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use change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3초

서울시 개발제한구역 8년간(1999~2007년) 토지이용 변화 연구 (Changes of Landuse for Eight Years(1999~2007) in Greenbelt Area, Seoul)

  • 최진우;이경재;노태환;민성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25-1034
    • /
    • 2010
  •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es of landuse and environmental value of cultivate land for eight years from 1999 to 2007 year in greenbelt area, Seoul. Greenbelt area decreased from $166.82\;km^2$ in 1999 to $156.50\;km^2$ in 2007 according to removal policy. Regarding landuse status in 2007, forest field area accounted for 64.16 %, dry paddy area 4.10 %, facilitated farming area 3.82 %, rice paddy area 2.95 % out of total greenbelt area. Cultivate land occupied wide spaces with dry paddy area, facilitated farming area, tree nursery in Seocho-gu, Gangnam-gu and Gangdong-gu. Changes of landuse were serious in Seocho-gu. The trend of changes of landuse for eight years is that rice paddy area was changed dry paddy area by laying the ground and dry paddy area was changed facilitated farming area for intensive agriculture. Rice paddy area could change without permission by laying the ground in below 50 cm height and it was changed to green houses due to increase in profit and modern policy of agriculture. It is nessary to monitor landuse regularly, improve regulation for change of landuse, compensate a property loss for maintaining environmental value in greenbelt area.

개발밀도를 고려한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의 도시 토지이용 변화 모델링 (Cellular Automata Based Urban Landuse Change Modeling Considering Development Density)

  • 조대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7-133
    • /
    • 2008
  • 개발밀도는 현대 도시 관리의 주요 관심사임에도 불구하고 이론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지원 체계가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의 도시 모델링 방법론을 확장하여 개발밀도를 고려한 도시 토지이용 변화 모델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제안된 모델은 구조적인 측면에서 개발밀도를 명시적으로 고려할 분만 아니라 국지적인 밀도 변화를 직접적으로 추정한다. 개발된 모델을 1980년대 초$\sim$2000년대 초의 서울 도심부 토지이용 변화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제안된 모델은 토지의 용도 변화 뿐만 아니라 밀도 변화에도 유의미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제안된 모델은 데이터 구득의 한계로 인해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가지게 되었다. 더불어 모델의 보정 및 타당성 검토 방법론은 본 연구에서 충분히 검토되지 못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기후, 지하수 취수 및 토지이용 변화의 건기 총유출량에 대한 영향 (Effects of Changes of Climate, Groundwater Withdrawal, and Landuse on Total Flow During Dry Period)

  • 이길성;정은성;신문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11호
    • /
    • pp.923-934
    • /
    • 2006
  • 본 연구는 SWAT모형을 이용하여 기상, 지하수 취수량, 토지이용 변화에 대한 건기 총유출량의 민감도를 제시하였으며 더 나아가 건기의 총 유출량을 추정하기 위해 건기 총강우량, 전 우기 총강우량, 평균 일 최대온도, 일평균 태양복사량과 같은 기상 변수들과 지하수 취수량 및 도시면적 비율을 이용하여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식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건기 총유출량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온도와 강우량의 변화에 대한 건기 총유출량의 변화율을 제시하였는데 기후변화로 인해 온도가 상승할 경우 건기의 총 유출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 취수량은 총 유출량과 관계가 높은데 반해 토지이용 변화는 산간유역인 대상유역의 경우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식은 기저유출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강우와 기온 및 태양복사량을 포함하는 기상상태, 지하수 취수량, 도시면적 비율을 변수로 갖는 식이므로 기후변화를 비롯한 유역의 다양한 수문학적 변화에 대해 대상유역의 미래 건기의 수자원 확보량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업적 토지이용 패턴의 시공간 변화 탐색을 위한 공간통계 기법 적용 연구 (Research on Application of Spatial Statistics for Exploring Spatio-Temporal Changes in Patterns of Commercial Landuse)

  • 신정엽;이경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32-647
    • /
    • 2007
  • 많은 지리적 현상은 시간 변화에 따라 동적인 공간 패턴을 보이며, 이러한 동적인 공간 패턴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왔다. 그러나 기존의 많은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공간 패턴의 변화를 연속 또는 누적 측면에서 다루기보다는 특정 시점이나 기간 동안의 정적인 공간 패턴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시간 변화 과정에서 수반되는 공간 프로세스의 관성(inertia)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현상의 공간패턴을 탐색하는 새로운 공간통계 탐색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사례연구에 적용하는데 있다. 즉, 새로운 공간통계량을 제안하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을 통해 새로운 통계량의 z-값을 산출한 뒤, 시간 변화에 따른 공간 패턴의 변화를 누적 방식으로 탐색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간 패턴을 측정하는 J 통계량과 CUSUM 통계량이 결합된 방법을 제안하고, 사례연구로 최근 200년 동안 미국 뉴욕 주의 이리 카운티(Erie County)의 상업적 토지이용의 공간 패턴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시공간 패턴 변화 탐색 방법을 통하여 새로 구성된 공간통계량을 단위시간마다 누적적으로 반영하여 공간패턴의 연속적인 변화추이의 효과적인 탐색이 가능하였다.

도농통합형 도시에 있어서 생물서식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II) - 천안시 성환읍의 토지이용변화추이와 녹지구조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iotope's Characters of the Mixed Rural City(II) - The Analysis of Change in Land Uses and Forest Structure of Sunghwan in Chonan City using Remote Sensing -)

  • 이진희;방광자;김훈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8-47
    • /
    • 1999
  • The mixed rural city is adjusting to change by urbanization. The recent landcover change in mixed rural city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hanges structure and function of regional ecosystem. Landscape ecology is an integrated ecology widely available for environmental science such as natur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land-use planning. As the concern about environmental quality rises, many studies are trying to create and conservate for biotop. The creation of biotop is related to the plan and management of the effective landuse because the important factor to chang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cological area in the countr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landuse plan to analyze the change of landuse and to plan the scheme in creating biotop and landuse. We used the approach of ecological landscape and using landscape indices with RS(Remote Sensing) an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echnology,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areas and distribution of forest patches were examined in the Sunghwan in Chonan from 1985 to 1996. A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rea of forest and paddy decreased by urban sprawl. The size of patch in the forest and agriculture had been smaller and irregular form, heterogeneity of size of forest and agriculture patches within sub-basin was increased, pattern of forest and agriculture patches decreased the corridor and network from 1985 to 1996.

  • PDF

ANALYSIS OF LANDUSE PATTERN OF RIVER BOUNDARY USING TIME-SERIES AERIAL IMAGE

  • Lee, Geun-Sang;Chae, Hyo-Sok;Lee, Hyun-Seok;Hwang, Eui-H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764-767
    • /
    • 2006
  • It can be important framework data to monitor the change of land-use pattern of river boundary in design and management of river.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land-use pattern of Gab- and Yudeung River using time-series aerial images. To do this, we carried out radiation and geometric correction of image, and estimated land-use changes in inland and floodplain. As the analysis of inland, the ratio of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educational and public area, that is urbanized element, increases, but that of agricultural area shows a decline on the basis of 1990. Also, Minimum Distance Method, which is a kind of 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is applied to extract water-body and sand bar layer in floodplain. As the analysis of land-use, the ratio of level-upped riverside land and water-body increases, but that of sand bar decreases. These time-series land use information can be important decision making data to evaluate the urbanization of river boundary, and especially it gives us goodness in river development project such as the composition of ecological habitat.

  • PDF

아산호 용수공급용량 유지를 위한 적정 준설량 산정 (Estimation of the Optimal Dredge Amount to Maintain the Water Supply Capacity on Asan-Lake)

  • 장태일;김상민;강문성;박승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2호
    • /
    • pp.45-55
    • /
    • 2006
  • This study analyze the hydrologic conditions and the effects of selected runoff characteristics as an attempt to estimate the optimal dredge amount for Asan Lake in Korea. The runoff feature was calculated by utilizing the water balance simulation from DIROM (Daily Irrigation Reservoir Operation Model), which allowed changes in landuse to be quantified using remote sensing for 14 years. The distribution of prospective sediment deposits was been tallied based on the changes in landuse, and quantity of incoming sediment estimated. From these findings, we were then able to simulate the fluctuation of water level, gauging the pumping days not already in use,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the distribution for around the. requirement annual water storage and the changing water level. The optimal dredge amount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distribution of frequency, taking into account the design criteria for agricultural water with the 10-year frequency of resistant capacity.

A study on water quality change by land use change using HSPF

  • Kim, Tae Geun;Choi, Kyoung-sik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123-128
    • /
    • 2020
  •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 reductions were calculated using the Hydrologic Simulation Program-Fortran (HSPF) model under the assumption that landuse pattern was changed according to land purchases. Upon the simulation of non-point pollutant and areas with high land purchase ratios to select a buffer zone, the Namgang dam Reach 11, Imha dam Reach 10, and the Reach 136 watershed of the main river were found to rank high for the construction of buffer zones. Assuming that the forms of the purchased lands were changed to wetlands,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loads were changed through the HSPF model. No changes of BOD were present in the Namgang dam and the Imha dam watersheds. BOD loads in Reach 136 according to landuse change were analyzed through a flow duration analysis based on the total maximum daily loads of the United States. The flow duration analyses undertaken to examine changes in BOD of main river Reach 136 watershed indicated a shift of 0.64 kg/d from 3.16 to 2.52 during high flow. The change of BOD under the conditions of moist, mid-range and dry were 11.9%, 9% and 4.5%. At the low flow condition, the variation range in the BOD load was from 0.58 kg/d to 0.41 kg/d.

리조트 개발사업에서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부하량 변동 산정 (Changes of NPS Loading Rates by Landuse Changes in Resort Development)

  • 정용준;이은주;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3-31
    • /
    • 2006
  • 환경부에서 국내 4대강에 도입한 수질오염총량관리제는 점오염원뿐만 아니라 비점오염원의 관리를 통해 주요 상수원수인 4대강의 수질을 개선하고자 함dl다. 비점오염원의 주요 근원은 토지이용이며, 개발사업은 토지이용의 변화를 의미하고 비점오염물질의 유출 증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가 도입되어 있는 한강수계의 리조트 개발사업에서 개발계획에 따른 토지이용의 변화와 더불어 유출이 증가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양을 추정함으로써 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발사업 전후의 토지이용에 따른 비점오염물질의 발생 및 배출 부하량 변화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비점오염물질 유출 관리가 요구되는 토지이용을 선정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이용하여 적정 비점오염물질 관리방안(최적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