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Criticism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6초

조경비평의 이론과 방법론 모색 (An Exploration of Theory and Methodology in Landscape Architectural Criticism)

  • 배정환;조정송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49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some concepts, objects, and methodologies which are essential components in the theoretical inquiry of Landscape Architectural Criticism(LAC), and to explore the structure of LAC. Theough comparing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architecture with the latent criticism in it, and introducing some important concepts of criticism and aesthetics, the concept of LAC is defined operationally. And through grasping changes of the definitions and concepts about landscpae architecture, and classifying the fields of it which are related to critical structure, the objects of LAC are established. According to Virgil C. Aldrich and many other aestheticians, general aspects of criticism are divided into $\circled1$analysis, $\circled2$ evaluation, $\circled3$interpretation, and $\circled4$description. Through these aspects and Wayne Attoe's opinion(which seemed to be generalized in architectural), the pertinent methodologies of LAC are explored.

  • PDF

조경설계작품평가의 기준과 항목에 관한 연구 (Establishing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Landscape Architectural Works)

  • 조정송;안건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33
    • /
    • 1993
  • The evaluation is one of aspects of criticism, and thus it plays many roles in terms of the functions of critic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valuating criteria of landscape architectural work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ssential criterion of the evaluation is 'the originality' with respect to history(or tradi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sub-criteria of the evaluation can be invented through a frame;[].

  • PDF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비판적 견해에 대한 고찰 - 담론의 내재적 체계를 중심으로 - (Criticism of Landscape Urbanism - Focused on Internal Structures of the Discourse -)

  • 김영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87-104
    • /
    • 2015
  •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이룬 성과만큼 담론에 대한 다양한 비판도 함께 제기되어왔다. 오늘날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이론적 구도와 한계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제기된 비판적 견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각각의 관점에 따라 제기되어온 여러 비판적 견해를 분석할 수 있는 종합적인 해석의 틀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논리학과 기호학에서 사용되는 내포와 외연의 개념을 도입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전개과정을 비판적 견해를 중심으로 통시적으로 재구성한 뒤, 이를 바탕으로 30여 편의 비판적 견해가 담긴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한다. 비판적 견해의 성격에 따라 내재적 비판과 외재적 비판으로 구분하고 이중 내재적 비판에 해당되는 견해들만을 본 연구의 주제로 다룬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에 대한 내재적 비판은 이론, 실천, 그리고 이론과 실천과의 관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론적 내용에 대한 비판은 개념의 모호함과 개념의 모순을 지적하는 비판들로 나누어진다. 이중 개념의 모호함은 사전적 애매함과 내포적 모호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기존의 개념을 확장적으로 재해석하면서 발생한 개념의 모호함의 문제는 담론의 구조적인 한계를 드러낸다. 실천에 대한 비판의 경우 실천적 결과의 부재, 형태중심적 실천, 기존 조경과의 실천적 차별성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중 실천적 결과의 차별성 부재는 다수의 경계사례를 허용하는 외연적 모호함으로 인해 나타나는데, 경계사례들이 기존 조경의 외연이나 경계사례와 중복이 되면서 담론의 정체성이 모호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론과 실천의 관계에 대한 비판은 대부분 실천적 방법론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이에 대한 비판들은 실천적 방법의 오류와 실천적 방법의 부재를 지적하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이 중 실천적 방법의 부재는 그동안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제시한 해답으로는 해결이 될 수 없는 이론의 구조적인 문제에 해당된다. 담론의 구조적인 문제들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약점이기도 하지만 이론적인 영역을 확장하고 잠재성을 인정받을 수 있었던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향후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내재적 비판뿐만 아니라 외재적 비판에 대한 고찰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조경학회지 게재논문 조경설계 분야의 연구경향 (Research Trends Concerning Landscape Design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김영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7-119
    • /
    • 2004
  • special subjects, from basic data-building to applied design itself, and from how-why studies to theory building research. It seems that the research concerns are mainly the explanation of the processes of design projects rather than the application and expression of design theory and conceptual work itself. The articles do not show a clear trend or design concerns that would lead landscape architecture firms or its market. A few articles deal with aesthetical theory and with design criticism that could be one of landscape design's fundamental theories. It is not enough to regard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the main stream of contemporary Korean landscape design trends. More research in the field of landscape design need to focus on pre-research work rather than on post-work reports. More research work in the field of landscape aesthetics is also required. The format of the journal needs to be reformed to include more design research papers that are of a free-presentation style in nature.

조경드로잉의 변천과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and Meaning of Landscape Architectural Drawing)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0-15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historical changes and to show broad spectrums in landscape architectural drawing. Drawing has been both a locus of interpreting a site and a vehicle of imagining the new landscape. The designed landscape might be influenced by the way to draw in landscape design. Despite of its importance, landscape architectural drawing has rarely been discussed. Here, the drawing will be understood as theoretical issues and texts for criticism. Recently, the drawing has primarily been recognized in functional and instrumental ways. The stereotypes office drawings such as plan, section, perspective, axonometric are typical examples. Its symbolic and metaphoric dimensions have been seriously diminished. As a result, the poetic power in the designed landscape might be devastated. Composite drawing, notation are the alternative drawings to overcome the above mentioned dilemma along with the adaption of collage and photomontage. Finally, I would argue that landscape architectural drawing can be a creative tool to elicit the idea and to reveal the trace of memory. It could be also a poetic locus to postulating the vision. Designers should utilize both traditional drawing and experimental drawing in order to reconcile the instrumental representation with the symbolic representation.

  • PDF

모더니즘 조경에 미친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 (Le Corbusier's Influence on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 김영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12-2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조경의 측면에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르 르코뷔지에의 건축과 조경이 모더니즘 조경에 미친 영향과 유산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르 코르뷔지에와 모더니즘 조경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시기별로 르 코르뷔지에의 이론과 실천에서 나타나는 건축과 조경의 관계를 살펴보고, 르 코르뷔지에의 조경에 대한 당시의 평가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르 코르뷔지에가 동 시대에 활동했던 주요한 유럽의 조경가에게 미쳤던 영향력을 베라, 뤼르사, 칸네일 클라에스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유럽의 모더니즘 조경과 르 코르뷔지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르 코르뷔지에가 주요한 영미권의 모더니즘 조경가에게 미쳤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르 코르뷔지에가 당시 유럽과 미국의 모더니즘 조경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침으로써 모더니즘 조경의 형성 과정에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르 코르뷔지에의 이론과 실천은 일방적으로 현대 조경의 담론 내로 받아들여졌기보다는 부정적인 평가와 긍정적인 평가가 공존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수용되었다. 칸레일 클라에스, 터너드, 에크보와 같은 조경가들은 자신의 이론과 실천을 확립하면서 르 르코뷔지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지만, 스틸과 로즈의 경우 르 코르뷔지에의 조경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에 있었다. 또한, 처치, 카일리와 같이 르 코르뷔지에에게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모더니즘 조경의 양식을 구축한 조경가들도 있었다.

영국(英國)의 18세기 풍경정원(風景庭園)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andscape Garden of the Eighteenth Century in English)

  • 김귀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7-60
    • /
    • 1978
  • Significant findings concerning the cause of the gardening revolution of the eighteenth century in England, its landscape style and contribution to a new style are concluded as follows: 1. The English landscape garden is regarded as a great revolution in the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it was in the eighteenth century, in England, that garden and landscape first came together. 2. For at no time in history has there been such general interest in gardens and in the total physical landscape, so much writing and criticism and open debate. 3. Garden design did not become a definite art form in England until the eighteenth century. During the period it can be seen that there were developing three distinct types of garden, that is, the picturesque garden, the 'poetic' garden and 'abstract' garden. 4. Also developing was a new appreciation for natural forms and natural landscape, expressed in painting, poetry and garden design, and the landscape gardeners tried bard to malce country scenery look as though man had not had a hand in it. Eventually these open spaces contributed to a new type of spatial form development of naturalistic landscape style which is today taken for granted as a normal component of the landscape architect's palette.

  • PDF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을 통해 본 조경 설계 교육의 쟁점과 시사점 (The Implication and Issues of Landscape Design Education through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 최정민;윤수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8-121
    • /
    • 2016
  • 본 연구는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에 나타난 동시대 조경의 쟁점을 통해 설계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4년까지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의 주제와 수상작들의 대상지와 심사평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 주제는 공모 지침일 뿐만 아니라 조경의 새로운 영역이나 역할 모색과 관련되어 있다. 둘째, 가장 많이 다루어진 대상지 유형은 '산업유산과 재생공간', '녹색기반시설'이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유형의 대상지가 다루어지고 있다. 셋째, 대상지는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수도권 소재 대학에 비해 비수도권 소재 대학들의 참여와 성과가 매우 저조했다. 넷째, 심사평에 내포된 평가 기준을 븐석하여 '개념(아이디어)의 참신성', '설계과정의 논리성', '대상지의 선정과 분석(해석)의 충실성', '설계매체의 표현과 마스터플랜의 완성도', '주제와의 정합성', '개념(아이디어)과 결과물의 연계성', '실현가능성'이라는 일곱 가지를 평가 기준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평가 기준은 디자인 언어의 정교함을 높이고 설계 교육 방법 모색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신한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훈련이 필수적이지만, 개념 편향적 교육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상지와 관련된 문제를 정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훈련이 요구된다. 셋째, 설계 논리를 보다 중시하고, 개념이 결과물로 이어지게 하려는 진정성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설계 내용과 관련성 없는 '현혹적 이미지' 사용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주제를 풀어나가는 과정에 대한 연습이 설계 교육의 주요 과정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여섯째, '실현 가능성'과 '창의적 사고'는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호혜적 관계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우리의 문제를 스스로 이야기할 수 있는 설계 언어에 대한 고민과 정체성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환경조경대전 심사평을 직접 인용하여 연구자의 주관성을 최소화하면서 동시대 조경의 쟁점을 보다 직접적이고 생생하게 추적하고자 하였다. 이는 메타크리티시즘(meta criticism)으로서 또 다른 비평을 기다리는 기록이 된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후세의 조경가들이 현재의 조경 이론이나 설계 사고를 고찰할 수 있는 통로이자 사료가 된다는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