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k of Park and Area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27초

성공적인 모유수유를 저해하는 요인에 관한 분석적 연구 (An Analytic Study Measuring Factors Interrupting in Breast-Feeding)

  • 오현이;박난준;임은숙
    • 모자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8-79
    • /
    • 1994
  • This study measured variables influencing the breast feeding patterns of lactating mothers over a 40 day period In 1993 in the Jeonla area. The Methodology used was a questionnaire covering 92 items based on statistical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successful group was measured against the unsuccessful group over a 4month lactation period ; The successful group was measured over a 4month lactation period ; the unsuccessful less than 4month lactation period. Principal factor analysis was used to generate comparative data factors which were ; 1) nonunderstanding of mother's breast feeding, 2)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3) insufficient milk supply, 4) mother's negative acceptance of baby, 5) lack of spousal support, 6) sore nipple and breast pain, 7) baby's negative acceptance, 8) lack of familial support, 9) baby's diarrhea and watery milk. Discriminant statistical analysis of sever factors included ; 1) insufficient milk supply 2) sore nipple and breast pain, 3) pre-natal planning of breast feeding method, 4) mother's occupation 5) breast feeding method of previous infant, 6) nipple type, and 7) infant birth order. This analysis predicted a 78.9% successful breast feeding. Criterion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 D=-1.780+.165$\times$(Fac3)+.135$\times$(Fac6)+.927$\times$(prenatal planning of breast feeding method)+.900$\times$(mother's occupation)+.675$\times$ (breast feeding method of previous infant)+1.0l4$\times$(nipple type)+.378$\times$(infant birth order). We classified the unsuccessful group as more than .63937 and the successful group less than -.82742 of the D value obtained from the above criterion correlation in order to check the success or the non-success of breast feeding mothers. The rate of correct classification of the grouped cases employing a statistical discriminant analysis was significantly improved to 78.9% when these cases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grouped classification.

  • PDF

시카고 부분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한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이용 (Socio-economic Features of One Slice of Chicagoland Using A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오종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23-235
    • /
    • 1993
  • 시카고 광역도시지역 중에서 사회경제적 특징이 모식적으로 포함되는 지역을 선정하여, 어떠한 영향으로 그 특성들이 형성분포되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연구대상지역에 대한 지형공간정보체계(GSIS)의 접근으로서 14개의 변수와 44개의 관측값을 선정하여 3종류의 통계적 방법으로, 지역성에 대한 사회경제적 양상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3가지의 도식화 방법으로 GSIS에 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군집분석 I (Grouping analysis)에서의 결과를 볼 때 위성도시에 해당되는 ELMHRST, ELMWOOD PARK, MELROSE PARK, NORTH LAKE에서 연수입치가 높게 나타나서 상기 분석치를 인정할 수 있었다. 인자분석(Factor analysis)에서는 사회-민족적, 경제적, 남미유입인(HISPANICS), 흑인, 인생 기대치, 차량수 등이 주요 관점이었는데, 사회민족적 인자가 가장 중요한 상관관계 계수를 나타내고 있어 대도시의 지역 특성에 의한 결과로 작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공간 입체도화방식에 의한 사회경제적 특색들이 3가지 도식으로 표현되었다. 그 결과에 의하면 경제적 수준이 높은 지역으로서 서부의 DuPage County의 위성도시들과 시카고 동부의 Lake Michigan 인접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나 있어, 지역분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표현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흑인과 남미유입인의 거주지역과 백인의 거주지역은 사회경제적 기준에 의해서 구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예로선 상한연 수입이 $30,311인데 비하여 하한 연수입이 $4,364에 불과하여 큰 격차를 나타낸다.

  • PDF

수도권 개별입지 공장의 시공간적 입지특성 분석 (Spatial-Temporal Pattern Analysis of Unplanned Factory Loc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FEMIS Data)

  • 황선근;이수기;박정일
    • 지역연구
    • /
    • 제34권2호
    • /
    • pp.21-34
    • /
    • 2018
  • 본 연구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개별공장의 시공간적 확산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장의 입지는 개별입지와 계획입지로 나눌 수 있다. 계획입지의 경우, 공장 설립의 기간이 오래 걸리고 높은 비용과 규제 때문에 개별공장의 설립이 쉽지 않다. 그러나 개별입지 공장은 설립 절차가 간단하여 지대 가격이 저렴한 비도시지역을 중심으로 개별입지 공장 난개발이 증가하였다. 공장 난개발의 문제점은 공장 주변의 도로 및 환경오염 처리 시설과 같은 인프라 부족을 야기하고, 쾌적한 환경과 도시 경관을 훼손하며, 주변지역 거주민의 생활환경을 악화시킨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공장설립온라인지원시스템 자료를 ArcGIS Pro를 활용하여 2001년부터 2016년까지 수도권 지역에 설립된 개별공장의 입지를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도권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개별입지 공장은 기존의 산업단지나 공업입지 주변에 집중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집적지 주변에서 얻을 수 있는 외부효과라고 판단된다. 둘째, 서울시의 경우 개별입지 공장은 주거지역에 많이 설립되고 있어 주거와 공장의 혼재가 발생하고 있다. 셋째, 경기도의 개별입지 공장은 비도시지역 내 관리지역에 많이 입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도시지역 내 관리지역에서의 공장 난개발은 경관 훼손, 인프라 부족 등 사회적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개별공장의 시공간 확산과정과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개별공장 난개발을 제어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Systemic analysis 방법을 활용한 국내 학교급식 위생의 주요 영향 인자 분석 연구(2005-2014) (Systemic Analysis on Hygiene of Food Catering in Korea (2005-2014))

  • 민지현;박문경;김현정;이종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27
    • /
    • 2015
  • Systemic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학교급식의 위해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학교급식 위생 관련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단체급식 및 위생 분야 키워드 47개를 도출한 후, DBpia 검색엔진을 통하여 도출된 키워드를 입력하여 최근 10년간(2005-2014) 생산된 총 1,177개 논문을 검색하였다. 이후 관련논문을 수집하고 전문가리뷰를 통하여 최종 142개 논문을 선정하였다. 시설별, 이해당사자별, 외부요인, 내부요인, 직접적 요인, 간접적 요인으로 나눠 문헌을 분석하였다. 시설별로 학교(64편)가 산업체(5편)나 병원(3편)보다 단체급식 위생 관련문헌이 많았다. 학교급식의 주요요인을 분석한 결과 시스템/시설/설비(15편), 위생교육(12편), 생산/납품업체(6편), 식재료(4편), 복합적 요인(9편)이었다. 학교급식 위생관련 요인을 환경적 요인, 인적 요인, 식재료 요인, 고용 및 직무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이해당사자별로 영양사, 조리종사원, 학생, 교직원, 식재료 납품업체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 환경적 요인으로 시설 설비 영역과 시스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시설 설비 영역에서 대상이 영양사인 경우 급식시설의 명확하지 않은 구획 및 구분, 다량조리기기의 부족으로 인한 음식 온도관리 미흡, 위생관리를 위한 기기 구비율 저조, 조리실 온 습도 관리 미흡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대상이 학생인 경우에는 교실배식 환경을 문제로 꼽았다. 시스템 영역에서는 영양사가 대상인 경우 학교 내 구성원 간 HACCP 시스템 팀의 낮은 협력정도가 문제로 지적되었다. 조리사/조리종사원이 대상인 경우에는 과도한 업무량과 높은 노동 강도, 급식소 안전 관련 근무 조건의 열악함이 문제가 되었다. 학부모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학교급식 모니터 제도의 활동이 저조한 것이 문제로 파악되었다. 두 번째, 인적 요소 측면에서는 "위생교육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서, 교육대상이 조리종사원인 경우 형식적인 위생교육, HACCP 관련 교육 미흡, 낮은 개인위생관리수행이 문제가 되었다. 대상이 학생인 경우에는 위생교육 경험이 적고, 위생교육의 적용 및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식재료 요소 측면에서 원재료 자체의 위생문제와 신선편이식품 전처리 식재료의 불신이 문제로 파악되었다. 한편, 생산 납품업체 관련 납품업체 배송차량 관리 미흡, 생산 납품업체 직원의 위생관리, HACCP 비인증업체의 위생관리가 문제로 지적되었다. 마지막으로 고용 및 직무 요소 측면에서 영양사와 조리종사원의 고용형태, 연봉수준은 직무만족도 및 직무몰입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수행, 나아가 학교급식 위생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학교급식 위생의 원인 분석을 통하여 향후 정부는 예산확보, 현장조사, 인증시스템 제도 마련, 근무 조건 개선, 위생훈련 및 점검 강화, 전문가에 의한 위생컨설팅 및 급식장 설계 컨설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향후 급식위생안전 개선을 위한 교육 자료 및 관련 기술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도시공원에 번식하는 박새의 이소 전후 어미 행동권 분석 (Home Range Analysis of Great Tit (Parus major) before and after Fledging in an Urban Park)

  • 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7-106
    • /
    • 2020
  • Urban parks provide a variety of ecosystem services and are an important means of providing positive functions to urban ecosystems. Recently, various studies on wildlifes in urban parks have been conducted.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abitat use in urban parks at important times such as before and after fledging in bird ecology. This study analyzed habitat use and home-range before and after fledging on Cheongsa park, a neighborhood park located in Cheonan city. An artificial nest was set up to check and capture great tit in fledging time. One female was captured and attached to the NTQB-2 (0.4g) radio transmitter, the location was tracked using SIKA Radio Tracking Receiver, hand-held three element Yagi antenna and GPS. Location information was recorded for 10 minutes for 3 hours each morning and afternoon for 12 days from May 17 to May 31, 2019. As a result, the home-range of the target species was 1.776 ha (MCP) and the core area was 499 ㎡ (KD 50%). The average daily home-range was 0.513 ha for the entire period, 0.688 ha before fledging, 0.339 ha after fledging based on MCP. The bird moved about 29.9 m on average and moved up to 131.7 m. For the most of the time, the great tit stayed inside the park, but the bird also used small green spaces such as street trees, tree flower beds, and green areas of unused la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the study of habitat use and the greenery management policy of the urban park considering wild birds.

한라산국립공원에서의 탐방객 이용행태와 이용.관리속성에 대한 태도 (Visito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to the Use and Managerial Attributes in Hallasan National Park, Korea)

  • 유기준;박재봉;김선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6-133
    • /
    • 2007
  •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 탐방객들의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국립공원 이용 및 관리 관련 속성에 대한 탐방객 태도를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공원관리방안 수립에 필요한 탐방객 관련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응답자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가 한라산국립공원의 주 이용거점인 어리목과 영실에서 공원탐방을 마치고 귀가하는 237명의 탐방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응답자들의 전체적인 만족도 수준은 보통수준 이상의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범위로 나타났다. 국립공원을 둘러싼 다양한 관리환경요소로부터 추출한 속성들에 대한 응답 경향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나 한라산국립공원의 관리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위생시설 부족과 청결 상태, 자연자원과 문화자원의 훼손문제, 입장료 및 시설사용료 부담 등의 항목은 다른 항목에 비해 탐방객 서비스 개선 차원에서 특히 공원 관리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분야로 판단된다.

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대형공원의 식재계획 전략 - 광주광역시 중앙근린공원을 사례로 - (Planting Design Strategy for a Large-Scale Park Based on the Region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 A Case of the Central Park in Gwangju, Korea -)

  • 김미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1-28
    • /
    • 2021
  • 대형공원은 그 크기와 복잡한 특성 때문에 기존 도시 내에 조성되는 기회가 흔하지 않다. 또한, 대규모 부지에서의 식재설계 방법에 관한 실천적 연구 역시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중앙공원을 사례로 대형공원에서의 식재설계 접근방법과 생태적 이론이 실질적인 식재설계 방법으로 구체화 되는 과정을 설계가의 관점에서 설명함으로써, 유사한 규모의 공간 설계 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구체적인 식재설계의 선행과정으로서, 거시적인 스케일에서 녹지의 연결, 식생의 변화, 경관의 흐름, 오픈스페이스의 분포 등 공원 전체의 녹지구조를 계획하고, 나아가 녹지구조를 구성하는 식생형과 식물군락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물은 식재 설계 단계에서 공간의 기능과 성격, 식재 연출효과 등 설계자의 의도와 해석을 담아 탄력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의 의의는 대형공원의 복잡성과 규모에도 불구하고, 계획된 범주 내에서 설계를 진행함으로써 첫째, 기존 수림을 포함한 공원전체 경관의 시각적 일관성과 의도된 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과, 둘째, 대형공원이 지닌 변동가능성, 예측불가능성 등의 특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녹지계획에 우선하여 대상지의 물리적 환경을 분석하였다. 특히, 토지이용변화를 분석하여 잠재된 서식처로서 습지와 초지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녹지구조는 서식처 유형에 따른 식생형으로 구성되며, 녹지의 모양, 배치, 관계에 대한 계획과 함께 식생형을 구성하는 식물군락의 특징과 목록도 제시하였다. 각 식물군락은 지역의 자연식생을 참고하여 군락의 구조를 모델화하였다. 특히, 이 모델은 특정식물군락을 목표로 한 것이 아니라 기대하는 효과에 부합되는 군락을 개념화한 것이므로 식생형의 조건과 군락의 목표에 부합된다면 다른 식물군락도 이 모델에 적용하여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연함을 갖는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생태적 공원의 식재설계임에도 불구하고, 야생동물 및 조류, 곤충 등을 위한 서식환경에 대해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고, 둘째, 대상지내 기존 산림, 특히 조림 숲에 대한 관리 방안이 계획에서 배제되었으며, 셋째, 식물군락 모델계획은 기존의 식물사회학 연구를 참고하여 자연의 식물군락구조를 적용하였는데, 일부 식물군락의 경우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의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대구 도시공원의 변천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 해석 (An Interpretation of a Social Implication on the Transition of the Urban Park in Daegu)

  • 이정연;정태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72-82
    • /
    • 2013
  • 본 연구는 지방도시의 하나인 대구를 대상으로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시대별로 도시공원의 계획 개원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시대적 상황과 연관 지어 고찰함으로써 도시공원의 변천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1960년대에 도시계획법과 공원법이 제정되면서 법제도 내에서 도시공원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때에는 도시공원이 단지 도시계획시설의 하나로만 인식되어 조성보다는 지정에만 급급하였다. 1970년대는 급격한 도시화와 폭발적인 인구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도시공원의 양적 확보에 주력하였으나, 예산부족으로 계획기간 내에 공원 조성이 완료되지 못하였다. 1980년대는 연이는 대규모 국제대회 개최로 인하여 도시미화를 위한 각종 녹화계획이 수립되면서 도시공원의 미적 기능이 재인식되었으며, 도시민의 이용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정적공간뿐만 아니라 동적시설을 갖춘 복합적인 성격의 도시공원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는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증대와 함께 공원에 대한 시민의 적극적인 관심표명 및 참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며, 도시공원의 환경적 기능과 효과의 부각에 따라 도시공원의 양적 확대뿐 아니라, 질적 개선도 함께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에 있어 근대적 의미의 도시공원 도입은 구한말부터이고, 본격적으로 도시공원이 조성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부터이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서 도시공원의 변화과정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를 종합해 볼 때 대구에서 시민을 위한 '공용(共用)의 휴식처'라는 본연의 의미와 목적에 부합되는 도시공원의 개념이 완성된 것은 1990년대에 와서라고 할 수 있다.

인구감소에 따른 농촌지역 거점형 중심지 공공시설 입지 및 운영방안 개선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Location and Management Plan of Public Facilities in the Rural Center Place by Declining Population)

  • 박성진;강인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7-35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blic use of Myeon Location in Jeollanam - do where the population is at risk of declining. And discussed the rational provision and coordination of public facilities as a guarantee of fundamental righ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ational supply and adjustment directions of public faciliti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problems such as high availability of management, finance, shopping, and health facilities, lack of culture, leisure, community facilities, and weakening of center function. Therefore, in the continuing declining population situation, face management, safety and health facilities should be upgraded to multifunctional facilities, and utilization efficiency and integration should be promoted. In addition, town center rehabilitation should be centered on multifunctional facilities. In addition, elementary schools will have to utilize and preserve them to take advantage of local cultural values as nostalgia storing place that provide incentives for young people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future. Second, in order to cope with population decline, public facilities need to strengthen public services through complexity and multifunctionality, wide-area operation with neighboring areas, and user-centered operation management.

지역별 청소년 건강위험행위 비교 - 대도시, 중소도시, 군 지역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f Youth Health Risk Behaviors by Region: Focused on Metropolitan Areas, Medium Sized and Small City Areas, and Rural Areas)

  • 박은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4-23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health risk behavior prevalence for youth living in metropolitan, medium sized and small cities or rural area, in order to enhance understanding regional differences. Methods: For this study, data from the 2006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collected by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were analyzed using SPSS. Results: In the metropolitan areas, prevalence for disease and perceived obesity were higher than in other areas. Lack of intense or moderate physical activity, obesity, fast food intake, and insufficient sleep showed higher prevalence than in rural areas. Prevalence of lifetime smoking, lifetime alcohol consumption, present alcohol use, fruit intake less than once a day, and not wearing a seat belt were higher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Gender, smoking, and alcohol use were correlated. Spearman correlation between living with parent and skipping breakfast were significant. Smoking, alcohol use, and sexual behavior were correlated. Conclusion: 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valence of youth health risk behaviors exist between regional areas,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considering these differences have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adolescents. Programs for prevention of smoking and alcohol use, programs for improvement of fruit intake and safety are suggested for adolescents in rural areas, whereas programs to enhance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management are suggested for adolescents in metropolitan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