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e and juvenile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3초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 and Juvenile of the Oryzias latipes

  • Lee, Sung-Hun;Kim, Chun-Cheol;Koh, Soo-Jin;Shin, Lim-Soo;Cho, Jae-Kwon;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3호
    • /
    • pp.173-178
    • /
    • 2014
  • In order to monitor the developmental features of embryos, larvae, and juveniles of Oryzias latipes (Temminck and Schlegel), Oryzias latipes was caught in river of Shinduck-dong, Yeosu-si, Jeollanam-do, on May 2011, an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Ichthyology laboratory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he blastodisc step was the first level for natural spawning. The optic vesicle, Kupffer's vesicle, myotome began to appear 75 hours 57 minutes later. After blastodisc development, the pectoral fins were made at 143 hours 37 minutes and the tail was separated started at the same time. Hatching was observed at 167 hours 27 minutes after blastodisc. The total length of the hatched larvae was 4.95~5.10 mm (mean, 5.01 mm), the mouth and anus were opened. Larvae used yolk completely after 3 days after hatching. The total length larvae was 5.45~5.56 mm (mean, 5.52 mm) after 8 days after hatching, and appeared the stems for tail. The stems pectoral, anal fin were showed after 14 days and the stems dorsal, ventral fin were appeared after 19 days. For 35 days after hatching, the total length of larvae 13.95~15.30 mm (mean, 14.64 mm), and at this time, fins and body were transferred like the adult Oryzias latipes.

사할린가자미(Limanda sakhalinensis)의 난발생 과정 및 자치어 형태발달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nge of Larvae and Juveniles of the Sakhalin Sole Limanda sakhalinensis)

  • 한경호;나해춘;박애전;박재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87-295
    • /
    • 2017
  •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nge of larvae of the Sakhalin sole Limanda sakhalinensis were studied by observing specimens obtained in a rearing experiment from fertilized eggs to the juvenile stage. The wild broodstock was collected in January 2010 and kept in a circular water tank (${\O}1.5{\times}1m$) at a temperature of $14.5{\pm}0.5^{\circ}C$. Fertilized eggs ranged from 0.72 to 0.82 mm ($0.77{\pm}0.07mm$, $mean{\pm}SD$) in diameter. The eggs were spherical, transparent and adhesive demersal. The egg yolk was divided from the oocyte 10 min after fertilization (AF), and an embryo was formed in 36 h AF. More than 50% of the eggs hatched within 133 h AF. The mouth and anus did not open until $3.5{\pm}0.25mm$ total length (TL). At 4, days after hatching (AH), the fish became larvae 3.7 to 4.2 mm ($4.0{\pm}0.36mm\;TL$), yolk absorption was completed and the mouth began to open. The left eye moved upward and the nostril moved to the right at 39 days AH. These post-larvae ranged from 8.0 to 9.9 mm TL ($8.9{\pm}1.33mm\;TL$). At 50 days AH, the fish became juveniles ($12.4{\pm}1.20mm\;TL$) There were 70-72 dorsal fin rays, 55-56 anal fin rays, 11 pectoral fin rays, and 6 ventral fin rays and the juveniles adopted a benthic life.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의 스쿠티카충 감염경로 (Infection Route of Scuticociliates in the Juvenile of the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진창남;이창훈;오상필;나오수;허문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21
    • /
    • 2003
  • The infection characteristics with scuticociliates at on-land rearing farms and hatcheries of flounder, Paralithys olivaceus was investigated during the year of 2001 by juvenile infection routes. When culture tanks for living food organisms such as chlorella, rotifer, and Artemia were searched, scuticocilates were detected both in live and dead rotifer, and at the dregs of culture tank bottoms at almost hatcheries. When rotifer infected with scuticocilates fed on fish larvae, lots of scuticocilate were inhabited at the bottom of fry rearing tanks. After feeding on scuticocilates-infected rotifer on fish larvae, first infection was detected at 10 days after bottom dwelling or 40 days old after hatching. By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we confirmed the infection route of eyeball or brain contamination was that the ciliate worms digged through mouth and front part of the dosal fin cuticle, transferred into eyeball along the epithelium and muscle tissue, and reached finally into brain by the muscle and nerve tissue. The infection of internal organs was clarified into two routes. The first route was started from the infection at ventral and anal fin rays by the worms, and reached at the anus and rectum through the epithelium and muscle tissue. The second route was initiated from the infection at urinary organ and reached into the rectum epithelium cells, inner wall of intestine, abdominal cavity, pancreas, kidney, and pancreas. At seed production farms where fish larvae fed on scuticocilate-free rotifer, the worms were not detected not only at the food organisms culture tanks and juvenile rearing tanks but also larval flounder less than 7cm in total length.

황복의 난발생과 자치어 발달 (Embryonic, Larval, and Juvenile Stages in Yellow Puffer, Takifugu obscurus)

  • 장선일;강희웅;한형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18
    • /
    • 1996
  • 본 연구는 수정난에서 부터 부화후 60일 까지 황복의 배발생 및 자치어의 발달에 관한 형태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배발생 단계는 융합기, 난할기, 포배기, 낭배기, 체절형성기, 인두형성기 및 부화기 등 7가지로 구분하였다. 황복의 난은 분리부착 침성난으로 구형이며, 난황은 작고 많은 유구를 갖고 있다. 수정후 약 170시간 경에 난황 주위에 흑색소포가 출현되기 시작했다. 수온 $17.0{\pm}1.0^{\circ}C$에서 수정후 280시간에 부화되며, 부화된 자어는 큰 난황을 달고 있으며, 그 크기는 $3.00\~3.54\;mm$이고 $25\~26$개의 체절이 형성되었다. 부화후 7일에는 난황과 유구가 완전히 흡수되고 자어기에 도달했다. 부화후 60일에 자치어의 전장은 $23.54\~30.12\;mm$로 성장되며, 모든 지느러미가 형성되었다.

  • PDF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rident Goby, Tridentiger brevispinis (Pisces: Gobiidae))

  • 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19
    • /
    • 2023
  • 본 연구는 민물검정망둑의 초기생활사를 규명하고 그 특징을 근연종과 비교하여 분류학적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수정란은 부착사를 가진 전구형으로 크기는 장경 1.30 mm, 단경 0.79 mm였다. 난발생은 수온 23.0~25.0℃에서 부화까지 167~228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난황자어는 전장 2.31~2.78 mm였고, 난황과 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부화 후 3일째는 전장 2.84~3.10 mm로 난황흡수가 완료되면서 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19일째는 전장 4.02~4.62 mm로 꼬리지느러미 끝이 위쪽으로 휘어지면서 중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30일째는 전장 5.04~6.36 mm로 척추 끝 미부봉상골이 45°로 휘어지면서 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54일째는 전장 7.43~9.84 mm로 기조 수가 각 부위별 지느러미 기조 수는 제1 등지느러미 6개, 제2등지느러미 12개, 뒷지느러미 11개, 배지느러미 10개로 정수에 달하면서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연구결과 민물검정망둑은 검정망둑속 가운데 수정란이 크고 부화자어의 근절 수가 많은 것을 새롭게 확인하였고, 흑색소포 분포위치는 검정망둑속 어류들과 다르게 나타나 형태적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전어(Konosirus punctatus) 자치어 발육단계에 따른 골격발달과정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 in Konosirus punctatus)

  • 서지훈;김관석;이진;최원준;차상훈;유태식;이성훈;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3-90
    • /
    • 2023
  • 전어는 부화 후 5일째 평균전장 5.96 mm로 부설골, 전액골, 전상악골, 치골이 먼저 골화하였다. 부화 후 16일째 평균전장 9.96 mm로 전이골, 후이골, 외익상골, 상설골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25일째 평균전장 11.03 mm로 상쇄골, 후측두골이 골화하기 시작하였으며, 4개의 사출골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28일째 평균전장 12.34 mm로 액골, 익이골, 상이골, 외후두골, 기저후두골, 안전골, 주상악골, 설악골, 전새개골, 주새개골, 하설골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36일째 평균전장 16.11 mm로 견갑골이 골화하였고, 부화 후 37일째 평균전장 16.25 mm로 사골, 비골, 노정골, 상후두골, 안하골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45일째 평균전장 21.14 mm로 오혜골이 골화하여 견대부의 골화가 완성되었다. 부화 후 48일째 평균전장 23.20 mm로 관절골, 하새개골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53일째 평균전장 30.11 mm로 서골, 구개골, 내익상골, 각골, 방골, 접속골, 인설골이 골화하면서 모든 골격의 골화가 완료되었다.

먹이종류에 따른 동남참게, Eriocheir japonicus(De Haan) 초기유생의 생존율 (Survival of the early lavae of the Freshwater Crab, Eriocheir japonicus (De Haan) fed on different diets in the Laboratory)

  • 허윤성;권진수;이복규;김홍권;김병기;최주수;김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07-415
    • /
    • 2002
  • 동남참게 초기유생에 대한 다양한 먹이를 공급하여 먹이에 따른 어린게까지 소요 일수와 생존율을 수온 22$\pm$1$^{\circ}C$ 및 염분 24$\pm$1% 상태에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투여구에서는 5일만에 조에아 I~2기 상태에서 모두 사멸하였고, 살아있지 않은 먹이인 삶은 계란 난황 건조분말, 삶은 대두 건조분말, 인공배합사료 분말, 삶은 수수 건조분말, 새우 생육세편, 담치 외투막 생육세편를 공급한 실험구에세는 7~9일 까지 생존하였으며 유생의 형태는 조에아 2~3기 상태였다. 식물성 단세포인 C. ellipsoid, S. costatum, 및 C. gracilis를 각각 단독으로 공급하였을 때 각각 10, 18과 19일 까지 생존하였고, 유생의 형태는 조에아 3~5기 상태였고, 동물성 플랑크톤인 Artemia nauplii and rotifer를 공급하였을 때 각각 24일과 25일만에 치게로 변태하였고 이때의 생존율은 각각 43%와 25%이었다. 한편, 조류와 동물성 먹이를 혼합하여 공급하였을 때 단독공급시보다 모든 실험구에서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고, 치게까지 도달하였다. 그 중에서 가장 효과가 좋았던 실험구는 규조류인 C. gracilis, Artemia nauplii and rotifer를 혼합공급한 실험구 이었고, 22일만에 치게로 변태하였으며 이때 생존율은 73%였다.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mbryo, Larvae and Juvenile in Yellowtail kingfish, Seriola lalandi

  • Yang, Sang Geun;Hur, Sang Woo;Ji, Seung Cheol;Lim, Sang Gu;Kim, Bong Seok;Jeong, Minhwan;Lee, Chi Hoon;Lee, Young-D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0권2호
    • /
    • pp.109-118
    • /
    • 2016
  • This study monitored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mbryo, larvae and juvenile yellowtail kingfish, Seriola lalandi, for their aquaculture. The fertilized eggs obtained by natural spawning were spherical shape and buoyant. Fertilized eggs were transparent and had one oil globule in the yolk, with an egg diameter of $1.35{\pm}0.04mm$ and an oil globule diameter of $0.32{\pm}0.02mm$. The fertilized eggs hatched 67-75 h after fertilization in water at $20{\pm}0.5^{\circ}C$. The total length (TL) of the hatched larvae was $3.62{\pm}0.16mm$. During hatching, the larvae, with their mouth and anus not yet opened. The yolk was completely absorbed 3 days after hatching (DAH), while the TL of post-larvae was $4.72{\pm}0.07mm$. At 40 DAH, the juveniles had grown to $30.44{\pm}4.07mm$ in TL, body depth increased, the body color changed to a black, yellow, and light gray-blue color, and 3-4 vertical stripes appeared. At 45 DAH, the juveniles were $38.67{\pm}5.65mm$ in TL and $10.10{\pm}0.94mm$ in body depth. The fish were green with a light orange color, with 7 faint green-brown stripes on the sides of their body. At 87 DAH, the juveniles had grown to 236.11 mm in TL, 217.68 mm in fork length, and 136.5 g in weight. The fish resembled their adult form, with a light yellow-green body color, loss of the pattern on the sides of their body, and a yellow coloration at the tip of the caudal fin.

낙동강 수계 위천에 서식하는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Squalidus gracilis majimae from Wicheon Stream, Nakdong-River)

  • 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44-252
    • /
    • 2022
  • 이 연구는 긴몰개의 난발생과 자치어 형태발달을 관찰하여 초기생활사를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긴몰개는 2021년 6월 경북 의성군에 위치한 낙동강 수계 위천으로 유입되는 지류에서 포획하였다. 인공수정을 위해 호르몬 Ovaprim은 kg당 0.5 mL 농도로 주사하였고, 주사 후 12시간 후에 채란하였다. 성숙란의 크기는 0.80~0.85 mm (0.83±0.01 mm, n=30)였고, 수온 22±1℃에서 부화 소요시간은 62시간 30분에서 69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크기는 전장 2.39~2.53 mm (2.44±0.04 mm, n=30)였고, 부화 후 18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8.51~9.84 mm (8.95±0.42 mm, n=30)로 척추 끝부분이 완전히 휘어지면서 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22일째 치어는 전장 12.6~13.6 mm (13.0±0.36 mm, n=30)로 지느러미 기조 수는 등지느러미 iii7개, 뒷지느러미 i7개로 정수에 달했다. 긴몰개는 난 및 부화자어 크기는 점몰개와 유사하였고, cupulae는 유연종들 가운데 가장 늦게 소실되었다.

실험실에서 사육된 고랑가리비 Chlamys swiftii 수정란 발생과 유생 성장 (Development and growth in fertilized eggs and larvae of Korea swift's scallop Chlamys swiftii reared in the laboratory)

  • 이주;김이청;김기승;남명모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3-272
    • /
    • 2013
  • 고랑가리비의 산란을 유도하고 수정난의 발생과 유생의 성장과정을 조사하였다. 산란자극 방법으로 광 자극, 간출 자극, 온도 자극, 그리고 간출 후 온도자극을 수온 $16{\pm}0.5^{\circ}C$에서 각각 실시하였다. 광 자극은 암컷 1마리당 700-900천개, 온도 자극은 700-800천개로 적은 산란량을 보인 반면 간출 자극은 700-1,200천개로 높았으며 간출 자극 후 온도자극이 1,000-1,500천개로 가장 높은 산란량을 보였다. 수정율에 있어 광 자극은 암컷 1마리당 71.7%, 온도자극은 73.4%, 간출 자극이 73.6%이었으며 간출 자극 후 온도자극은 76.3%로 가장 높았으나 자극방법에 따른 수정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수정란부터 D상 유생으로의 수온별 발생과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비이커에 ml당 1,000개의 수정란을 수용하고 각각 $8^{\circ}C$, $12^{\circ}C$, $16^{\circ}C$, $20^{\circ}C$$24^{\circ}C$에서 D상 유생으로 발생하는 생존율을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30분 간격으로 관찰한 결과, $8^{\circ}C$$24^{\circ}C$의 실험군이 4.1%와 3.2%로 생존율이 낮은 편이었으며 $16^{\circ}C$에서 32.7%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여주었다. 수정란의 크기는 $72{\pm}2.1{\mu}m$, 담륜자 유생은 $103{\pm}3.8{\mu}m$, D상 유생은 $129{\pm}10.4{\mu}m$, 각정기 유생은 $145{\pm}16.8{\mu}m$, 후기 유생은 $197{\pm}13.6{\mu}m$이었으며 528시간 후에 각장 $245{\pm}15.8{\mu}m$의 초기 부착종묘로 성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