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anguage Convergence

Search Result 80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Based on Hunminjeongeum Using Korean Input Keyboard (기존 한글 키보드를 이용한 훈민정음 기반의 한글 병음 중국어 입력기 개발)

  • Sin, Eun-Joo;Choi, Ja-Ryoung;Lim, Soon-Bum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23 no.4
    • /
    • pp.549-557
    • /
    • 2020
  • Chinese is the most spoken language in the world. However, because Chinese is a hieroglyphic language, using Chinese in a digital environment is very inconvenient. Chinese users are using Pinyin for Chinese input, but the phonetic representation of the Latin alphabet is not good. Hunminjeongeum has an excellent phonetic representation which can improve Chinese usage in digit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 of Chinese by Chinese users in digital environment and to help Korean users who are learning Chines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Chinese input method using Hunminjeongeum. In addition, we develop an input software using this input method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by evaluating usability.

Triplet Extraction using Korean Dependency Parsing Result (한국어 의존 파싱을 이용한 트리플 관계 추출)

  • Kwak, Sujeong;Kim, Bogyum;Lee, Jae 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3.10a
    • /
    • pp.86-89
    • /
    • 2013
  • 자연언어 문서에서 지식 추출은 QA 시스템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필수적이다. 트리플은 가장 일반적인 지식 추출 형식으로 문장 내부의 지식 정보를 주어, 서술어, 목적어의 관계로 표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의존 파서로 문장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서 트리플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제안된 트리플 추출기는 21개 문장에서 추출된 78개의 트리플 정답 집합과, 64개의 준정답 집합에 대해서 각각 60.75%와 66.67%의 F-measure 성능을 보였다.

  • PDF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Word2Vec (Word2Vec를 이용한 단어 의미 모호성 해소)

  • Kang, Myung Yun;Kim, Bogyum;Lee, Jae 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81-84
    • /
    • 2015
  • 자연어 문서에 출현하는 단어에는 중의적 단어가 있으며, 이 단어에서 발생되는 의미 모호성은 대개 그 문맥에 따라 해소된다. 의미 모호성 해소 연구 중, 한국어 단어 공간 모델 방법은 의미 태그 부착 말뭉치를 이용하여 단어의 문맥 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호성을 해결하는 연구로서 비교적 좋은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Word2Vec를 이용하여 기존 연구인 한국어 단어 공간 모델의 단어 벡터를 효과적으로 축소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세종 형태 의미 분석 말뭉치로 실험한 결과, 제안한 방법이 기존 성능인 93.99%와 유사한 93.32%의 정확률을 보이면서도 약 7.6배의 속도 향상이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Entity Name Recognition Techniques Using Korean Patent Literature

  • Gim, Jangwon
    • Journal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nvergence
    • /
    • v.10 no.2
    • /
    • pp.139-151
    • /
    • 2020
  • Entity name recognition is a part of information extraction that extracts entity names from documents and classifies the types of extracted entity names. Entity name recognition technologies are widely used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uch as information retrieval, machine translation, and query response systems. Various deep learning-based models exist to improve entity name recognition performance, but studies that compared and analyzed these models on Korean data are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compar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CRF, LSTM-CRF, BiLSTM-CRF, and BERT, which are actively used to identify entity names using Korean data. Also, we compare and evaluate whether embedding models, which are variously used in recent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asks, can affect the entity name recognition model's performance improvement. As a result of experiments on patent data and Korean corpus, it was confirmed that the BiLSTM-CRF using FastText method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Cross-Texting Prevention System using Korean Chat Corpus (한글 채팅 말뭉치를 이용한 크로스-텍스팅 방지 시스템)

  • Lee, Da-Young;Who, Hwan-Gu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377-382
    • /
    • 2020
  • cross-texting은 실수로 의도하지 않은 상대방에게 메세지를 잘못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휴대폰 메신저 사용이 활발해짐에 따라 이 같은 실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메신저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대체로 사후 해결책에 해당하고 사용자가 사전에 실수를 발견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작성한 문장의 형식적 자질를 분석하여 현재 참여중인 대화에서 작성한 문장이 cross-texting인지를 판별하는 모델을 제안했다. 문장에서 높임법, 표층적 완성도 자질을 추출하고 이를 통해 특정 사용자의 대화를 모델링하여 주어진 문장이 대화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같은 방식은 채팅방의 이전 기록만으로도 사용자가 작성한 문장이 cross-texting인지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실제 메신저 대화 말뭉치를 이용해 제작한 데이터에서 94% 정확도로 cross-texting을 탐지했다.

  • PDF

Graph Random Walk Analysis for Chat Messenger User Verification (채팅 메신저 사용자 검증을 위한 그래프 랜덤 워크 분석)

  • Lee, Da-Young;Cho, Hwan-Gu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79-84
    • /
    • 2021
  • 메신저 사용의 증가와 함께 관련 범죄와 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메시지 사용자 검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프 기반의 인스턴트 메세지 분석 모델을 제안하여 채팅 사용자를 검증하고자 한다. 사용자 검증은 주어진 두 개의 텍스트의 작성자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문제다. 제안 모델에서는 사용자의 이전 대화를 토대로 n-gram 전이 그래프를 구축하고, 작성자를 알 수 없는 메세지를 이용해 전이 그래프를 순회한 랜덤워크의 특성을 추출한다. 사용자의 과거 채팅 습관과 미지의 텍스트에 나타난 특징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모델은 10,000개의 채팅 대화에서 86%의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로 사용자를 검증할 수 있었다. 전통적인 통계 기반 모델들이 명시적 feature를 정의하고, 방대한 데이터를 이용해 통계 수치로 접근하는데 반해, 제안 모델은 그래프 기반의 문제로 치환함으로써 제한된 데이터 분량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내는 자동화된 분석 기법을 제안했다.

  • PDF

Exploiting Features of Writer's Intent in Automatic Spacing (자동 띄어쓰기에서 글쓴이 의도를 반영한 자질의 활용)

  • Lee, Jeong-wook;Kim, Jae-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528-531
    • /
    • 2021
  • 띄어쓰기에 대한 오류는 한국어 처리 전반에 영향을 주므로 자동 띄어쓰기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글쓴이의 대부분은 띄어쓰기 오류를 범하지 않으므로 글쓴이의 의도가 띄어쓰기 시스템에 반영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자동 띄어쓰기 시스템은 모든 띄어쓰기 정보를 제거하고 새로이 공백문자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띄어쓰기를 수행한다. 이런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에서 글쓴이의 의도가 반영된 자질을 추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위해서 CRFs(Conditional Random Fields)를 사용하여 기존 시스템과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띄어쓰기 시스템과의 성능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 PDF

Viterbi Morpheme Restoration in Korean (한국어에서 Viterbi 형태소 복원)

  • Lee, Je-seung;Kim, Jae-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536-539
    • /
    • 2021
  • 본 논문은 한국어에서 형태소 복원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기계학습 기반 형태소 분석에서 형태소 복원은 기분석 사전과 약간의 경험규칙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해 사전에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단음절 이형태의 모호성을 해결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생성된 모호성을 Viterbi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해소한다. 본 논문의 형태소 복원 과정은 기본적으로 기분석 사전과 약간의 경험규칙을 이용하여 형태소 복원 후보를 찾고 여러 후보가 있을 경우(모호성의 생성), 그 결과를 Viterbi 알고리즘으로 이형태를 결정한다. 실험을 위해 모두의 말뭉치(형태 분석)를 사용하고, 평가는 NER 방식으로 평가한다. 그 결과 품사 부착에 대해 96.28%정도의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Korean-English Non-Autoregressive Neural Machine Translation using Word Alignment (단어 정렬을 이용한 한국어-영어 비자기회귀 신경망 기계 번역)

  • Jung, Young-Jun;Lee, Chang-K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629-632
    • /
    • 2021
  • 기계 번역(machine translation)은 자연 언어로 된 텍스트를 다른 언어로 자동 번역 하는 기술로, 최근에는 주로 신경망 기계 번역(Neural Machine Translation) 모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신경망 기계 번역은 일반적으로 자기회귀(autoregressive) 모델을 이용하며 기계 번역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지만, 병렬화할 수 없어 디코딩 속도가 느린 문제가 있다. 비자기회귀(non-autoregressive) 모델은 단어를 독립적으로 생성하며 병렬 계산이 가능해 자기회귀 모델에 비해 디코딩 속도가 상당히 빠른 장점이 있지만, 멀티모달리티(multimodality)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어 정렬(word alignment)을 이용한 비자기회귀 신경망 기계 번역 모델을 제안하고, 제안한 모델을 한국어-영어 기계 번역에 적용하여 단어 정렬 정보가 어순이 다른 언어 간의 번역 성능 개선과 멀티모달리티 문제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됨을 보인다.

  • PDF

On the Significance of Domain-Specific Pretrained Language Models for Log Anomaly Detection (로그 이상 탐지를 위한 도메인별 사전 훈련 언어 모델 중요성 연구)

  • Lelisa Adeba Jilcha;Deuk-Hun Kim;Jin Kwak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4.05a
    • /
    • pp.337-340
    • /
    • 2024
  • Pretrained language models (PLMs) are extensively utilize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log anomaly detection systems. Their effectiveness lies in their capacity to extract valuable semantic information from logs, thereby strengthening the detection performance. Nonetheless, challenges arise due to discrepancies in the distribution of log messages,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robust and generalizable detection system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and distributional variation across various log message datasets, underscoring the crucial role of domain-specific PLMs in overcoming the said challenge and devising robust and generalizable sol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