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Workers

검색결과 1,145건 처리시간 0.025초

건강 충격의 고용과 소득 효과 분석 (Effects of Health Shocks on Employment and Income)

  • 권정현
    • 노동경제논집
    • /
    • 제41권4호
    • /
    • pp.31-62
    • /
    • 2018
  • 본 연구는 '예상하지 못한 입원'으로 정의한 건강 충격이 40~55세 중장년층 전일제 임금근로자의 일자리와 소득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단기 효과와 이후 3년간의 중기 효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 충격 발생 이후 직접비용인 의료비 지출의 증가는 단기적인 효과만 유의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간접비용인 노동시장 참여 및 근로소득의 변화는 건강 충격 발생 이후 3년까지 지속된다. 둘째, 간접비용의 변화는 건강 충격발생 이전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일자리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고소득층은 저소득층에 비해 건강 충격 발생 이전 일자리에서 이탈할 위험이 낮은 반면, 저소득층은 원래의 전일제 근로상태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건강 충격을 경험한 비정규직 근로자는 정규직 근로자에 비해 전일제 근로 일자리를 잃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동일한 비정규직이라도 사업체 규모에 따라 경험하는 위험 정도는 달라지는데, 대기업에서 근로하는 비정규직은 소규모 기업에서 근로하는 비정규직보다 노동시장에서 이탈할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 PDF

Changes in Labor Regulations During Economic Crises: Does Deregulation Favor Health and Safety?

  • Jhang, Won-Gi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4권1호
    • /
    • pp.14-21
    • /
    • 2011
  • Objectives: The regulatory changes in Korea during the national economic crisis 10 years ago and in the current global recession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eregulation in labor policies. Methods: Data for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the Korean government's official database for administrative regulations and a government document reporting deregulation. Results: A great deal of business-friendly deregulation took place during both economic crises.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were the main targets of deregulation in both periods, and the regulation of employment promotion and vocational training was preserved relatively intact. The sector having to do with working conditions and the on-site welfare of workers was also deregulated greatly during the former economic crisis, but not in the current global recession. Conclusions: Among the three main areas of labor policy,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was most vulnerable to the deregulation in economic crisis of Korea. A probabl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impact of deregulation on the health and safety of workers would not be immediately disclosed after the policy change.

실직으로 인한 임금 손실과 지속 원인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Persistent Wage Losses of Displaced Workers)

  • 박용현
    • 노동경제논집
    • /
    • 제33권1호
    • /
    • pp.53-84
    • /
    • 2010
  • 이 논문은 한국노동패널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실직자들이 겪는 임금 손실의 정도를 실직 발생 직후에서 부터 4년 후까지 분석하였다. 종전에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에서는 주로 실직 직후에 발생하는 손실에 초점이 맞춰졌는데, 실직으로 인한 손실이 지속될 경우 이는 손실을 과소 추정하는 것이 된다. 논문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실직 발생 4년 후에도 실직으로 인한 임금 손실이 유의미하게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직으로 인해 발생하는 일자리 경험의 손실과 반복 실직의 발생에 크게 영향 받은 결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haracteristics of Work-related Fatal Injuries Among Aged Workers in Republic of Korea

  • Jungsun Park;Jong-shik Park;Younghoon Jung;Minoh Na;Yangho Kim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5권2호
    • /
    • pp.158-163
    • /
    • 2024
  • Objectives: The present paper aimed to examine whether an aging workforce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work-related fatal injuries and to explore the underlying reasons for this potential increase. Material and methods: Aged workers were defined as those who were at least 55 years old. Work-related fatalities were assessed in aged and young workers who were registered with the workers' compensation system in 2021 in the Republic of Korea. Total waged workers, based on raw data from the Local Area Labor Force Survey in 2021, were used as the denominator to estimate the work-related fatality rates. Results: Most work-related fatalities in the aged workers occurred among individuals working in the "construction sector" (58.9%), those with "elementary occupations (unskilled workers)" (46.1%), and those with the employment status of "daily worker" (60.8%). The estimated incidence (0.973/10,000) of work-related fatalities among aged workers was about four times higher than that (0.239/10,000) among younger workers. "Falling," "collision," "struck by an object," and "trip and slip" were more frequent types of work-related fatalities among aged workers relative to young workers. The category of "buildings, structures, and surfaces" was a more frequent cause of work-related fatalities among aged workers than among young workers. Conclusions: Aged workers had a higher incidence of work-related fatalities than young workers. Frequent engagement in precarious employment and jobs, coupled with the greater physical vulnerability of aged workers, were likely causes of their higher level of work-related fatal injuries.

코로나-19가 임금근로자의 노동조건에 미친 영향 - 고용형태별 차이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Working Conditions of Wage Workers - Focusing on Differences by Employment Types -)

  • 이용관
    • 노동경제논집
    • /
    • 제44권2호
    • /
    • pp.71-90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임금근로자의 노동시간과 임금에 미친 영향을 고용형태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경제활동인구조사-근로형태별 부가조사(2017~2020)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코로나-19로 인해 비정규직은 정규직보다 노동시간이 더 감소해 임금소득 창출 기회가 축소됐다. 같은 기간 정규직과 비정규직 신규인력 간 노동시간과 임금 격차는 커졌는데, 이는 단시간·단기간 고용된 인력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초기수준을 기반으로 노동조건이 변화하므로 이러한 결과는 신규 및 고용안정성이 낮은 인력의 노동조건 개선 노력이 노동시장 불평등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고용형태에 따른 질병 유병 및 영양소 섭취 비교: 제 7기 (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Comparison between Intake of Nutrition and Prevalence by Employment Types Using the Seventh (2016-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NHANES))

  • 최희중;안병용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9-127
    • /
    • 2023
  • The labor environment in Korea has changed and problems related to employment types are treated as important issues. Especially, the ratio of irregular workers has not only increased relatively, but the labor conditions in Korea also have worsened in the current years. Studies have reported an association between temporary workers and the prevalence of diseases.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chronic disease and employment types. Methods: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prevalence rate of diseases and health behavior by categorizing employment types among Korean adult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otally, the data of 2,366 workers (1,239 regular and 1,127 irregular) were analyzed in the study. The types of employment were classified by a questionnaire querying about working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irregular workers earned less than regular workers and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We propose that if discrimination related to working conditions were relieved, irregular workers would be able to invest more time to exercise and doing check-ups regularly. In addition, individual nutrition consultations considering the knowledge and personal environmental factors of each individual are necessary for the improved health of all workers.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유연성 및 안정성 평가 (Assessment of Flexibility and Security in Korean Labor Market : An International Comparison)

  • 남민호
    • 노동경제논집
    • /
    • 제41권3호
    • /
    • pp.129-159
    • /
    • 2018
  • 본고의 주요 목적은 OECD 국가들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유연성 및 안정성의 수준을 평가하는 데 있다. OECD 고용보호법제 지수로 평가한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유연성은 상용직 해고의 경우 여타 국가들과 대체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임시직 고용은 임시직의 비중 등 실효적 지표들까지 감안할 때 비교적 유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성의 경우에는 직장안정성, 소득안정성 및 결합안정성의 수준 모두 OECD 평균치를 큰 폭으로 하회하였다. 추가적으로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패널분석을 수행한 결과, 유연성 측면에서는 상용직 해고 규제가 느슨할수록, 임시직 고용 규제는 엄격할수록 노동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감정노동이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매개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Mediated b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한나영;배상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157-7165
    • /
    • 2015
  • 본 연구는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반생산적 과업행동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공변량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감정노동 차원 중 감정표현빈도는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정표현주의정도, 감정부조화는 직무만족에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조직몰입은 개인 조직 대상 반생산적 과업행동 모두에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의료기관 종사자들이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감정노동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그들이 업무수행 중에 겪게 되는 감정노동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안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미용업 관련 종사자의 감정노동,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직무긴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motional labor and stress coping behaviors on job strain in cosmetology industry workers)

  • 조희숙;강리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311-1317
    • /
    • 2014
  • 본 연구는 미용업 종사자들의 감정노동,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직무긴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미용업 관련 종사자들의 직무긴장 완화와 직무효율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들의 직무긴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감정노동의 표면행위와 문제중심 대처, 무관심 대처, 사회적 지지대처가 직무긴장에 30%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감정노동 중 표면행위는 직무긴장과 순상관관계가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행동에서 문제중심대처와 사회적 지지대처와는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 중 진심행위는 문제중심대처, 희망대처, 사회적 지지대처, 긍정대처, 긴장해소대처와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용업 종사자들의 직무긴장에 대한 중재에 있어서는 감정노동에 대한 중재와 더불어 건강하고 긍정적인 스트레스대처에 대한 교육과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A Study on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f Sales and Service Workers

  • Bok, Mi-Jung;Hong, Eun-Si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47-154
    • /
    • 2021
  • 본 연구는 판매서비스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판매서비스직 종사자들은 감정노동의 표면행동보다 내면행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타주의는 근무경력에 따라, 양심행동은 성별에 따라, 직장-가정 갈등은 연령, 결혼여부, 1일 평균 고객 응대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노동의 표면행동이 높을수록 이타주의는 증가하였으며, 내면행동이 높을수록 직무소진과 직장-가정 갈등은 감소하였고, 이타주의와 양심행동은 증가하였다. 넷째, 감정노동과 관련된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감정노동의 내면행동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