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ateral displacement

Search Result 1,27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강봉댐퍼의 개수 및 Z 플레이트 사용에 따른 의존성 및 성능 평가 (Dependency and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eel Rod Dampers and the use of Z plates)

  • 이현호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51-58
    • /
    • 2023
  • In this study, the displacement dependence, strength,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of the steel rod damper were evaluated. The test variables are the number of steel rod dampers and the lateral deformation prevention details. From test results, it was evaluated that the displacement dependence conditions in the structural design code were satisfied. The maximum strength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increased linearly as the number of steel rod increased. In addition, the maximum strength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were evaluated by more than 20 times increased by using of the lateral deformation prevention details.

DCM 배치 형상에 따른 연약지반 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oft Ground by DCM Arrangement Type)

  • 유승경;이종영;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25-13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DCM으로 보강된 연약지반의 거동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형실험결과를 이용하여 DCM 배치 형상에 따른 침하-측방변위, 침하-융기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형지반의 지표면 누적 침하 거동은 DCM이 적용된 지반에서 상대적으로 침하가 적게 발생하였고, 격자식, 벽식, 말뚝식의 순으로 동일한 하중조건에서 침하량이 적게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측방변위량과 융기량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연약지반의 침하와 측방유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존 연구(Leroueil et al., 1990)와 유사한 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CM 배치 형상에 따른 지반개량효과를 평가한 결과, 측방유동과 지반 융기에 대하여 격자식 보강이 벽식 및 말뚝식 보강에 비해 탁월한 지반개량효과를 보유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op-Down 공법이 적용된 흙막이벽의 역해석을 이용한 거동분석 (The Behavior of Earth Retaining Walls Applied to Top-Down Construction Method Using Back Analysis)

  • 홍원표;강철중;윤중만
    • 지질공학
    • /
    • 제22권1호
    • /
    • pp.39-4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흙막이벽 설계시 널리 사용되고 있는 SUNE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op-Down 공법이 적용된 지중연속벽, 주열식 흙막이벽(CIP벽, SCW벽)의 변형거동을 분석하였다. 해석프로그램에 Rankine의 토압(1857), Terzaghi and Peck의 토압(1967), Tschebotarioff의 토압(1973), 홍원표 윤중만의 토압(1995a)을 적용하여 흙막이벽의 수평변위를 예측하였다. 프로그램 해석결과, 흙막이벽의 수평변위량은 토압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홍원표 윤중만의 토압(1995a)을 적용하여 얻은 흙막이벽의 예측수평변위량이 실측수평변위량과 가장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프로그램 해석시 홍원표 윤중만의 경험토압(1995a)을 적용하면, Top-Down 공법이 적용된 흙막이벽의 변형거동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The effect of mainshock-aftershock on the residual displacement of buildings equipped with cylindrical frictional damper

  • Mirtaheri, Masoud;Amini, Mehrshad;Rad, Moosa Doosti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2권5호
    • /
    • pp.515-527
    • /
    • 2017
  • Recently, Friction dampers become popular due to the desirable performance in the energy dissipation of lateral loads. A lot of research which has been conducted on these dampers results in developing friction dampers with low sensitivity to the number of cycles and temperature increases. Friction dampers impose high residual drifts to the buildings because of low post-yield stiffness of the damper which results from increasing lateral displacement and period of buildings. This issue can be more critical under strong aftershocks which results in increasing of structural damages. In this paper, in addition to the assessment of aftershock on steel buildings equipped with friction dampers, methods for controlling residual drifts and decreasing the costs of retrofitting are investigated. Utilizing rigid connections as a lateral dual system and activating lateral stiffness of gravity columns by adding elastic braces are as an example of effective methods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es on the low to medium rise steel frames equipped with friction dampers illustrate a rise in residual drifts as the result of aftershock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different slip loads of friction damper can affect the residual drifts. Furthermore, elastic stories in comparison to rigid connections can reduce residual drifts of buildings in an effective fashion, when most slip loads of friction dampers are considered.

족근 관절 골절에서 사면상 단순 방사선 사진의 유용성 (Usefulness of the Oblique Radiographic View in Ankle Fractures)

  • 조덕연;송상준;윤형구;한수홍;장지훈;윤병호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4-98
    • /
    • 2005
  • Purpose: To compare the radiographic evaluations between two radiographic views (AP and lateral views) and four radiographic views (AP, lateral and both oblique views) in ankl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0 to June 2002, 60 cases of ankle fractures were treated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and its followed up periods were at least 2 years. All cas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eoperative radiographic evaluation. Two radiographic views (AP and lateral views) were taken in group A and four radiographic views (AP, lateral and both oblique views) were taken in group B. 12 Cases were evaluated with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 CT). Four radiographic views and 3D CT were taken in group C. All ca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anis-Weber and Lauge-Hansen classification. Displacement of fracture fragment of medial, lateral, posterior malleolus and size of fracture fragment of posterior malleous were measured using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PACS). Results: Although kappa value between two or four radiographic views were good or excellent in Danis-Weber classification and Lauge-Hansen classification of ankle fractures, the displacements of medial and lateral malleoli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Four radiographic views evalulated the degree of displacement of medial and lateral fragments more accurately compared to two radiographic views. Conclusion: Four radiographic views will be more useful than two radiographic views to decide the method of treatment and operation considering the displacement of fracture fragment.

  • PDF

성토지지말뚝의 지하매설관 측방이동 방지효과 (Effect of Embankment-Pile on Preventing Lateral Movement of Buried Pipe)

  • 김재홍;홍원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12호
    • /
    • pp.63-72
    • /
    • 2014
  • 측방유동 지반 속에 설치된 매설관의 측방이동과 이에 대한 성토지지말뚝의 방지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일련의 현장 실험시공을 시행하였다. 매립중인 서해안 연약지반에 지하매설관(H.P:400mm)를 부설하고 인접 위치에 성토를 3단계로 시행하여 침하판과 지중경사계를 이용하여 지하매설관의 수직변위(침하)와 수평변위를 확인하였다. 성토에 따른 측방유동 억지대책으로는 성토지지말뚝을 설치하였다. 실험시공 결과 성토도중에는 매설관이 미미하게 융기하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추후 침하하다 점차 수렴하는 거동으로 나타났다. 성토지지말뚝 보강 효과는 약 2.0배로 확인되었다. 또한, 침하와 변위는 상부지반에서는 크고 하부지반에서는 적게 침하가 발생하였고 변위는 비례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두하악관절 내장증시 측방 개별화 보정단층방사선사진에서의 하악과두의 위치 (Condylar position on the lateral individualized corrected tomography in internal derang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 김근민;황의환;이상래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2권2호
    • /
    • pp.67-73
    • /
    • 2002
  • Purpose: To examine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condylar position and disk displacement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Materials and Methods: 79 temporomandibular joints in 40 patients having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no disk displacement (NDD) , disk displacement with reduction (DDWR), and disk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DDWOR). Disk positions were assessed from clinical and MRI find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categories and condylar positions was evaluated using lateral individualized corrected tomography. Results: Clinical finding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dyle and disk positions having anterior, centric, and posterior positions were 27%, 27%, and 46%, respectively, in NDD, 43%, 17%, and 40%, respectively, in DDWR, and 44%, 22%, and 34%, respectively, in DDW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dylar positions between each of the groups (P>0.05).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dyle and disk positions with MRI findings, anterior, centric, and posterior positions were 38%, 38%, and 24%, respectively, in NDD, 29%, 21%, and 50%, respectively, in DDWR, and 44%, 9%, and 47% respectively, in DDW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dylar positions when MRI was utilized (P<0.05)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ndyle and disk positions with MRI findings on lateral individualized corrected tomography.

  • PDF

연약점토지반에 설치된 IER 지주식 흙막이의 효과적인 수평변위억제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Restraint Method of Lateral Displacement of an Inclined Earth Retaining Structure in Soft Clay)

  • 김자영;임종철;서민수;김창영;박은경;박태건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10호
    • /
    • pp.15-24
    • /
    • 2017
  • 기존 흙막이 공법을 개선함으로, 자립이 가능하게 IER공법이 개발되었다. IER 공법의 안정성은 실내모형실험과 현장실험을 통해서 확인되었다. 특히, 점토지반에서의 실내모형실험의 결과 상당한 변위 감소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IER을 점토지반에 실제 적용하여 계측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것을 이용하여 연약점토지반에서의 적용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치해석을 통해 동일한 개수의 H-pile이 적용된 일열 H-pile 흙막이에 비해서 IER 공법의 수평변위가 70.9%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IER 공법을 연약점토지반에 적용하면 높은 수평변위억제효과로 인해 지반의 안정성은 상당히 많이 증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 점토지반에서의 수평변위억제방법으로 전면지주의 근입부에 DCM보강을 제안하여, 수치해석을 통해 DCM 최적의 보강위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굴착저면에서 전면지주의 근입부의 중간지점까지 DCM 보강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붕괴 사례를 통한 앵커지지 가설흙막이벽체의 수평변위속도에 의한 안전관리 연구 (A Study for Safety Management on the Basis of Lateral Displacement Rates of Anchored In-situ Walls by Collapse Case Histories)

  • 정대석;이용범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67-378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도심지 굴착시 흔히 마주치는 암반을 포함한 다층토 지반에서 앵커지지 흙막이 구조물의 합리적인 안전관리방법에 대해 서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흙막이 굴착공사의 붕괴사례 현장으로부터 수집한 현장 계측자료를 바탕으로 깊은 굴착시 앵커지지 흙막이벽체의 수평변위속도 관점에서 흙막이 구조물의 안전관리방법에 대해 접근하였다. 연구결과: 붕괴구간의 흙막이벽체 평균 최대수평변위속도는 굴토완료 이후에 뚜렷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암반 불연속면을 따라 발생하는 슬라이딩에 의한 흙막이 구조물 붕괴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상당히 큰 변위속도를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굴착공사중 흙막이 구조물 붕괴 사고를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해 국내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어온 수평변위에 의한 정량적인 관리기준보다는 수평 변위속도에 의한 안전관리기준의 활용은 흙막이 굴착공사의 안전성을 판단하는데 훨씬 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래지반에서 반복수평하중을 받는 말뚝의 영구변형 (Permanent Deformations of Piles in Sand Under Cyclic Lateral Loads)

  • 백규호;박원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11호
    • /
    • pp.63-73
    • /
    • 2010
  • 해상풍력발전기의 기초로 사용되는 단말뚝은 풍력과 파랑하중에 의해 큰 크기의 반복수평하중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지반에서 반복수평하중을 받는 항타말뚝의 거동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가압토조와 길이가 다른 3개의 모형말뚝을 이용해서 모형말뚝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하중의 최초 재하는 그 이후에 가해지는 반복재하보다 말뚝의 수평변위를 크게 발생시키고, 반복하중의 재하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1회 재하로 인해 발생하는 말뚝의 수평변위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중의 한방향 반복재하는 말뚝의 영구수평변위를 재하방향으로 증가시킨 반면, 양방향 반복재하는 최초 재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말뚝의 영구수평변위를 증가시켰다. 그리고 반복 하중으로 인한 말뚝의 영구수평변위는 지반의 상대밀도가 감소하거나 말뚝에 가해지는 반복하중의 크기가 커질수록 급격히 증가하였고, 지반의 토압계수나 말뚝의 근입길이 변화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모형실험의 결과에 근거해서 하중이 한방향으로 반복재하될 때 말뚝의 영구수평변위와 영구회전각을 예측할 수 있는 산정식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