종환;박양균;황금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81-1387
    • /
    • 1998
  • 다층필름의 투습도는 일반적으로 지방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lauric acid를 30%첨가하여 제조만 적층필름은 $0.497\;ng\;m/m^2\;s\;Pa$로 가장 낮은 투습도를 나타내었다. 적층필름의 인장강도는 일반적으로 지방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oleic acid를 10% 첨가한 필름에서 36.21 MPa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옥수수 단백/카라기난 적층필름의 연신도의 경우 lauric acid가 첨가된 경우 지방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oleic acid가 첨가된 경우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고등어 patty를 냉장$(5^{\circ}C)$과 냉동$(-20^{\circ}C)$ 온도에서 포장하지 않은 채 저장하거나, 지방산을 달리하여 제조한 3종류의 옥수수 단백/카라기난 적층필름으로 진공포장하여 저장하였다. $5^{\circ}C$에서 냉장 저장한 시료는 포장 방법과 필름의 종류에 상관없이 $7{\sim}42.7%$의 무게 감소를 나타냈다. $-20^{\circ}C$에서 냉동저장시 지방산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적층필름으로 포장한 시료는 30일 경과시 무게가 11.7% 감소되었고, oleic acid 및 lauric acid를 첨가하여 만든 필름으로 포장한 시료는 무게감소가 각각 6.97%와 0.81%로 나타났다. 과산화물가 및 TBA가는 $5^{\circ}C$에 저장한 무포장 시료에서 가장 높았으며, $-20^{\circ}C$에서 냉동 저장한 시료는 대체적으로 낮았으나, 같은 온도에 저장한 다른 시료에 비하여 무포장 시료에서 약간 높게 나타냈다. 또한 지방산을 첨가하여 제조한 필름으로 포장한 시료에서 무첨가 필름으로 포장한 시료에서보다 과산화물가 및 TBA가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 PDF

커피의 원두와 배전두의 지방산조성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fatty acids in the green and roasted coffee beans)

  • 고영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9-127
    • /
    • 1986
  •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green coffee beans and roasted coffee beans, the extracts of two beans were subjected to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 by GC and HPLC. The results showed that palmitic and liolneic acid were the main fatty acids of coffee oil and their contents were about 40%. Minor components, such as capric acid, lauric acid and myristic acid were detected in both samples by GC, but nut HPLC.

  • PDF

국내 시장에서 유통되는 국내·외 초콜릿의 지방산 조성 및 triacylglycerol 조성 분석 (Fatty acid composition and triacylglycerol specie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chocolates collected from the market)

  • 현진우;신정아;이기택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1호
    • /
    • pp.35-45
    • /
    • 2013
  • The fat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trans fatty acid content and triacylglycerol (TAG) composition of 22 chocolates (domestics 8, foreigns 14) collected from the Korea distribution markets were investigated. The crude fat was extracted by acid hydrolysis method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reversed-phase HPLC for fatty acid and TAG compositions, respectively. The crude fat content of all chocolates varied between 30.11% and 49.59%. The major fatty acids in most of the chocolates were palmitic acid (19.36~31.15 wt%), stearic acid (5.11~36.32 wt%) and oleic acid (18.77~36.68 wt%). Whereas lauric acid (approximately 35.43 wt%) was detected in chocolate fat of sample No. 18. High oleic acid content was observed for the sn-2 position fatty acid with a range from 64.91% to 86.93%. Trans fatty acid contents in domestic chocolates (sample No. 1~8) and foreign chocolates (sample No. 9~22) were 0.03~0.59 wt% (0.01~0.19 g/100g chocolate) and 0.05~6.32 wt% (0.02~1.99 g/100g chocolate), respectively. In TAG composition, TAGs such as POP/PPO(1,3(2)-palmitoyl-2(3)-oleoyl glycerol, PN=48), POS/PSO(palmitoyl-oleoyl-stearoyl glycerol or palmitoyl-stearoyl-oleoyl glycerol, PN=50), SOS/SSO(1,3(2)-stearoyl-2(3)-oleoyl glycerol, PN=50) were mainly detected in most of the chocolates. The peaks of TAG with low PN (ex, 32-34, 36-38, and 40-42) were detected in No. 18 chocolate fat because of containing short chain fatty acid such as lauric acid.

영유아용 조제분유의 위치별 지방산 및 Triacylglycerols의 정성 분석 (Determination of Positional Fatty Acid and Triacylglycerol Compositions of Selected Infant Formulas)

  • 손정매;이정희;홍순택;이경수;박혜경;권광일;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256-1264
    • /
    • 2011
  •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조제분유의 지방산 및 TAG 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외 조제분유 총 11 품목을 선정하였고, Folch법을 이용하여 지방을 추출한 다음 총 지방산과 sn-2 위치의 지방산 및 silver ion HPLC를 이용한 단일불포화-포화-단일불포화 glycerol(MSM)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조제분유의 조지방의 함량은 17.21~23.51%이었고, 특히 K5의 조지방 함량이 23.51%로써 분석된 조제분유들 중에서 가장 높게 나왔으나, K1은 17.21%의 함량을 보이면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분석된 조제분유들의 주요 포화지방산은 lauric acid(C12:0), myristic acid(C14:0), palmitic acid(C16:0), stearic acid(C18:0)이었다. Lauric acid의 함량은 K5와 K6에서 19.49%와 23.34%로 분석되어 15%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한편, 분석된 조제분유의 palmitic acid의 함량은 7.59~21.65%의 범위로써 K2, K3, K6, F1에서 각각 14.64%, 8.29%, 13.47% 및 7.59%로써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불포화 지방산들 중에서 단일불포화지방산(C14:1, myristoleic acid; C16:1, palmitoleic acid; C17:1, heptadecenoic acid; C18:1, oleic acid; C18:1t, elaidic acid)의 함량은 20.23~45.07%로 나타났고, 단일불포화지방산들 중에서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은 oleic acid(C18:1)이었다. 분석된 조제분유에서 oleic acid의 함량은 19.64~44.64%의 범위였고 총 다가불포화지방산은 19.08~29.67%의 범위였다. Omega-6 다가불포화지방산과 omega-3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주요한 지방산은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와 linolenic acid(C18:3, n-3)로 분석된 조제분유의 비율은 10:1~13:1로, 조제분유의 지방산 조성에 대한 지표인 linoleic acid/linolenic acid의 비율인 5:1~15:1 범위 내였다. 분석한 조제분유들 중에서 sn-2 위치에서의 lauric acid 함량은 7.70~52.09%로 나타났고, myristic acid의 함량은 3.15~20.89%로써 분석된 조제분유들은 전반적으로 sn-2 위치에서의 lauric acid 함량이 2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분석된 조제분유들의 sn-2 위치에 존재하는 palmitic acid의 함량은 1.84~38.74%의 범위로써 K8과 F3이 각각 38.55%와 38.90%의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내외 조제분유들을 구성하는 triacylglycerol(TAG)의 sn-2 위치에서의 palmitic acid 함량이 모유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조제분유보다 더 나아가 HPLC 분석을 통해서 모유의 주요 TAG 형태라고 할 수 있는 단일불포화-포화-단일불포화 glycerol(MSM)의 함량이 외국의 조제분유인 F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조제분유에 이러한 MSM 형태의 지방 함량을 높여야하며, MSM 형태의 모유대체지 연구를 산업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밀배아 지방질의 산화 안정성과 카로티노이드 및 토코페롤의 변화 (Oxidative Stability of Wheat germ Lipid and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Carotenoid and Tocopherol during Oxidation)

  • 김혜경;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8-482
    • /
    • 1995
  • 밀배아를 저장온도 $30^{\circ}C$에서 산화반응을 시키면서 밀배아 지방질의 구성성분과 지방산의 함량변화를 관찰하였고, 이에 따른 카로티노이드와 토코페롤의 산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밀배아 지방질 구성성분의 변화를 보면 초기에는 triglyceride 함량이 66%, 유리지방산 함량이 7%였는데 30일 저장 후에는 각각 49%, 24%로 변하였다. 유리지방산의 조성은 초기에 lauric acid(29%), palmitic acid(21%), linoleic acid(20%)이던 것이 30일 후에는 linoleic acid가 30%로 크게 증가하였다. 밀배아 중에 있는 카로티노이드로는 베타-, 알파-카로틴, lutein, taraxanthin 등이 있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저장 전에는 밀배아 1g당 각각 306, 59, 383, 356ng이던 것이 20일 저장 후에는 36, 4, 203, 149 ng으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는데 특히 베타-카로틴의 산화가 심하여 22.5ng/day의 최대 산화속도를 나타냈다. 밀배아 중의 토코페롤 동족체로는 알파-, 베타-, 감마-토코페롤 등이 있었는데 이들의 함량은 밀배아 1g당 각각 $55,\;48,\;38\;{\mu}g$이었고, 특히 가장 산화가 심하였던 알파-토코페롤의 최대 산화속도는 $1.26\;{\mu}g/day$를 나타내었다.

  • PDF

백복령(白茯笭), White Poria cocos, 중(中)의 지방산(脂肪酸)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atty acids in the White Poria cocos)

  • 문순구;박상신;민태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3
    • /
    • 1987
  • 한국산 백복령을 chloroform-methanol(2 : 1, v/v) 혼합용매로 추출한 다음, 비누화 및 메델에스테르화 한 후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얻은 총24개의 Peak 중, caprylic acid($C_{8:0}$), undecanoic acld($C_{11:0}$) lauric acid($C_{12:0}$) , dodecenoic acid($C_{12:1}$) 및 Palmitic acid($C_{16:0}$)의 5 개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그중 주성분인 $C_{8:0}$$C_{12:1}$은, 시료 g당 $6.657{\mu}g$$10.176{\mu}g$ 이었다.

  • PDF

생마늘과 무취마늘의 화학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nents between Fresh and Odorless Garlic)

  • 이미경;이형옥;이성계;도재호;김만욱;이종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5호
    • /
    • pp.400-403
    • /
    • 1997
  • 본 실험에서는 생마늘을 소금물에서 $100^{\circ}C$로 가열하고 급냉하여 제조한 무취마늘과 생마늘의 일반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지방산 및 색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중 조섬유, 조지방 및 회분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으나 환원당은 약 15%, 조단백질의 함량이 약 27% 감소되었다. 유리당 성분은 glucose가 증가된 반면에 sucrose와 maltose는 감소되었다. 총 아미노산은 30% 정도가 감소되었는데, 그 중 arginine, isoleucine등이 이 감소되었다 생마늘에 가장 많이 함유된 지방산은 linoleic acid 59.53%이었으며, 그 다음은 oleic acid 10.05%이었고, lauric acid가 0.24%로 가장 적었다. 그리고 무취 마늘에서는 linoleic acid 39.74%, behenic acid 15.35%였으며, lauric acid가 0.37%로 가장 적었다. 색도는 L, b 값은 거의 변화가 없으나 a값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The Effect of Long Chain Saturated Fatty Acids (12 : 0, 14 : 0, 16 : 0, 18 : 0) and Dietary Cholesterol Levels on Plasma and Hepatic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the Mongolian Gerbil

  • Kim, Jeong-Sook
    • Nutritional Sciences
    • /
    • 제1권1호
    • /
    • pp.8-15
    • /
    • 1998
  • In order to independently examine the effects of long-chain saturated fatty acids and dietary cholesterol levels on plasma and hepatic cholesterol concentrations, six different diets were fed to male Mongolian gerbils (14 gerbils pes grcup) for an 8-week period. Purified diets contained 36% energy as fat (each saturated fatty acid tested comprised about 20% of the total fat energy) and 0.06% (w/w) cholesterol, corresponding to typical human consumption patterns in Western diets. Fat blends were formulated with natural fat source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saturated fatty acids on plasma and liver cholesterol levels, four of the six diets contained constant levels of all nutrients except for the amounts of lauric acid (12 0), myristic acid (14 : 0), palmitic acid (16 0), and stearic acid (18 : 0). Dietary cholesterol effects were tested using 16 : 0-enriched diets containing 0, 0.006, and 0.06% (w/w) cholesterol. None of the plasma lipids were influenced by fatty acid treatment, including triglycerides, plasma total-, VLDL+LDL-, and HDL-cholesterol. However, hepatic esterified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in the palmitic and stearic arid diet groups compared to the lauric and myristic acid diet group. The molar ratios of hepatic EC/FC were the highest in the palmitic acid diet (12.2 $\pm$0.6) and the lowest in the myristic acid diet (6.4$\pm$0.2). Dietary cholesterol significantly (p<0.001) increased the plasma total cholesterol which was due to the increase of both HDL-and VLDL+LDL-cholesterol. In the absence of dietary cholesterol and compared to other species, the gerbil exhibited a high molar ratio of hepatic EC/FC, which was funker elevated by dietary cholesterol feeding (0.06%).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hepatic cholesterol concentrations are sensitive to both low levels of dietary cholesterol and saturated fatty acid chain length and also, that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s are sensitive to low levels of dietary cholesterol .

  • PDF

Vibrio vulnificus Lipopolysaccharide의 세포 독성 효과와 지방산 조성 (Cytotoxic Effec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opolysaccharide from Vibrio vulnificus)

  • Lee, Bong-Hun;Park, Jang-Su;Shin, Won-Kang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6-110
    • /
    • 1999
  • 감염성 Vibrio vulnificus에 의한 패혈증과 같은 질병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Vibrio vulnificus로 부터 세포벽 lipopolysaccharide를 추출한 후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고 limulus gelation activity와 lethal toxicity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들을 비감염성 Escherichia coli LPS와 감염성 Salmonella typhimurium LPS의 것들과 비교하였다. V. vulnificus LPS의 주 지방산은 myristic acid 이었고 E. coli LPS는 lauric acid, S. typhimurium LPS는 capric acid 이었다. 세가지 LPS의 Limulus gelation activity는 같았으며(0.1ng/ml), V. vulnificus LPS의 lethal toxicity는 E. coli LPS와 S. typhimurium LPS의 것과 비슷하였다. LPS 이외에도 exotoxin과 같은 인자들도 V. vulnificus에 의한 세포 독성의 원인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Self-Sufficient Catalytic System of Human Cytochrome P450 4A11 and NADPH-P450 Reductase

  • Han, Song-Hee;Eun, Chang-Yong;Han, Jung-Soo;Chun, Young-Jin;Kim, Dong-Hyun;Yun, Chul-Ho;Kim, Dong-Ha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7권2호
    • /
    • pp.156-161
    • /
    • 2009
  • The human cytochrome P450 4A11 is the major monooxygenase to oxidize the fatty acids and arachidonic acid. The production of 20-hydroxyeicosatetraenoic acid by P450 4A11 has been implicated in the regulation of vascular tone and blood pressure. Oxidation reaction by P450 4A11 requires its reduction partners, NADPH-P450 reductase (NPR). We report the functional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of bicistronic constructs consisting of P450 4A11 encoded by the first cistron and the electron donor protein, NPR by the second. Typical P450 expression levels of wild type and several N-terminal modified mutants was observed in culture media and prepared membrane fractions. The expression of functional NPR in the constructed P450 4A11: NPR bicistronic system was clearly verified by reduction of nitroblue tetrazolium. Membrane preparation containing P450 4A11 and NPR efficiently oxidized lauric acid mainly to $\omega$-hydroxylauric acid. Bicistronic coexpression of P450 4A11 and NPR in E. coli cells can be extended toward identification of novel drug metabolites or therapeutic agents involved in P450 4A11 dependent signal path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