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confusa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소금의 종류와 농도가 배추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t Type and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43-747
    • /
    • 2003
  • 소금의 종류에 따른 유산균 생육저해 효과를 보면, 김치초기 생육균인 W. confusa가 3.0%의 저염소금, 제재염에서 5시간의 유도기 후 급격히 증식했으나 3.0%의 천일염, 죽염첨가시 유도기간이 12시간으로 늘어나 이 소금들에 의해 생육이 약간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중기 생육균인 Lactobacillus delbruekii ss lactis나 Lactobacillus pentosus와 말기 생육균인 L. hamsteri는 3.0%의 사용된 소금 모두에서 12시간의 유도기 후 증식이 확인되었다. 소금 농도를 달리하여 배지에 첨가했을 때 저염소금인 농도를 3.0%, 5.0%로 증가시킨 경우 W. confusa를 제외한 다른 균들의 유도기는 12시간으로 늘어났고 이 효과는 5.0%에서 더 컸다. 천일염, 죽염, 재제염도 같은 경향으로 농도가 커질수록 생육저해 효과가 뚜렷했으며 김치 초기 생육균 W. confusa보다는 후기생육균인 L. hamsteri가 소금에 의한 생육저해효과가 커서 5.0% 천일염, 죽염, 재제염에서는 24시간까지 증식이 억제된 것을 볼 수 있었다.

Cytotoxic, Antioxidative, and ACE Inhibiting Activities of Dolsan Leaf Mustard Juice (DLMJ) Tre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Yoo Eun-Jeong;Lim Hyun-Soo;Park Kyung-Ok;Choi Myeong-Ra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1호
    • /
    • pp.60-66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know whether there is any change of physiological activity in DLMJ which is inoculated by lactic acid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Dolsan leaf mustard Kimchi (DLMK) at $20^{\circ}C$. In the optimum ripening period, the population of Leuconostoc and Lactobacilli in the DLMK were found to be high. The Leuconostoc, Lactobacilli and Lactococci strains were identified as Leuconostoc mesenteroides, Leuconostoc gelidum, Weissella confusa,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affinolactis, Lactococcus lactis and Weissella confusa using the Biolog system. The most predominant strain which was isolated from DLMK was Weissella confusa. As the results of the phylogenetic analysis using 16s rDNA sequence, the Weissella confusa turned out to be Weissella kimchii, with 99.0% similarity. To investigated the change of physiological activity in DLMJ by lactic acid bacteria, 7 predominant strains inoculated to DLMJ (Dolsan Leaf Mustard Juice). The cytotoxicity was found to be under $19.55\%$ all cases. Also,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DLMJ tre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was very low, which might have been due to the reduced antioxidative phytochemicals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sterile sample. The ACE inhibiting activity of DLMJ by inoculation with Weissella kimchii was shown to be the highest ($94.0\%$). This could be that the degradation of sulfur containing materials in DLMJ by Weissella kimchii gave rise to ACE inhibiting activity.

Origin of lactic acid bacteria in mulkimchi fermentation

  • Hwang, Chung Eun;Haque, Md. Azizul;Hong, Su Young;Kim, Su Cheol;Cho, Kye Ma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441-446
    • /
    • 2019
  • The assortment of endophytic lactic acid bacteria (LAB) in kimchi derives from its raw vegetables, which include Chinese cabbage, radish, welsh onion, onion, garlic, red pepper, and ginger. These vegetables were examined during mulkimchi fermentation using gene-specific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16S ribosomal RNA sequence analysis. Sixteen species from five LAB genera (Leuconostoc, Lactobacillus, Lactococcus, Pediococcus, and Weissella) appeared in the raw kimchi materials. Interestingly, nine LAB species were identified in mulkimchi on fermentation day 0 as follows: Leuconostoc carnosum, Leuconostoc citreum, Leuconostoc gelidum, Leuconostoc inhae,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sakei, Lactococcus lactis, and Weissella confusa. Seven additional LAB species were present in mulkimchi at fermentation day 9 as follows: Leuconostoc gasicomitatum, Leuconostoc kimchii,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curvatus, Lactobacillus pentosus, Pediococcus pentosaceus, and Weissella koreensis. These species corresponded completely with the LAB in kimchi vegetables. Wei. confusa was the predominant LAB during early fermentation (pH 6.20 to 4.98 and acidity 0.20 to 0.64%), while Lac. sakei, Lac. plantarum, and Wei. koreensis became dominant later in fermentation (pH 4.98 to 3.88 and acidity 0.64 to 1.26%). These results collectively demonstrate that the LAB involved in mulkimchi fermentation originates from the raw vegetables examined.

유산균(Lactobacillus confusa)과 효모균(Pichia anomala) 배양액 함유 액비의 시용이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medium of Lactobacillus confusa and Pichia anomala on Growth in Creeping Bentgrass)

  • 김영선;함선규;김택수;정현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5-196
    • /
    • 2008
  • 본 연구는 효모균과 유산균이 함유된 발효 액비가 크리핑벤드그래스 잔디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고자 2007년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비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NF), 복합비료(21-17-17)를 처리한 대조구(CF), 복합비료를 처리한후 미생물발효액비 500배액을 처리한 T500, 300배액을 처리한 T300, 100배액을 처리한 T100, 그리고 복합비료를 처리하지 않고 미생물 발효액비만을 처리한 L500 등 6개 처리를 완전임의배치법으로 수행하였다. 잔디생육조사는 엽색지수와 엽록소함량과 같은 잔디품질과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량, T/R 율 및 뿌리길이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염색지수와 엽록소함량 조사결과, T500 T300 T100 $\geq$ CF > L500 > NF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효과가 좋은 처리구는 T300로 조사되었다. 2. 잔디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량 비교결과, 복합비료와 미생물발효액비를 포함한 T500, T300, T100이 복합비료만 처리한 CF보다 지상부는 평균 13% 증가하였으며, 지하부는 T300에서 25% 증가하였다. 복합비료를 처리하지 않고 미생물발효액비만 처리한 L500은 무처리구인 NF보다는 지상부 88%, 지하부 44% 씩 각각 증가하였다. 3. 잔디의 T/R율을 비교한 결과, 복합비료와 미생물발효액비를 처리한 T500, T300, T100이 복합비료만 처리한 CF보다 지상부는 평균 17% 높았고, 미생물발효액비만 시비한 처리구인 L500이 무처리구인 NF보다 약 39% 높게 조사되었다. 4. 뿌리길이 조사결과, 복합비료처리구에서는 1차 2차 조사에서는 CF보다 T500, T300, T100에서 평균 $7{\sim}8%$ 더 높고, 3차 조사에서는 CF와 비슷하게 조사되었고, 복합비료가 시비하지 않은 처리구에서는 NF와 L500 처리구의 뿌리길이를 비교할 때 NF보다 L500에서 약 $22{\sim}66%$ 높게 조사되었다. 본 결과들을 통해 유산균과 효모균이 함유된 발효액비의 시비는 잔디의 뿌리길이, 지하부와 지상부 생육 및 잔디의 T/R 율을 향상시켰고, 잔디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이 가장 좋은 처리구는 T300이었다.

김치로부터 Lactobacillus sakei 생육저해 Leuconostoc 및 Weissella 속 균주의 분리 (Isolation of Leuconostoc and Weissella Species Inhibiting the Growth of Lactobacillus sakei from Kimchi)

  • 이광희;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75-181
    • /
    • 2011
  • Kimchi is a group of traditional fermented vegetable foods in Korea and known to be the product of a natural mixed-fermentation process carried out principally by lactic acid bacteria (LAB). According to microbial results based on conventional identification,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were considered to be responsible for the good taste and over-ripening of kimchi, respectively. However, with the application of phylogenetic identification, based on 16S ribosomal RNA gene similarities, a variety of Leuconostoc and Lactobacillus species not detected in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isolated, together with a species in the genus Weissella. Additionally, Lactobacillus sakei has been accepted as the most populous LAB in over-ripened kimchi. In this study, Leuconostoc and Weissella species inhibiting the growth of Lb. sakei were isolated from kimchi for future applications to do with kimchi fermentation. From 25 kimchi samples, 378 strains in the genera Leuconostoc and Weissella were isolated and 68 strains identified as Lc. mesenteroides, Lc. citreum, Lc. lactis, W. cibaria, W. confusa, and W. paramesenteroides exhibited growth inhibition against Lb. sakei. Most of the strains also had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Lb. brevis, Lb. curvatus, Lb. paraplantarum, Lb. pentosus, and Lb. plantarum. Their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Lb. sakei were more remarkable at lower temperatures of incubation.

유산군(Lactobacillus confusa)과 효모균(Pichia anomala) 발효 액체비료의 시용이 크리핑벤트그래스(A. palustris Huds. CV. Pennlix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quid Fertilizer Contained Fermentation of Lactobacillus confusa and Pichia anomala on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A. palustris Huds. CV. Pennlixs))

  • 김영선;함선규;김택수;정현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9-56
    • /
    • 2008
  • 본 연구는 효모균과 유산균의 발효액을 함유한 비료가 크리핑벤트그래스 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고자 2007년 8월부터 11월까지 SKY72 골프클럽 증식포장에서 수행하였다. 시험처리는 무처리구, 대조구, 처리구1, 처리구2, 처리구3로 3반복 난괴법으로 수행하였다. 시험기간 동안에는 토양화학성, 엽색지수, 엽록소함량 및 예초물량, 잔디분석 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토양화학성은 공시비료의 시비가 토양에는 별다른 영향이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엽색지수는 무처리구보다 비료처리구(대조구, 처리구)에서 7.6% 증가하였으나 대조구와 처리구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처리구 2에서 가장 높은 엽색지수 값을 나타내었다.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구보다 비료처리구(대조구, 처리구)에서 48.3% 증가하였고, 대조구와 처리구간 차이는 처리구 2과 처리구 3에서 각각 4.4%와 2.7% 높게 나타났으며, 시험기간 중 가장 좋은 잔디생육을 나타내는 처리구는 처리구 2로 조사되었다. 예초건물중은 무처리구 보다 비료처리구(대조구, 처리구)에서 83.6% 증가하였고, 대조구와 처리구간 차이는 처리구 2와 처리구 3에서 각각 13.8%와 13.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험 종료 후 채취한 잎의 무기성분은 시비구(CF, T-1, T-2, T-3)가 무처리구보다 질소는 82%, 인은 19%, 칼리는 42% 정도 증가하였고, 대조구(CF)와 처리구(T-1, T-2, T-3)사이에서는 비슷하였다.

발효 초기 한국산 및 중국산 김치의 Bacteria 다양성 평가 (Bacterial Diversity in the Initial Fermentation Stage of Korean and Chinese Kimchi)

  • 이명재;조경희;한응수;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07-215
    • /
    • 2010
  • 미생물 군집의 차이를 이용한 한국산 및 중국산 김치의 판별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pH 5 이상의 발효초기 김치에 존재하는 bacteria의 다양성을 검토하였다. marine medium, nutrient medium, succinate minimal medium(SMM), leuconostocs selective medium(LUSM)의 한천배지를 이용하여 한국산 26종, 중국산 22종의 김치시료로부터 각각 45 속의 1017 균주, 54 속의 842 균주가 분리동정되었다. 한국산 김치에서는 Bacillus, Weissella, Leuconostoc, Pseudomonas, Lactobacillus 속 순으로, 중국산 김치에서는 Bacillus, Weissella, Lactobacillus, Pseudomonas, Serratia, Enterobacter 속의 순으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산균의 경우, LUSM의 이용으로 한국산, 중국산 모두에서 Weissella 속이 편중되어 검출되었지만, 한국산은 Leuconostoc속이, 중국산은 Lactobacillus 속이 Weissella 속 다음으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issella confusa는 한국산 김치에서 특이적으로 검출되었고, W. soli, Serratia proteamculans는 중국산 김치에서 특이적으로 검출되어 향후 김치의 원산지 판별을 위한 지표미생물로 사용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김치 젖산균의 In Vitro에서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In Vitro Evaluation of Cholesterol Re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Extracted from Kimchi)

  • 김금란;김미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59-268
    • /
    • 2006
  • 본 연구는 김치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젖산균에 관한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Lactobacillus 1종, Leuconostoc 2종과 Weissella 2종을 대상으로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측정하였다. 김치 초기 발효균인 Leu. citreum은 55.46% 콜레스테롤 감소율을 보였고, 대표적인 산패균인 Lac. plantarum은 55.91%, Leu. mesenteroides은 56.37%였으며 W. kimchii,, W. confusa 등에서도 55% 이상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나타났다. 김치의 발효 숙성 과정에 나타나는 젖산균들이 시험관 내에서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확인되어, 향후 in vivo 조건하에서 콜레스테롤 저하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Effects of Ensiling Fermentation and Aerobic Deterioration on the Bacterial Community in Italian Ryegrass, Guinea Grass, and Whole-crop Maize Silages Stored at High Moisture Content

  • Li, Yanbing;Nishino, Nao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9호
    • /
    • pp.1304-1312
    • /
    • 2013
  • The effects of storage period and aerobic deterioration on the bacterial community were examined in Italian ryegrass (IR), guinea grass (GG), and whole-crop maize (WM) silages. Direct-cut forages were stored in a laboratory silo for 3, 7, 14, 28, 56, and 120 d without any additives; live counts, content of fermentation produ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cterial community were determined. 2,3-Butanediol, acetic acid, and lactic acid were the dominant fermentation products in the IR, GG, and WM silages, respectively. The acetic acid content increased as a result of prolonged ensil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silage crop, and the changes were distinctively visible from the beginning of GG ensiling. Pantoea agglomerans, Rahnella aquatilis, and Enterobacter sp. were the major bacteria in the IR silage, indicating that alcoholic fermentation may be due to the activity of enterobacteria. Staphylococcus sciuri and Bacillus pumilus were detected when IR silage was spoiled, whereas between aerobically stable and unstable silages, no differences were seen in the bacterial community at silo opening. Lactococcus lactis was a representative bacterium, although acetic acid was the major fermentation product in the GG silage.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brevis, and Morganella morganii were suggested to be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in acetic acid due to prolonged storage. Enterobacter cloacae appeared when the GG silage was spoiled. In the WM silage, no distinctive changes due to prolonged ensiling were seen in the bacterial community. Throughout the ensiling, Weissella paramesenteroides, Weissella confusa, and Klebsiella pneumoniae were present in addition to L. plantarum, L. brevis, and L. lactis. Upon deterioration, Acetobacter pasteurianus, Klebsiella variicola, Enterobacter hormaechei, and Bacillus gibsonii were detecte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diverse bacterial community that evolves during ensiling and aerobic spoilage of IR, GG, and WM silages.

천연 약용식물의 미생물 발효를 통한 장내 메탄 생성 억제 효과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Microbial Fermentation and Non-Fermentation on Biological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s, with Emphasis on Enteric Methane Reduction)

  • 이아름;박해령;김미소;조상범;최낙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01-813
    • /
    • 2014
  • 본 연구는 반추위 메탄저감용 약용식물 첨가제 개발을 위해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두충 및 감초 추출물의 항균활성, 항산화활성 및 in vitro 반추위 발효시험을 실시하였다. 발효 약용식물 추출물 제조를 위해 접종된 종균의 성장효율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한 생균수 측정 결과 L. curvatus NJ40, L. brevis NJ42 및 L. plantarum NJ45가 두충과 감초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균주 성장을 나타냈다(p<0.05). 항균활성측정 결과는 두충과 감초 추출물에서 공통적으로 L. curvatus NJ40 및 L. plantarum NJ45 로 발효한 추출물이 일부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In vitro 반추위 발효시험에서 두충 및 감초발효 추출물을 적용한 결과, 감초 추출물에서 메탄 저감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반추위내 미생물 발효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휘발성지방산 생성효율을 향상 시키면서, 전반적 반추위 발효에 부정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