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Information

검색결과 1,102건 처리시간 0.024초

DEVELOPING THE REFORESTRATION SIMULATION SYSTEM USING 3D GIS

  • Jo Myung-Hee;Jo Yun-W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721-724
    • /
    • 2005
  • In this study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s of forest in forest damaged area were first considered by analyzing spatial data and monitoring forest landscape. Then suitable tree species on each site were selected through the weighted score analysis of GIS analysis methods. Finally, the best forest stand arrangement method could be presented on the 3D based simulation system for the advanced reforestation technology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virtual reforestation system was implemented by using the concept of virtual GIS and CBD (Component Based Development) method. By use of this system the change offorest landscape of burnt forest area some years after reforestation practice could be detected and monitored by applying the site index and 3D modeling method.

  • PDF

GIS를 이용한 가시권정보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제주 산방산 지역 사례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technique of visual information by GIS)

  • 최기만;이춘석;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1-42
    • /
    • 1997
  • Visibility has been used for Visual Impact Assessment and Buildingheight Contr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aborate visibility analysis technique in GIS, and to design a visual information system baed on this technique for diverse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By classifying visibility analysis techniques into two groups, Each one's merits and demerits were investigated. Practically GIS visibility analysis by DTM model using contour map and investigating it by means of site-observation can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2) A visibility analysis techniquwe for V.I.A. and B.H.C. was presented by studying GIS visibility analysis by means of DTM model using contour map. There were 5 problems. 3) Adequate analysis technique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landscape factor-road, ship-route, port, mountain, etc. 4) Viewing distance from road and ship-route in visual corridor, landma가 visibility and distance, the angle of incidence and invisible region's depth are helpful for land scape management or land use planning.

  • PDF

GIS와 RS를 이용한 오대산국립공원의 경관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Odesan National Park by using GIS and RS)

  • 한갑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14-12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오대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수치표고모텔, 용도지구 및 토지피복분류도를 작성하여 경관특성을 파악하고, 가시권분석을 통해 시각적 경관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분석결과, 용도지구는 자연환경지구의 면적이 감소하고 자연보존지구가 상대적으로 확대되어 보전의 성격이 강화된 반면, 취락지구도 면적이 증가하여 개발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토지피복은 자연환경지구에서 농경지 및 도시지역의 증가가 나타났다. 가시권분석을 통해 가시중복도가 높게 나타난 지역은 대부분 자연보존지구였으며 산림지역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일부지역은 자연환경지구 내에 포함되어 지속적인 경관관리가 요구되었다.

  • PDF

경관시뮬레이션을 통한 건축물 높이관리에 관한 연구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Height of Buildings using Urban Landscape Simulation)

  • 이동현;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32-141
    • /
    • 2007
  • 그동안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내에서는 재건축이나 재개발사업으로 인해 고층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당초의 도시기반시설의 수용용량을 초과하거나 기존의 도시경관과 부조화로운 개발행위가 나타나는 등 도시관리상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릉지와 평지로 대표되는 수정지구와 양정지구를 대상으로 경관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고층개발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를 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구단위 계획구역과 개발밀도관리구역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으며 평균높이제도를 도입하여 주변과 조화로운 스카이라인을 형성시킬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

부산시 하천의 아이덴티티 구성요소로서 도시 환경색채 연구 (A Study on Urban Environmental Color as Identity Component of Busan City River)

  • 최지혜;김치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0-123
    • /
    • 2009
  •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하천의 복귀를 논의 하는 등 현 시대의 발전에 물을 중심으로 발전되어온 우리의 문화에서 물이라는 매개체가 주는 역할을 강조하면서 친수공간의 발전이 사람들의 심리에 주는 안정감과 청량감을 준다는 관점에서 도심 속 하천 중요성을 인식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경관대상에 따른 유형분석과 색채경관의 자료를 수집하여 색채경관 이미지를 평가하여 색채관리의 필요성과 이를 근거로 구체적인 경관형성의 계획을 제시함으로서 사례지구의 기본 틀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PDF

자연경관 이미지를 활용한 바이오필릭 디자인 색채 팔레트 (A Biophilic Design Color Palette Using Natural Landscape Image)

  • 이은지;박성준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2호
    • /
    • pp.31-41
    • /
    • 2019
  • Biophilic design gives human beings positive and valuable experiences in nature. The experience in nature in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is mainly symbolic and metaphorical, and is based on visual sensations such as color, form, and image. Recently, modern people living in a modern and simple style indoor space have a desire to pursue visual stimuli for interest or pleasure. This desire can be satisfied through color, lighting, and finishing pla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biophilic design color palette based on the empirical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biophilic design.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iophilic design factors and natural landscape preference criteria are examined. Second, based on the review results, natural landscape images are selected and color information for each biophilic design element is extracted according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ird, color information is converted to NCS color code and palette range and hue range a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ratio and average values.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biophilic design color palette is proposed for each el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useful as basic data in establishing biophilic design strategies and applying them to architecture and interior construction.

1인 미디어 블로그(Blog)가 포착한 선유도공원 경관 (The Landscape of Seonyoo-do Park Captured in One-Person Media Focusing on Blogs)

  • 박선희;김연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64-73
    • /
    • 2011
  • 본 연구는 영화, 소설, 풍경화와 같은 재현 매체를 이용한 경관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1인 미디어인 블로그(blog)에서의 선유도 경관의 소통 방식과 내용을 검토하였다. 여기에는 정보화 사회의 영향으로 일반인들도 경관 해석과 이에 따른 결과물 생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전제가 있었고, 조경 분야에서는 이러한 현상의 가능성과 한계점에 대해 논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다루는 바는 첫 번째는 블로그에서 많은 호응을 얻고 있는 선유도공원의 경관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다. 두 번째는 블로그에서의 경관 포착 방식과 해석의 특성이다. 여기에는 전분가 집단 내 담론과의 관계도 포함된다. 세 번째는 블로그에서 포착하고 해석한 경관을 통해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한계점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다. 인터넷에서 검색된 '선유도공원' 관련 블로그 1,000건을 포스팅의 목적에 따라 세 가지로 유형화했다. 첫 번째는 '사진, 출사, 사진 찍기 좋은 곳, 풍경'이라는 키워드로 검색되는 블로그의 포스트들이다. 이들은 선유도공원 정관의 시각적 측면에 집중하고 있다. 두 번째는 '국내 여행, 서울 여행, 여행, 추천'이라는 키워드로 검색되는 것들로서, 여가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간으로서 선유도 공원에 대한 소개를 주고 담고 있다. 즉, 공간으로서의 효용가치를 다룬다. 그리고 마지막은 선유도공원에서의 개인적인 경험을 기록한 포스트들로서 사진의 피사체는 자신이나 동반한 이들이 된다. 검색 결과, 세 번째 유형이 가장 많았다. 이 세 가지 유형을 토대로 블로그들이 경관을 다루는 방식을 살펴볼 때, 먼저 사람들은 경관을 기록하는 차원을 넘어 연출하는 등 경관 포착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고,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경관을 해석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경관과 장소의 재생산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감상과 느낌의 기록은 전문가들이 평가하고 추측했던 바를 보다 구체적이고 체험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더 나아가서 전문가 담론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것들과 공원의 유지관리 및 운영에 대한 언급도 있어 전문가 실천에 대한 모니터링 자료로 활용 가능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부정적 측면도 있었다. 블로거들은 경관을 극화시키거나 비슷한 장면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일종의 이미지화장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먼저 연구 대상인 블로그 자체가 주관적이고 개인적이라 해석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것이다. 더불어 하나의 포스트에 다양한 사진이 포함되고 날의 범위도 넓어 내용의 유형화와 계량화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블로그 같은 1인 미디어를 통해 경관과 현대인의 관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기에, 조경분야는 이를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해야 할 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경관지수를 활용한 낙동강 유역 산림경관의 시계열적 패턴 분석 (A Temporal Structure Analysis of Forest Landscape Patterns using Landscape Indic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 정성관;오정학;박경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5-156
    • /
    • 2005
  • 파편화와 같은 인위적 교란은 산림생태계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산림의 양적인 분포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패턴을 분석하는 것은 산림생태계를 관리하는 기본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생태계의 건전성 평가 및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경관지수와 GIS 기법을 활용하여 낙동강 유역에 분포하는 산림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필요한 공간정보는 환경부에서 발행한 토지피복분류도를 이용하여 구축하였으며, 경관지수 상호간 정보의 중복을 배제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6개의 지수(LPI, PD, ED, MSI, CPLAND, IJI)를 선정하였다. 경관지수를 이용한 산림경관의 구조적 패턴을 분석한 결과, 낙동강 본류에 분포하는 유역들에서 파편화 정도가 다른 유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낙동상주 유역과 낙동밀양 유역은 산림의 양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불안정한 상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유역에 대해서는 지역의 환경조건에 부합하는 산림복원 등의 생태적 관리를 위해 현장검증 및 영향인자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경관유형의 특성분석 (An Analysis of Landscape Type Characteristics using the Technology of GIS and Remote Sensing)

  • 한갑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17-128
    • /
    • 2003
  • 본 연구는 춘천시를 대상으로 수치표고모델, 토지이용 데이터 및 토지피복분류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토지이용 CG(computer graphics)화상과 토지피복 CG화상의 작성과 가시권분석을 통해 광역적 도시경관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토지피복분석의 결과, 1989년에서 2000년까지 시가지는 $7.7km^2$ 증가하였으며, 녹지는 $12.7km^2$가 감소하였다. 용도지역상 시가지, 개발제한구역, 녹지지역 등에서 녹지의 감소와 시가지의 증가가 나타났다. 춘천시의 도시경관은 3개의 유형으로 대분할 수 있었다. 유형1은 개발제한구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경관, 유형2는 자연녹지, 생산녹지 등의 녹지를 중심으로 한 경관, 그리고 유형3은 시가지와 수역을 중심으로 한 경관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토지피복 CG화상은 모든 유형에서 녹지의 감소와 시가지의 증가가 나타났다. 가시권 분석의 결과, 경관적 중요도가 높은 영역에서도 녹지감소의 경향이 동일하게 나타나 이 영역에서 녹지경관의 보전 및 관리가 요구되었다.

  • PDF

ANALYTICAL STUDY OF PUBLIC EVALUTION OF STATION

  • Imada, Hirofumi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및 국제 감성공학 심포지움 논문집 Proceeding of the 2000 Spring Conference of KOSES and International Sensibility Ergonomics Symposium
    • /
    • pp.271-276
    • /
    • 2000
  • A railway station forecourt is the first place in a city that may make an impression on first time visitors. Their first impression is influenced by the view of the city from the station. This study had two objectives: one was to clarify the evaluation structure of a station forecourt landscape and the other was to clarify the effect of landscape elements on public preference using multivariate analysis, and to discuss the problems of designing a station forecourt.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psychological experiments based on photos of station forecourts were carried ou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preference and landscape elements was analyz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ublic preference and elements of a station forecourt landscape was quantitatively observed and several problems inherent to station forecourt design were identifi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