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Artist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17초

조경가 정영선의 조경설계론 연구 (A Study of Landscape Architect YoungSun Jung's The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 안명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17
    • /
    • 2024
  • 본 연구는 한국 조경을 살펴보기 위해 조경가 정영선에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까지의 작가의 사고, 정영선과 서안 작품, 관련 담론(조경가, 조경작품, 조경담론) 등을 대상으로, 조경설계안, 조경작품, 조경가의 사고 및 그것의 조경이론화 과정, 조경작품과 조경가의 설계사고 사이의 관계 등을 살펴보고 인터뷰(정영선 및 관련 인사), 문헌조사, 설계작품 분석 등의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자료를 종합한 결과 정영선 조경을 구분하여 볼 때, 조경을 처음 접하고 이를 수련하며 실무에 뛰어든 시기부터 독립 사무실을 운영하며 설계의 경향과 설계사고의 깊이를 달리하며 보이는 네 가지의 변곡 지점이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초기 조경에 대한 학습기를 제외하면 정영선 조경의 범주는 현대 조경, 정원, 전통 조경의 세 가지로 나타났다. 이 세 가지 범주의 조경 활동을 통해 현대 조경의 수입과 내재화(현대조경론), 독자적 정원론의 성립과 그 실천(정원론), 전통 컴플렉스의 극복과 창의적 계승(전통조경론) 등의 세 가지 성취를 보여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정영선 조경은 지역주의적 사고와 작가주의적 사고의 실천이라 요약할 수 있다.

대지예술의 재조명 -조경에서의 예술적 담론의 가능성- (A New Perspective on Land Art : Towards a Artistic Discourse in Landscape Architecture)

  • 최경원;조정송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1-193
    • /
    • 1998
  • Land art has always ben considered as a similar but distinctly separate field from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hs look to land art for inspiration and new concepts, but has always hesitated to define their field as an "art." But as more and more design projects for social spaces are being commissioned to artists, especially land artist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fields are starting to blur. "Art or Social service\ulcorner" has been a question that has been asked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throughout the 20 th century. By reviewing the concepts behind various land art projects, this paper seeks to undermine several misconceptions that has prevented landscape architects from wholeheartedly embracing land art as a expansion of their own field. Land art, as a new form of sculpture, sought to create art forms that were not looked at but experienced from the inside. Land art challenges the principle of the picturesque and the pictorialized view of nature. Land art was influenced by a new interest in prehistoric art, and sought to reestablish communication between the artist and the public. Also, land artists acknowledge the social responsibilities of art and presents the concept of art as a community activity. As can be seen by the concepts behind the works of land artists, the dichtomy of the artistic and social aspects of landscape architecture can be reconciled, and land art can serve as a model for a expanded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dscape architecture.

  • PDF

중국정원의 미학 -조영과 감상의 미적 경계를 중심으로- (The Aesthetics of Chinese Garden -with special reference to Yi-Jing)

  • 이유직;조정송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9-95
    • /
    • 1996
  • The traditional gardens of China we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common aesthetic consciousness between designers and users. As designers and users communicated each other through the medium of garden, they give suggestions to our design and appreciation of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The traditional gardens of China pursued to reach the state of Yi Jing(意境), and this state formed the keynote of the whole field of Chinese culture. Yi Jing is the aesthetic theory originated in Pre-Qin Era, and established in Tang-Dynasty. After this, this theory become the very important aesthetic category of Chinese aesthetics. Yi Jing is the process from conception to appreciation, and requires the three parts of designer, a work of art, and appreciator. To reach Yi Jing, designers must be well grounded and persevere in their efforts. They also had to have the ability of corresponding the inner order of environment and landscape, and expressing their own feelings and emotions into gardens. So ultimately, they were in pursuit of constructing the gardens as if something naturally created. The garden itself is the meeting place of designers and users. The space in which users can think of life, nature, history, and cosmos. In order to do this, designers design the real landscape and non-visual landscape. This design can give appreciators more fertile imagination. Appreciation perfects the Yi Jing of gardens. Yi Jing is created by co-work of artist and appreciator with commo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sense. Therefore, it is subjective, and it may be vary with man and time.

  • PDF

서울 서촌(西村) 역사문화탐방로 조성방안 연구 - 인왕산록과 배운동천 수계(白雲洞川 水系)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aking a Historic Cultural Walk of Old West Village, Seoul with the Case Study Area around Mt. Inwang and Baegundong Stream)

  • 김한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2-36
    • /
    • 2007
  • The direction of this study lies in exploring a schematic proposal for a historical walk over an area called 'West Village' located inside the old city wall of Seoul. The case study area is comparable to the historic 'North Village,' including historical assets such as the Kyunghi Royal Palace and Sajik-dan. Moreover, it has spectacular scenic spots surrounding Mt. Inwang and Baegundong Stream, although this has now been paved over for use as a road. This village maintained its fame as a hub of art through the early 20th century. The comprehensive approach of this study ranges from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o the ecological and visu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themed walk would commemorate the great leader of national independence, Baegbeom Kim Ku, as well as the famous Korean style realistic landscape painting school under the leadership of Kyumjae Jeong Seon, a great artist of the Josun Dynasty. In addition, a scenic streamside walk would accentuate the surrounding panoramic vistas which were drawn by Kyumjae, while at the same time allowing the ecological system of Baegundong Stream to be uncovered and restored.

빈센트 반 고흐 풍경화의 의도된 건축경관 특징 연구 (A Study on Designed Architectural and Landscaping Characteristics of Vincent Van Gogh's Landscape Paintings)

  • 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43-50
    • /
    • 2023
  • This study is an architectural and landscaping analysis view to rural landscape paintings painted by Vincent van Gogh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Western art that Van Gogh's landscape paintings have,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object in his landscape paintings from February 1888 to April 1889 in Arles, southern Franc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ndscape paintings of Van Gogh painted during 15 months in Arles. Among the total paintings in Arles, 47% of the paintings he made were landscapes.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three views. First, Vincent van Gogh was born into a Protestant family in the Netherlands and become an artist in his late twenties. While living in Arles, he painted prolific landscapes. Farming, farmers, and rural area related to normal living are the main subjects of paintings. It can be seen as showing the view that everyday life is sublime and should be included as a unitary value. Second, Gogh's rural landscape paintings were painted with linear and aerial perspective with other the expressive techniques, and plane painting structure that leads to two dimension. Third, from an architectural point of view, Van Gogh's paintings depicted simple vernacular architecture such as traditional rural house, mas, thatched houses, and mills in southern France. This means the normal value of the rural landscape through the eyes of the painter.

Ron Arad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s of Ron Arad)

  • 서병기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199-208
    • /
    • 2003
  • The Israel-born Ron Arad is one of Britain's "superstar" designers, an it has been said that he is Britain's answer to Philippe Starck. Arad is a highly individualistic designer whose ideas stem from a mental process that has more in common with that of the fine artist than of the jobbing designer for industry. His imagination expresses itself in the form of things. By the early 1990s he had become internationally recognized for his "ready-made" work. His furniture and lighting designs required extremely costly labour-intensive techniques to produce. As his work was highly evocative, suggesting a post-industrial world in which the urban landscape was characterized by materials in a state of decay. More recently, through collaborations with Italian and German manufactures, his work has reached a new level of sophistication and finish, which differentiates it from the earlier designs. As Arad reputation as a designer of workshop-based furniture came to an end and the era of "democratic" Arad furniture came into being. By middle of the decade he had become one of the most-discussed designers of the day. The spirituality that emanates from all his work is a product of his particular vision of the creative process, far removed from the typical, stereotyped trends in the sphere of modern industrialization. He goes one step further in his work by attempting to restore aesthetic dignity to the objects of daily life, in a search for beauty within the immediate environment.hin the immediate environment.

  • PDF

왕유의 자연미와 망천별업의 조경사적 의의 (The Meaning of Wangwei's Natural Beauty and His Garden, Wangchuan Villa)

  • 박희성;조정송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3
    • /
    • 2001
  • Beginning in the Wei-Chin and Liu Ch´ao era(AD. 220-589), an awareness of natural beauty emerged as the major interest of scholars which created such a social atmosphere that served as the foundation of prosperous Chinese art. During the T´ang period, the desire to achieve natural beauty began to dominate every field of art including gardening. This study covers the T´ang period when scholars began to be conscious of aesthetic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natural beauty as interpreted by Wangwei, an artist representative of the period, and of Wangchuan Villa in relation to aspects of garden theory. This study is mainly based on Wangwei´s anthology, landscape painting describing Wangchuan Villa, and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the Villa. The summary of conclusion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Wangwei´s concept of natural beauty is a combination of objective natural beauty and pastoral beauty, which stresses the essential beauty of nature. Moreover, he considered nature as a religious Utopia. 2)Wangchuan Villa, where Wangwei stayed until his death, was a place of seclusion representing his idea of natural beauty. There, he was able to realize the paradise of Buddhism full of zen aspirations. 3)From the perspective of garden theory, Wangchuan Villa can be classified as a suburb villa in terms of location, as a landscape garden in terms of elements, and as a villa based on a typical private land system in terms of forms. In addition, it may be considered as a garden that laid the foundation to realize a field of non-visible image and non-visible landscape, which is fundamental element of scholarly garden design.

  • PDF

소치 허련(1808~1893)의 사의(寫意) 묵란화 (A Study on Xieyi (寫意) Ink Orchid Paintings by Sochi Heo Ryun)

  • 강영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1호
    • /
    • pp.170-189
    • /
    • 2019
  • 소치 허련(小癡 許鍊,1808~893)은 조선 말기 대표적 남종 문인서화가이며 남도 문인화의 시조로, 초의선사와 추사 김정희의 문하에서 문인의 학문적 면모와 화원의 능숙한 화법을 모두 체득해 '사의화(寫意畵)'를 이룬 직업형 문인화가였다. 허련의 산수화는 그의 화격을 높이 산 김정희의 지도에 의해 형성되었으나, 추사 사후 그의 나이 70세경에 본격적으로 그리기 시작한 묵란화는 '추사란(秋史蘭)'의 양식과는 관련이 없고, 전체적으로는 고법(古法)을 따르면서도 거칠고 호방한 필치의 사의성을 띠고 있어 주목된다. 허련의 묵란화는 사군자류 중 화란법(畵蘭法)을 남길 만큼 관심을 가졌던 분야임에도 전체적인 작품의 조사나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화란법과 제발(題跋), 인문(印文)에 나타난 난화관(蘭畵觀)을 통해 그의 묵란화 인식을 살피고, 화보를 임방하고 당대 화풍을 수용하면서도 개성적인 필묵의 운용으로 형성된 소치란(小癡蘭)의 면모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특히 허련은 당시 묵란화의 대가인 이하응이나 조희룡과 화우(畵友)로 지내지만 난 그림에 있어서는 김정희의 난화론을 바탕으로 삼아 초기 지두란(指頭蘭)을 그리는 등 자신만의 화란법을 형성하고 예술세계를 구축한다. 또한 난화는 유가적 전고(典故)를 바탕으로 그리지만 제발과 인장의 내용을 통해서는 유가적 성격뿐만 아니라 도가 불가적 의미까지 더해져 허련의 인생 지향과 사유세계를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적이고 다양한 철학과 심미의식이 반영된 허련의 묵란화는 시기에 따라 변화 과정을 거치며 만년에 사의 묵란화를 형성한다. 즉 그는 직업형 화가였음에도 말년에 더욱 활발히 제작했던 사의란을 통해 조선 사대부의 이상에 더욱 가까이 다가가려 했음을 알 수 있고, 소치란은 문인의 표상을 실현하려는 사의적 시각과 의지의 발로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패트리샤 요한슨 (Patricia Johanson) 작품의 생태미학적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Aesthetics in Patricia Johanson' Landscape Design)

  • 최미선;이형숙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8-124
    • /
    • 2020
  • 본 연구는 20세기 대표적인 생태예술가인 패트리샤 요한슨의 설계철학과 기능적 생태예술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생태미학적인 특징을 고찰하고 생태조경설계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자연과의 공생, 종다양성 확보, 생태계 서식지 복원 등의 기능적인 목적과 예술성, 지역성을 통합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알려진 페어파크 습지, 멸종위기 정원, 페타루마습지공원, 슈가하우스 드로우 등 네 개의 작품을 대상으로 관련문헌 고찰 및 현장방문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요한슨의 작품은 형태와 기능 또는 예술과 생태와의 결합을 통해 '기능적인 예술작품', '예술적인 인프라'를 창조하였으며, 둘째, 지역 고유의 생태계 및 역사와 문화특성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역사성과 지역성을 예술적이고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요한슨은 예술작품의 공공성을 통해 인간과 자연을 연결시키고 지역사회와 미래 세대의 자연과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고자 하였다. 예술가의 창의적이고 독특한 미학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생태설계의 영역을 완성한 요한슨의 조경설계는, 사람들에게 자연의 질서와 역사를 체득하는 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역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애착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실천한다는 점에서 조경분야의 생태설계에 있어 많은 시사점을 준다.

설계과정을 통해 본 정원박람회 작가정원의 전통재현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epresentation in the Artist's Garden of the Garden Exposition seen through the Design Process)

  • 이송민;소현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01-110
    • /
    • 2020
  • 본 연구는 정원박람회에 출품한 작품 중에서 전통을 테마로 설정한 작가정원 14개소의 사례연구로서 문헌 분석과 현장 조사로 진행하였다. 전통재현을 결정하는 설계과정에 주목하고 작품마다 설계목표 수립, 전통재현의 대상 선정, 재현의 방법 결정, 경관구성요소 디자인 단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전통재현 특성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수의 작가정원에서 전통구조물을 재현 대상으로 선정한 양상은 좁은 부지에 적합하고 주제 전달성이 좋다는 장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들은 작품명에 마당, 울, 부뚜막, 장독대, 취병과 석가산 등 전통구조물의 명칭을 넣어 설계의도를 직접 전달하였는데, Wall, 한국정원, 수원, 서울 장인처럼 간접적으로 표현한 작품들은 주제 전달성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선비, 여백, 풍류와 같이 재현 대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도 있었다. 둘째, 한옥마당을 재현하면서 잔디와 석재로 포장한 정원, 수원화성 성곽과 망루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을 분리하고 연계성 없는 용연(龍淵)을 미니어처 형태로 배치한 정원과 낙안읍성을 모티브로 하여 휴게공간에 낮은 장식담장으로 재현한 정원은 전통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반면 전통정원의 입지 선택, 주변 환경과 유기적 배치가 중요함을 보여준 한국정원, 한옥 중정이 가진 여백의 미와 선비가 누렸던 느림의 미학, 달밤 뱃놀이라는 풍류 문화를 재현한 작품들은 전통구조물 모사를 넘어 전통에 대한 이해가 정원문화와 정서로 확산된 양상이다. 셋째, 디자인과 관련하여 실제 크기의 전통구조물을 직설적 방법으로 재구성한 작품이 많았다. 취병으로 정원을 구획하고, 담장안에 부뚜막, 굴뚝, 텃밭 등으로 생활공간을 꾸미고, 경복궁, 소쇄원, 서석지를 대표하는 시설들을 유기적으로 배치하였다. 하지만 규모가 큰 수원화성과 낙안읍성을 추상적 방법으로 재현한 작품들로부터 핵심이 되는 디자인 요소의 취사선택, 구조물의 입면 구성, 공간의 스케일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해체적 방법을 선택한 정원 중에는 원형 이미지와 멀어진 한옥 마당과 바자울의 사례가 있는 반면에 정육면체를 구성한 프레임만으로 표현한 여백의 정원과 많은 전통구조물로 달빛 스며든 선비의 사랑방을 재구성한 정원은 긍정적 사례이다. 현대적으로 디자인한 경관구성요소들을 전시한 서울 장인 정원, 직지심체정원, 풍류정원은 작가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