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Research

검색결과 3,097건 처리시간 0.029초

Appleton과 Bourassa의 ′경관미학′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Theory in the Aesthetics of Landscape: A criticar neview of J, Appleton and S. Bourassa)

  • 배정한;조정송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22
    • /
    • 1995
  • Philosophers Of aeBthetics have tended to limit their Suhject to include only objects Of art. In contrast to art objects, landscapes include elements of both art and nature, and the aesthetic experiences of landscape are ordinarty ones. Thus, the theoretical alternatives, that cannot be like the traditional aesthetic dogma of art, must be explored. Jay Appleton's theory is the firsts attempt to develop a comprehensive theory of landscape aesthetics. He concentrates on the question 'what do we like about landscape and why do we like it ' He takes the assumption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of landscape is pleasurable or satisfying, and suggests the biologically oriented theory, called 'prospect-refuge theory.'Although his theory is stimulating and highly speculative, it depends on the 'aesthetic attitude' theory of Kantian thought. His theory can be criticized for its biologically deterministic nature and its reductionism To respond to Appleton's shortcomings, that is,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biological and cultural explanations of aesthetic experience of landscape, Steven Bourassa tries to combine biological, cultural, and personal modes in a comprehensive paradigm for research in landscape aesthetics. This tripartite paradigm seems to promise to be meaningful if helping to pose important questions as well as in. avoiding conceptual errors about aesthetic domain of landscape. However, Bourassa's theory fails to integrate such three separate kinds of moder In the final analysis both Appleton and Bourassa present same succeases in expanding the scope of aesthetics to embrace landscape. Most important for a theory in landscape aesthetics must be its ability to enlarge our awareness of the aesthetic domain and its sound logic and evidence to criticize our problematic beliefs about he aesthetic idea of landscape.

  • PDF

장소기억을 통한 문화경관의 층위 해석 - 형용사를 사용하여 - (An Interpretation of the Cultural Landscape by Using Adjectives on Place Memory of Local People)

  • 박재민;김무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18
    • /
    • 2014
  • 본 연구는 최근 문화경관을 바라보는 새로운 도구인 장소기억과 형용사를 이용하여 경관의 숨겨진 구조와 특징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반표준화 인터뷰를 사용하였으며 생애사적인 관점에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산업화 시기를 거쳐 탈산업화 시기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 근대 산업도시 장항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가 바라보고 있는 경관은 정지하거나 고정된 것이 아닌 시간의 흐름 속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해 왔으며, 장항의 경우 산업화, 한국전쟁과 탈산업화에 의해 크게 구분되었고 그 속에는 수많은 기억의 층위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소수자와 개인의 집단기억은 사라지고, 지역의 산업발전을 상징하는 이미지만이 드러나고 있었다. 특히 일부 경관 이미지는 왜곡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소에 관한의 계보를 통해 그 위치와 이유를 밝혀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억을 통한 경관 읽기의 가능성을 살펴보았으며 형용사를 사용하여 구체화하였다. 더불어 우리가 바라보고 있는 경관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은 모습의 경관인지를 한번 의심해 볼 필요가 있음을 이야기하고자 하였으며, 경관의 생산자인 설계자와 계획가로서 또 다른 왜곡된 기억을 재생산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하였다.

종묘 주변지역의 현상변경 실태 및 경관가시성을 고려한 경관보존.관리방안 (Measures to Implements the Landscap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n Consideration of Changing the Actual Condition and Landscape Visibility in the Surround Area of the Jongmyo)

  • 서주환;오지훈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8-126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 종묘 주변지역의 현상변경실태 및 경관가시성을 분석, 평가한 후 경관보존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종묘 주변지역의 현상변경실태와 경관통제점 및 시각회랑에서의 경관가시성을 분석한 결과, 첫째, 종묘의 서쪽과 동쪽지역에서 현상변경신청이 주로 발생하고 있으며,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와 종묘의 경관보존이 서로 대립하고 있고, 종묘 주변의 경관 보존 관리가 점점 압박을 받고 있어 적절한 법적 관리방안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경관통제점과 시각회랑에서 경관저해요소로 나타나는 건물은 스카이라인을 해치고 있으며, 문화재의 배경 보존적 측면에서도 종묘와 이질적인 형태의 현대식 건물이 조망됨으로써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종묘 주변의 토지이용과 조망을 고려한 경관보존적 측면에서 종묘의 문화재보호를 위하여 특성에 맞는 토지이용방안을 설정하고 관리의 틀을 제안하였다.

국내 경관자원 조사 현황과 향후 과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the Landscape Resources Survey in Korea)

  • 주신하;신윤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7-42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의 경관자원에 대한 유형별 평가 현황과 해외 경관자원 평가사례를 비교분석을 통하여, 경관자원 평가 체계에 있어 평가방법, 평가기준, 활용방안 등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경관자원 평가의 의미와 중요성 등을 파악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경관자원의 정의와 유형을 검토하고, 경관자원에 관한 평가방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12개 국내 경관자원 조사 및 평가 사례 비교를 통해서 우리나라 경관자원 관련 조사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5개의 외국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경관자원 관리체계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12개의 국내 경관자원 조사 현황과 향후 과제로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종합하였다. 첫째, 경관자원 조사 기준이나 선정 절차에 있어 보다 객관적인 기준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경관자원의 다양한 가치를 포함하고, 지역민들의 참여를 확대하며, 명확한 평가기준 제시가 매우 중요하다. 두 번째로는, 경관자원의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경관자원에 대한 재평가제도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경관자원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조사된 경관자원을 영향평가나 경관계획과 같은 다른 제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유형의 경관자원을 포함한 종합적인 경관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된 경관자원 조사에 대한 현황 파악과 해외사례 검토를 통한 시사점 도출에 그치고 있어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나, 국내외 경관자원 조사현황을 분석하여 경관자원에 대한 평가방법, 기준, 활용방안 등을 파악을 통하여 향후 경관자원관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경관인식에 따른 산지경관 관리 가치 연구 (Mountainous Landscape Management Value by Landscape Recognition)

  • 민수희;장효진;정윤희;송정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70-78
    • /
    • 2018
  • 본 연구는 국토의 골격을 형성하는 산지경관의 보전과 여가 휴양 및 복지 등의 다양한 산지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합리적 경관관리 수단이 요구되는 시점에 실제 경관을 바라보고 인식하는 주체인 일반인을 대상으로 산지경관 인식을 조사하고, 산지경관 관리를 위한 지불용의성 평가(WTP)를 통해 경제적 가치를 추정함으로써 산지경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국토경관과 산지경관 인식비교 결과, 산지경관은 경관미 3.96, 관리수준 만족도 3.28, 관리의 필요성 4.38로 국토경관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국토경관의 경관미는 만족하나 관리 수준이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경관이 아름다운 지역으로 수려한 산지경관자원이 풍부한 제주(39.0%), 강원(38.6%) 순으로 선정되었다. 이들은 산지경관의 광활한 스카이라인과 지역의 배경이자 랜드마크를 형성하는 산지경관의 심미적 특성을 높게 평가하였으며, 개발사업 전산지경관영향검토 수행 필요성에 대해 응답자의 86.8%가 찬성함으로써 산지경관 관리에 대한 의식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지경관 관리를 위해 지불하고자 하는 1인당 지불의사금액은 3,742원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는 2016년 산악형 국립공원 방문객 수를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1,695억 원의 경제적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산지경관은 행정주체의 정책만으로 관리하기에 한계가 있다. 국민의 경관인식 현황을 진단함으로써 경관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실효적인 정책방향 수립과 산지경관 관리가 추진되길 기대한다.

고문헌을 제재(題材)로 한 전통경관연구의 경향분석 (Trends of Scenery Research with a Old Literature Subject Matter)

  • 김묘정;정기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4-52
    • /
    • 2014
  •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 고문헌을 제재로 한 전통경관연구의 경향을 파악하여, 고문헌자료 활용에 있어 전통경관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경관연구의 경향분석을 위해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한국전통조경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을 조사 분석하여 전통경관연구의 고문헌자료 활용을 고찰하였다. 고문헌을 통한 연구논문의 수량은 2009년까지 한해에 2~3편 정도인 것이 2010년부터 8편 이상으로 많아졌다. 고문헌자료의 활용경향은 국역본을 사용하거나 개인문집의 일부를 번역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원문사용에 있어서도 간혹 번역문만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원문번역에 대한 고증부분이 미진한 점도 나타났다. 결과에 의해 전통경관연구의 방향을 아래와 같이 제안해 볼 수 있다. 원문의 효율적인 이해나 검증을 위해 원문과 번역본을 같이 제시하고, 번역의 출처도 명기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현황을 기록한 기문인 경우에는 조경 및 경관의 전문성이 갖추어진 번역 역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고문헌 자료의 분석에 있어서도, 시문과 기문 등을 병행한 전통경관 분석은 풍부한 자료로 인해 경관의 위치 및 장소 추정이 용이하므로, 기문 등을 근거로 연구의 기초를 잡은 후, 보완적으로 시문을 활용하는 등의 연구접근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2차원 지질시간 규모 수치지형발달모형의 활용과 개발을 위한 이론적 토대 (Theoretical Framework for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wo-dimensional Numerical Landscape Evolution Models on a Geological Time Scale)

  • 변종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31-350
    • /
    • 2011
  • 컴퓨터 기술이 발달하면서, 지질시간 규모에서 다양한 지형형성작용들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한 지형발달을 모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들어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2차원 지질시간 규모 수치지형발달모형을 소개하며, 특히 지질 시간 규모에서 주요한 지형형성작용들을 모형화하기 위한 접근 방법들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수치지형발달모형은 지형체계를 구성하는 체계요소와 이들 간의 관계를 미분방정식으로 표현한 후 이의 해를 수치적으로 구함으로써 지형발달을 모의한다. 수치지형발달모형 연구는 장기간에 걸친 지형체계요소들간의 관계를 정량적 관점에서 최대한 단순하게 모형화하고 이를 결합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고, 후대 연구자들에 의해 보다 정교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소개한 이론들은 수치지형발달모형을 한반도에 적용하거나 개발하려는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하천의 이용행태와 물리적 요소에 대한 만족도 (Us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Physical factors of Urban Rivers)

  • 김용수;이동명;박찬용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4권
    • /
    • pp.17-2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design and reflect to the future naturalization of the urban rivers by using the literatures, field survey results and aerial photography of Milyang River as the case regarding the effect of physical factors of urban rivers on landscape, defining those factors as Sammon fine forest, outdoor stage, Youngnamlu, RC stadium, stroll roads and bicycle roads, artificial island, outdoor swimming pool and sculpture park, and by suggest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according to those factor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to understand the users' satisfaction and attribute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applied, the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 calculation were used to find out the citizenship and perception toward the physical factors, and paired-sample T test to compare the average.

  • PDF

도시주변 산의 경관보전 및 관리를 위한 GIS의 이용 (The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ountain Landscape around City)

  • 김성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123-134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도시주변 산의 자연 및 경관을 보전하고, 개발에 따른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토지이용 정책결정에 GIS를 활용하는 기법을 연구하였다. 사례연구 대상지는 서울 불한산의 구기동, 평창동 지역이었으며, 이 지역의 경관보전을 위해 경관요소를 자연경관요소를 자연경관요소의 보존, 시각적 경관구조의 보전, 사면 안정성 재해의 예방으로 나누었다. 이들 각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입력, GIS TIN및 OVERLAY모듈에 의해 종합분석하여 경관관리를 위한 등급도면을 만들고, 이에 따른 토지이용계획안을 제시하였다.

  • PDF

아파트 옥외공간의 조경 변천에 관한 연구 - 법규와 법조문의 변화를 중심으로 - (The History of Transformation of Outdoor Landscape in Apartment Complex - Focused on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laws and Regulations -)

  • 김대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9-47
    • /
    • 2003
  • This research traces the history of legislative matters regarding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outdoor landscape in apartment complex. The years before 1976 can be classified as 'a period of darkness' for the landscape in apartment complex due to absence of landscape legislation. From the year of 1977 when the landscape planting and mere necessitie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local administration's building standard to the year of 1990 can be classified as 'a period of quickening'. The year of after 1991 when the enactment of the code#32 called "the green space in site" in the "Korea Building Code" and the "Korea Housing Standard & Regulation" was made, and various construction regulations and provisions were revised in order to improve the scantiness of the apartment complex and its environment should be called 'a period of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