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nt growth modeling(LGM)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8초

연관규칙을 이용한 잠재성장모형의 개선방법론 (A Methodology for Improving fitness of the Latent Growth Modeling using Association Rule Mining)

  • 조영빈;전재훈;최병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17-225
    • /
    • 2019
  • 대표적인 종단자료 분석방법인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은 무조건적 모형과 조건적 모형으로 구분한다. 잠재성장모형의 무조건적 모형 성장궤적은 선형으로 가정하여 분석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선형 성장궤적으로 가정하여 모형 적합도가 미달하는 경우 연관규칙기법을 이용하여 모형 적합도를 제고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방법론은 연관규칙 마이닝의 순차패턴(Sequential Pattern)을 사용한다. 이를 위하여 종단자료를 분위별로 나누고, 각 분위에 속한 종단자료의 기간 변화를 산출한 뒤 이를 순차 패턴 화하였다. SPSS AMOS를 이용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2001년부터 6년간 조사한 청년 패널 자료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기존 단순선형함수를 가정할 때와 비교하여 모형 적합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잠재성장모델링을 이용한 미디언 필터링 검출 (Median Filtering Detection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 이강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호
    • /
    • pp.61-68
    • /
    • 2015
  • 최근에 위,변조 영상의 처리이력 복구를 위한 포렌식 툴로서 미디언 필터링 (MF: Median Filtering) 검출기가 크게 고려되고 있다. 미디언 필터링의 분류를 위한 미디언 검출기는 적은 양의 특징 셋과 높은 검출율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변조된 영상의 미디언 필터링 검출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BMP를 미디언 윈도우 사이즈에 의하여 여러 미디언 필터링 영상으로 변환하고, 윈도우 사이즈에 따른 차분포 값을 계산하여 그 값으로 미디언 필터링 윈도우 사이즈와 같은 특징 셋을 만든다. 미디언 필터링 검출기에서, 특징 셋은 잠재성장 모델링 (LFM: Latent Growth Modeling)을 사용하는 모델 특성으로 변환된다. 실험에서, 테스트 영상은 TP (True Positive)와 FN (False Negative) 두 분류로 판별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분류 효율성이 TP와 FN의 혼동에서 최소거리 평균이 0.119로서 훌륭한 성능임이 확인 되었다.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탈북청소년의 사회자본과 학교적응 간 종단관계 분석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of North Korean Migrant Youths and School Adjustment: A Latent Growth Modeling Approach)

  • 연보라;김경근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205-230
    • /
    • 2017
  •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연구 3-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탈북청소년의 사회자본과 학교적응의 변화 및 그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탈북청소년의 사회자본이나 학교적응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화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변화에서 뚜렷한 평균적인 흐름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변화의 개인차는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탈북청소년의 초기 사회자본은 당시의 학교적응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학교적응의 변화에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탈북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는 그들의 사회자본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탈북청소년의 사회자본을 강화시킴으로써 그들의 학교적응 수준도 점진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잠재성장모형의 무조건적 모델 추정을 위한 데이터 기반 방법론 (A Data Based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Unconditional Model of the Latent Growth Modeling)

  • 조영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85-93
    • /
    • 2018
  • 대표적인 종단자료 분석방법인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은 무조건적 모델과 조건적 모델로 구분되는데, 이중 무조건적 모델은 초기값과 기울기를 추정하여 적합도가 높은 모델을 추정해야 한다. 그렇지만 기존 잠재성장모형에는 종단자료의 형태가 단순선형함수 등 특정 함수가 아닐 경우 기울기를 추정하는 체계적인 방법론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뮤조건적 모델의 기울기를 추정하는데 연관규칙(Association Rule Mining)의 순차패턴(Sequential Pattern)을 사용하였다. 데이터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01년~2006년에 조사한 청년 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제안한 방법론은 기존 단순선형함수를 가정할 때와 비교하여 적합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울기 추정 과정을 시각화할 수 있는 부수적인 장점이 있었다.

가족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청소년기 아동의 학업성취도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 (The Effect of Family Socioeconomic Background on Child's Academic Attainment Development Trajectory -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

  • 김광혁
    • 아동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27-14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trajectory of child's academic attainment and the effect of family socioeconomic background on the trajectory. Data were part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2003-2005(Middle School 2) and were analyzed by Latent Growth Curve Modeling(LGM). The degree of child's academic attainment decreased over 3 years. Socioeconomic status variables that influenced academic trajectory were family poverty, parent's attainments in scholarship, and family structur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societal support for low socioeconomic status families is needed for improvement of academic attainment of their children.

  • PDF

정부지원 연구비의 대학 기술이전 수입료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 잠재성장곡선모형을 이용한 종단 연구 (The impacts of government research funds on technology transfers from universities: A longitudinal study on Korean universities)

  • 박근주;이규태
    • 기술혁신연구
    • /
    • 제28권1호
    • /
    • pp.1-30
    • /
    • 2020
  • 정부는 대학 연구비 지원에 기반하여, 기술사업화 정책을 추진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신제도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의 변화율이 기술사업화 성과의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 소재지에 의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시간적 변화 분석에 통용되는 잠재성장곡선모형(Latent Growth Curve Model, 이하 LGM)을 활용하여, 2009년~2017년 9년 간 전국 4년제 138개 대학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부지원 연구비의 증가율은 기술이전 수입료 증가율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비수도권 대학보다 수도권 대학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관계는 시간 지연효과를 고려한 분석에서도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의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연구비 지원 정책의 효과성에 대해서 대학의 소재지에 따라 차별적 이해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초·중학교 학부모의 학교만족도 종단 분석 (A Longitudinal Analysis of Parents' School Satisfaction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

  • 곽수란;송미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1-41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KELS)2013의 1차, 3차, 5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부모의 학교만족도를 종단분석 하였다. 분석대상은 KELS2013 초5패널 학부모가 1차, 3차, 5차에 탈락하지 않고 응답한 학부모이며, 표본은 잠재성장모형에 투입된 변수에 결측치가 없는 4,227명이 선정되었다. 분석결과 부모학력과 교육지원 그리고 학업성취는 학부모의 학교만족도에 정적효과를 나타내지만, 부모의 교육관과 교육비는 학교만족도에 부적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학부모의 학교만족도를 확인함으로써 교육전문기관으로서 학교의 본래 기능을 제고하는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및 우울과 공동체 의식 간의 종단적 관계 연구 : 성취가치의 매개효과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Youth's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Community Sense Using Latent Growth Model : A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Values)

  • 오민아;조혜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5권1호
    • /
    • pp.125-13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youth's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community sense mediated by achievement value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ree years of the longitudinal panel data (2011-2013)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Data were collected from 2,351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using SPSS 18.0 and AMOS 22.0. The mai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decreased and community sense increased as time passed. These results supported the linear change model. Second, the initial status of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had effects on the initial status and change rates of community sense. Achievement values, the partial mediato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itial community sense bu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change rates of community sense. We discussed how to improve Korean youth's community sense based on these results.

아동기 문제행동의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Their Predictors)

  • 차윤희;김영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25-4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loy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LGM)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to identify predictors that might have an effect on change and the level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Furthermore, we classified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also analyzed factors which caused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trajectories by Semi-Parametric Group-based Modeling. This study used data from wave 1-4(2004~2008) of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 panel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changed significantly from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The predictors for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ere gender, self-control, parental conflict, deviant peers, and attachment to teachers. The predictors for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ere gender, self-esteem, self-control, and deviant peers.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은퇴 노인의 부부관계 만족도와 삶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 비교 (The association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retirees in later life: a longitudinal comparison)

  • 최봄이;전혜정;주수산나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7-96
    • /
    • 2016
  • Objective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retirees in later life and to test whether the degrees of associations increased over time. Method: Nationally representativ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data from wave 1 (in 2006) to wave 4 (in 2012) was utilized and retirees in later life (65-89 years old, N=402) were analyzed. Latent growth modeling (LGM) and model constraint were applied using Mplus 7.3. Age, sex, household income, subjective health, depressive symptoms and elapsed time after retirement were included as control variables. Results: Linear unconditional LGM fitted the data well and showed gradual decrease in life satisfaction. Conditional LGM revealed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from time 1 to time 4. According to model constraint test, the size of association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did not change with time. Conclusions: To sum up these results, the association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and relatively stable over time among retirees in later life. This study suggests one's spouse is a fundamental component of social convoy among Korean retirees in later life. Therefore, intervention programs targeted toward enhancing marital relationships among retirees' couples will help them to live a better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