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el Embedding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초

다중 레이블 분류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스킵 연결 오토인코더 기반 레이블 임베딩 방법론 (Label Embedding for Improving Classification Accuracy UsingAutoEncoderwithSkip-Connections)

  • 김무성;김남규
    • 지능정보연구
    • /
    • 제27권3호
    • /
    • pp.175-197
    • /
    • 2021
  • 최근 딥 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뉴스, 블로그 등 다양한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분석에 딥 러닝 기술을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다양한 텍스트 분석 응용 가운데, 텍스트 분류는 학계와 업계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대표적인 기술이다. 텍스트 분류의 활용 예로는 정답 레이블이 하나만 존재하는 이진 클래스 분류와 다중 클래스 분류, 그리고 정답 레이블이 여러 개 존재하는 다중 레이블 분류 등이 있다. 특히, 다중 레이블 분류는 여러 개의 정답 레이블이 존재한다는 특성 때문에 일반적인 분류와는 상이한 학습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다중 레이블 분류 문제는 레이블과 클래스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예측의 난이도가 상승한다는 측면에서 데이터 과학 분야의 난제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레이블을 압축한 후 압축된 레이블을 예측하고, 예측된 압축 레이블을 원래 레이블로 복원하는 레이블 임베딩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딥 러닝 모델인 오토인코더 기반 레이블 임베딩이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기법은 클래스의 수가 무수히 많은 고차원 레이블 공간을 저차원 잠재 레이블 공간으로 압축할 때 많은 정보 손실을 야기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토인코더의 인코더와 디코더 각각에 스킵 연결을 추가하여, 고차원 레이블 공간의 압축 과정에서 정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레이블 임베딩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인 'RISS'에서 수집한 학술논문 4,675건에 대해 각 논문의 초록으로부터 해당 논문의 다중 키워드를 예측하는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 방법론이 기존의 일반 오토인코더 기반 레이블 임베딩 기법에 비해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그리고 F1 점수 등 모든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Constrained Sparse Concept Coding algorithm with application to image representation

  • Shu, Zhenqiu;Zhao, Chunxia;Huang, P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9호
    • /
    • pp.3211-3230
    • /
    • 2014
  • Recently, sparse coding has achieved remarkable success in image representation tasks. In practice, the performance of clustering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if limited label information is incorporated into sparse coding. To this end, in this paper, a novel semi-supervised algorithm, called constrained sparse concept coding (CSCC), is proposed for image representation. CSCC considers limited label information into graph embedding as additional hard constraints, and hence obtains embedding results that are consistent with label information and manifold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original data. Therefore, CSCC can provide a sparse representation which explicitly utilizes the prior knowledge of the data to improve the discriminative power in clustering. Besides, a kernelized version of our proposed CSCC, namely kernel constrained sparse concept coding (KCSCC), is developed to deal with nonlinear data, which leads to more effective clustering performance. The experimental evaluations on the MNIST, PIE and Yale image sets show the effectiveness of our proposed algorithms.

An Efficient Deep Learning Ensemble Using a Distribution of Label Embedding

  • Park, Saero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27-3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레이블 임베딩의 분포를 반영하는 딥러닝 모형을 위한 새로운 스태킹 앙상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앙상블 방법론은 기본 딥러닝 분류기를 학습하는 과정과 학습된 모형으로 부터 얻어진 레이블 임베딩을 이용한 군집화 결과로부터 소분류기들을 학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방법론은 주어진 다중 분류 문제를 군집화 결과를 활용하여 소 문제들로 나누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군집화에 사용되는 레이블 임베딩은 처음 학습한 기본 딥러닝 분류기의 마지막 층의 가중치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군집화 결과를 기반으로 군집화 내의 클래스들을 분류하는 소분류기들을 군집의 수만큼 구축하여 학습한다. 실험 결과 기본 분류기로부터의 레이블 임베딩이 클래스 간의 관계를 잘 반영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한 앙상블 방법론이 CIFAR 100 데이터에 대해서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라벨 정보를 이용한 Few-shot Learning 환경에 강건한 중첩 개체명 인식 모델 (A Nested Named Entity Recognition Model Robust in Few-shot Learning Environments using Label Information)

  • 황현선;이창기;고우영;강명철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3년도 제35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622-626
    • /
    • 2023
  • 중첩 개체명 인식(Nested Named Entity Recognition)은 하나의 개체명 표현 안에 다른 개체명 표현이 들어 있는 중첩 구조의 개체명을 인식하는 작업으로, 중첩 개체명 인식을 위한 학습데이터 구축 작업은 일반 개체명 인식 학습데이터 구축보다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ew-shot Learning 환경에 강건한 중첩 개체명 인식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Biaffine 중첩 개체명 인식 모델의 출력 레이어를 라벨 의미 정보를 활용하도록 변경하여 학습데이터가 적은 환경에서 중첩 개체명 인식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GENIA 중첩 개체명 인식 데이터의 5-shot, 10-shot, 20-shot 환경에서 기존의 Biaffine 모델보다 평균 10%p이상의 높은 F1-measure 성능을 보였다.

  • PDF

동영상을 위한 새로운 워터마킹 방법 (A New Watermarking Method for Video)

  • 김덕령;박성한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6S권12호
    • /
    • pp.97-10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group of picture 변화에 강하도록 레이블을 동영상에 내장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DCT와 IDCT 과정 없이 화소 영역에서 레이블을 내장하지만 DCT 주파수 영역에서 내장된 레이블을 검출한다. 레이블을 내장할 때 동영상의 품질을 훼손하지 않기 위해서 인간 시각 시스템에 기초한 워터마크의 크기를 구한다. DCT 주파수 영역에서 레이블을 검출할 때 화소 패턴과 DCT 계수의 부호 열 정보를 가지는 lookup table을 이용한다. 중심 극한 이론을 사용하여 MPEG2 부호화된 동영상에서의 레이블 검출 비트 에러율을 분석하고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한다.

  • PDF

Semantic Feature Analysis for Multi-Label Text Classification on Topics of the Al-Quran Verses

  • Gugun Mediamer;Adiwijaya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20권1호
    • /
    • pp.1-12
    • /
    • 2024
  • Nowadays, Islamic content is widely used in research, including Hadith and the Al-Quran. Both are mostly used in the field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especially in text classification research. One of the difficulties in learning the Al-Quran is ambiguity, while the Al-Quran is used as the main source of Islamic law and the life guidance of a Muslim in the world. This research was proposed to relieve people in learning the Al-Quran. We proposed a word embedding feature-based on Tensor Space Model as feature extraction, which is used to reduce the ambiguity. Based on the experiment results and the analysis, we prove that the proposed method yields the best performance with the Hamming loss 0.10317.

효율적인 특허정보 조사를 위한 분류 모형 (A Novel Classification Model for Efficient Patent Information Research)

  • 김영호;박상성;장동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03-110
    • /
    • 2019
  • A patent contain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eveloped technology and is published to the public. Thus, patents can be u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technology trend research and prediction techniques. Recently, due to the advantages of patented analytical methodology, IP R&D is carried out worldwide. The patent is big data and has a huge amount, various domains, and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characteristics. For this reason,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collecting and researching patent information. Patent research generally writes the Search formula to collect patent documents from DB. The collected patent documents contain some noise patents that are irrelevant to the purpose of analysis, so they are removed. However, eliminating noise patents is a manual task of reading and classifying technology, which is time consuming and expensiv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odel that automatically classifies The Noise patent for efficient patent information research.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Patent Embedding using Word2Vec and generates Noise seed label. In addition, noise patent classif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Random forest. The experimental data is published and registered with the USPTO among the patents related to Ocean Surveillance & Tracking Network technology. As a result of experimenting with the proposed model, it showed 73% accuracy with the label actually given by experts.

워드 임베딩 기반 근사 Top-k 레이블 서브그래프 매칭 기법 (Approximate Top-k Labeled Subgraph Matching Scheme Based on Word Embedding)

  • 최도진;오영호;복경수;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33-43
    • /
    • 2022
  • 지식 그래프 및 단백질 상호 작용과 같은 실제 데이터에서 개체들과 개체들의 관계 및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레이블 그래프를 사용한다. IT의 급속한 발전과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로 사용자에게 관심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브 그래프 매칭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레이블의 의미적 유사성과 그래프 구조 차이를 고려한 근사 Top-k 서브 그래프 매칭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레이블 의미적 유사도를 고려하기 위하여 FastText을 활용한 학습 모델을 이용한다. 레이블 간 의미적 유사도를 미리 계산한 LSG(Label Similarity Graph)를 통해 처리 속도의 효율을 높인다. LSG를 통해 레이블이 정확하게 일치해야 확장이 가능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해결한다. 2-hop까지 탐색을 수행함으로써 질의 그래프에 대한 구조적 유사성을 지원한다. 매칭된 서브 그래프는 유사도 값 기반으로 Top-k 결과를 제공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보이기 위하여 다양한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피보나치트리에서 피보나치 에지 번호매김방법 (The Fibonacci Edge Labelings on Fibonacci Trees)

  • 김용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6권6호
    • /
    • pp.437-45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피보나치 트리에 에지번호매김을 하여 피보나치 수들의 집합 {$F_k|k\;{\geq}\;2$}, {$F_{2k}|k\;{\geq}\;1$} 그리고 {$F_{3k+2}|k\;{\geq}\;0$}인 세가지 경우의 에지번호 집합을 얻는 7가지의 에지번호매김방법들을 제안한다. 이러한 에지번호들의 집합은 상호연결망의 일종인 원형군의 설계시 점프열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망척도 중 하나인 분지수를 결정한다.

계층적 레이블 임베딩을 이용한 세부 분류 개체명 인식 (Fine-grained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Hierarchical Label Embedding)

  • 김홍진;김학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51-256
    • /
    • 2021
  • 개체명 인식은 정보 추출의 하위 작업으로, 문서에서 개체명에 해당하는 단어를 찾아 알맞은 개체명을 분류하는 자연어처리 기술이다. 질의 응답, 관계 추출 등과 같은 자연어처리 작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세부 분류 개체명 인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그러나 기존 개체명 인식 성능에 비해 세부 분류 개체명 인식의 성능이 낮다. 이러한 성능 차이의 원인은 세부 분류 개체명 데이터가 불균형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분류 개체명 정보를 활용하여 세부 분류 개체명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과 대분류 개체명 인식의 오류 전파를 완화하기 위한 2단계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레이블 주의집중 네트워크 기반의 구조에서 레이블의 공통 요소를 공유하여 세부 분류 개체명 인식에 효과적인 레이블 임베딩 구성 방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