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Research

검색결과 3,081건 처리시간 0.033초

유기농업단지 주요경관요소의 물리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Management of Major Landscape Elements in Organic Farming)

  • 안필균;공민재;이상민;김상범;조정래;김남춘;신지훈
    • 농촌계획
    • /
    • 제26권2호
    • /
    • pp.107-116
    • /
    • 2020
  • Up to date, the majority research on the major landscape elements in organic farming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practice of seeking efficiency. The problem is that this type of study contributes to polluting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damaging the ecological circulation system. As an alternative, there is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organic farming, but it is not widely applied that research on how to manage the landscape considering the scenic characteristics of farming villages practicing organic farm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conservative aspects of rural landscapes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the landscape of organic agriculture and, intended to be used to maintain and preserve natural and ecologically harmonious landscapes by deriving management methods suitable for landscape elements targeting the major landscape elements of the organic farming complex. To carry out, this study performed the experts survey which is composed of 13 major landscape elements, including rice paddies and fields, monoculture and diverse crops, dirt roads, windbreak trees, accent planting, dum-bung(small pond), natural small river, natural waterways, plastic film houses, one-storied houses, and pavilion. As a result, Farm land was formed in a square shape, concentrated in an independent space, planted companion plants around the crop, and covered with plants to manage the borders. As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was analyzed that the aspart road system circulating through the village, the evergreen broad-leaved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ultivated land, and the accent plant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were suitable. The hydrological environment consists of Round small pond made of stone in an open space, natural rivers around the village, and natural channels around the farmland, and The Major facilities are suitable for greenhouses that are shielded by plants in independent regions, and wooden duck houses located inside the cultivation area are suitable and The settlement facilities were analyzed to be suitable for single-story brick houses located in independent residential areas, pavilion located with greenery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and educational spaces shielded with wood from arable land. If supplementary evaluation criteria suitable for the management of organic farming landscape are additionally sup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enhance the landscape value of ecologically superior organic farming.

도시녹지 평가를 위한 경관지수의 스케일 민감성 분석 (Analysis of Scale Sensitivity of Landscape Indices for the Assessment of Urban Green Areas)

  • 이인성;윤은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69-79
    • /
    • 2008
  • 경관지수는 면적 및 밀도, 모양, 중심지, 고립 및 접근, 접촉 및 산포, 연결성 등 경관생태의 공간적 구조와 패턴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현재 100개 이상의 경관지수가 개발되어 많은 연구들에 이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경관지수는 공간해상도 및 분석범위 등 분석 스케일에 따라 다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서 오류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경관지수의 스케일 민감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복잡한 경관생태에서 비교적 안정적 결과를 도출하는 지수들을 선별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5개 연도 - 1985, 1991, 1996, 2000 및 2003년 - Landsat TM/ETM+ 영상을 이용하여 20 범주의 셀 크기와 41 범주의 분석범위에 대해 FRAGSTATS에 탑재된 54개 클래스 수준 지수의 민감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4개 클래스 수준 지수 중 19개 지수가 스케일 변화에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편화 정도가 지수의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며, 녹지비율 $40{\sim}50%$를 기준으로 지수반응 패턴이 변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셋째, 국내 관련연구에서 빈번히 이용된 16개 지수 중 6개만이 우리나라의 복잡한 경관생태에서 안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는데, 이는 단편화 정도 및 녹지비율에 따라 세심한 지수 선정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효율적 조경공사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과업범위설정관련 기초 연구 (A Fundamental Research on Scope Definition for Efficient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Project)

  • 주상현;이재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6-110
    • /
    • 2008
  • 토목이나 건축공사와는 달리 조경공사 프로젝트는 그 공정상의 특수성과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해 공정관리나 프로젝트관리에 대한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건축이나 토목 프로젝트 관리 차원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과업범위설정에 대한 개념을 조경프로젝트에 적용해 보는 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큰 유익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파업범위설정은 적용을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나 시간적 투자 없이 간단한 절차를 통해 시행해 볼 수 있다는 것이고 둘째, 과업범위설정과 관련된 절차를 통해 얻어지는 결과는 매우 실질적이라는 점이다. 본 연구는 국내 조경공사 프로젝트 수행 시 수반되는 과업범위설정 과정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또한, 효율적인 조경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과업범위설정을 돕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해 조경공사 프로젝트의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문헌 연구와 설계사례 분석 그리고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3개 분야 8개 부분의 50개 요소를 조경프로젝트 성공요소로 도출하게 되었다. 도출된 요소들은 조경공사 프로젝트 참가자들 간의 과업범위설정 수준을 향상시키며 효율적인 조경 공사 프로젝트 수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재현 혹은 실천으로서의 경관 -'보는 방식'으로서의 경관 이론과 그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Landscape as Representation or Practice: Focu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Theory of Landscape as 'a Way of Seeing')

  • 진종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57-574
    • /
    • 2013
  • 이 논문은 1980년대 이후 신문화지리학의 경관 연구에서 도출된 이론적 쟁점에 주목하여, 경관의 '재현'과 '이중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신문화지리학의 경관 연구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비평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신문화지리학의 경관 이론을 고정되어 있고 폐쇄적이며 완결적인 이론 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내적으로 다양성과 차이가 뚜렷하고 시간에 따라 진화 혹은 변화해 온 이론과 방법론으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주장한다. 최근 문화지리학의 현상학적 전환를 통해 문화지리학자들은 비재현 이론에 기초한 대안적 접근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는 재현적 지리학에 대한 전면적인 성찰과 비판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경관을 재현보다는 수행과 실천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경관 연구 비판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검토하는 것이다.

  • PDF

국내외 조경식물의 규격 및 품질기준 비교분석 (A Comparison of the standard and instruction for grade and quality of Landscape Plants in foreign countries and korea)

  • 권영휴;김석진;박채란;한상균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7권1호
    • /
    • pp.73-84
    • /
    • 2015
  • Comparison of the standard and instruction for grade and quality of landscape plants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indicates that the individual country characteristically develops and uses their own standards for landscape plants. Ultimate aim of these regulations is to develop the standard of landscape plants classified by kinds, types and purpos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andscape plant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of standards and instructions for landscape plant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such as Germany, Switzerland, America, Canada and Japan. Our results indicated that Korea and Japan used the diameter at 1.2m above from ground surface for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whereas Germany and Switzerland at 1.0m above from ground surface. In case of America and Canada, the standard of landscape plants included crown width, height and DBH of plants. In Germany, the standard for creeping plants and herbaceous flowers was determined by the type and the root size of plants with the standard of containers(seven to eleven types). This research would be helpful for developing the practical and environmentally suitable guideline for the grade and quality of landscape plants and also for developing the standardized distribution structures and cultivation techniques for landscape plants in Korea.

도시 비오톱의 경관생태학적 특성분석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Ecologi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in Urban Biotopes - The Case of Metropolitan Daegu -)

  • 나정화;이정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8-14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esent characteristics for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s and classification method of biotopes as basic data for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in Metropolitan Daegu.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tudy identified fifteen characteristics for classification of biotopes. Ecologi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structural and functional factors. There are six structural factors such an inclination, and nine function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2) The study area was separated into sixty eight biotope types. For example, an industrial district was divided into two biotope types: a biotope type of an industrial district with abundant green space, and a biotope type of an industrial district with scarce green space. 3) In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using the average linkage method between groups, biotope groups were divided into fifteen clusters and biotope groups were divided into seven clusters. Each cluster was name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or example, cluster 8 was identified as a biotope type with an impermeable pavement rate of more than 90 percent and an afforestation rate under 10 percent. 4) Fifteen biotope groups were converted to land use patterns for remote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urban biotope in city planning. Biotope groups of a building area beyond an intermediate floor with an afforestation rate under 20-30 percent was converted to a land use pattern such as a tall apartment complex or commercial district. Whe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that were established in this research, there was a limit to achieve the objective of grade-classification because of a lack of related basic data. The research of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s could not be completed due to a lack of time and resources, thus the study of ecologi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will be accomplished over time.

디지털 게임 내 가상경관 분류 기준 확립 및 대표 유형 산출 (Virtual Landscape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Representative Spatial Types in Digital Games)

  • 김익환;이인정;이지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9-28
    • /
    • 2016
  •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게임 속 공간이 다채로운 모습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이를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은 끊임없이 강조되고 있지만 디지털 게임 공간을 설계하는 방법론을 구축하는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게임 속 공간들을 유형별로 분류 및 정의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디지털 게임 공간을 분류하는 다섯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해당 기준들은 각각 '서술형태, 협업 정도, 상호교환 정도, 공간 동작 차원, 공간 형태' 이다. 이후 본 연구는 확보된 기준들을 바탕으로 20년간 가장 주목받은 게임들 분류하여 그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세 가지 대표 공간 유형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해당 분류 방법론은 디지털 게임 공간 설계 및 구현 인원들에게 디지털 게임 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제공할 것이며, 나아가서 가상경관 설계 방법론을 구축함에 건축 및 조경의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각종 설계 방법론의 차등적 적용이 가능하게끔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제주(濟州) 향토(鄕土) 돌문화경관(景觀)자원의 인지적 특성 분석 -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Resources of Je-ju Local Stone Culture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China -)

  • 임진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32-141
    • /
    • 2020
  • 본 연구는 세계적 유산 가치를 지닌 제주도 돌문화경관자원에 대한 기초적 조사로써 다양한 제주 향토자원의 우수성과 앞으로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적 자료 제공에 궁극적 목적이 있다. 제주 돌문화자원의 경관적 특성을 도출하고자 문헌연구와 함께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돌문화자원에 대한 인식 및 이미지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이에 한·중국인이 가지는 있는 제주돌문화경관의 인식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제주의 대표적 향토자원은 돌이고, 그것의 큰 특징은 자연성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돌문화자원의 이미지에 있어 "조화로운", "매력적인",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높게 평가하였고, 밭담을 "아름다운", 돌하르방을 "친근한"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한·중인이 가장 선호하는 돌문화자원은 밭담과 돌하르방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선호도에는 서로 차이가 존재하였다.

산림경관계획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Forest Landscape Management Plan)

  • 박찬우;정미애;이연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300-308
    • /
    • 2015
  • 국내에서는 2007년 경관계획제도가 시작되었다. 산림관리의 장기성과 광범위성을 생각하면 산림경관 관리의 계획적 접근은 필수불가결한 일이나 산림경관계획은 거의 수립되지 못하고 있다. 계획 수립에 필요한 식견의 부족도 하나의 원인으로 판단된다. 산림의 특성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계획 수립을 위해 산림경관요소의 도출과 산림경관계획 작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산림경관요소(산림경관유형)는 4개의 중분류(지형자원, 수자원, 식생자원, 인문자원)와 12개의 소분류(지형자원:능선 파노라마, 기암봉우리와 암릉, 수자원:폭포, 계곡과 계류, 호수와 도경, 식생자원:수관층 풍경, 주능선의 철쭉, 능선사면의 단풍, 초본군락의 꽃밭, 임내풍경, 숲길풍경, 인문자원:시설물)로 구성되었다. 산림경관계획 작성 시 제안사항으로 유형별 계획 단계의 경관권역계획 작성 시 산림의 6개 기능의 검토 필요성과 요소별 계획단계에서는 주능선, 계절감, 산림수변, 암석자원 경관관리계획 수립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산림경관관리 방향 설정을 위한 지자체 관리자 의식분석 (Study on the Local Officials' Awareness for Direction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 김재준;박찬우;강민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603-610
    • /
    • 2010
  • 본 연구는 산림경관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가 증가함에 따라 체계적인 보존 형성 관리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기 위하여 현장에서 관리주체가 되는 지자체 관리자를 대상으로 산림경관에 대한 인식, 경관관리 현황, 경관관리를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응답한 105명의 지자체 관리자들은 산림경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산림경관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지만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경관관련 각종 정보 및 제도적 장치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해 '지속유지' 속성 4개, '노력 집중화 지향' 속성 4개, '낮은 우선순위' 속성 3개, '과잉노력 지양' 속성 4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경관관리 방향이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