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S research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3초

Characteristics of Faculty Mentor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octoral Education

  • 이종욱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31-252
    • /
    • 2016
  • Mentoring by faculty advisors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outcomes of doctoral students. However, few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faculty mentors. To deal with this lack of research, the author attempt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faculty mentors from the perspectiv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doctoral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In the study, the author combined interviews and a surve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aculty mentors. The interview and survey findings present a list of characteristics that are comprehensive and specific to LIS doctoral education. Specifically, the author describes a faculty mentor as a well-rounded person who possesses both professional and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findings show some aspects in which the current advising/mentoring could improve. The current study offers a guideline for the accomplishment of doctoral mentoring at a concrete level, rather than vaguely recommending that faculty advisors support the professional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of their students. In a following paper, the author will relat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doctoral students to their perception of mentors.

문헌정보연구의 이론 활용성 분석 (An Analysis of Theory Use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 정동열;김성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5-198
    • /
    • 2003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논문에서 저자들의 이론 활용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문헌정보학회지와 정보관리학회지를 대상으로 지난 30년간 연구된 654편의 논문에 대한 내용분석이 이루어 졌다. 주요 연구내용은 연구논문의 연대별 생산성, 세부주제영역별 생산성, 연구에 활용된 이론의 유형과 근원, 개별 이론별 활용도, 세부주제 영역별 활용도, 학회지별 활용도 등에 대한 개념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이론의 개념적 기준 설정과 문헌정보연구의 세부주제영역에 대한 새로운 분류 체계, 특히 이론의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이론 활용 5단계’ 모델을 제시하였다.

수문기상 데이터 세트를 이용한 KLDAS(Korea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의 토양수분·증발산량 산출 (Calculation of Soil Moisture and Evapotranspiration for KLDAS(Korea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using Hydrometeorological Data Set)

  • 박광하;이경태;계창우;유완식;황의호;강도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5-8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LIS(Land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구축된 K-LIS(Korea-Land surface Information System)의 KLDAS(Korea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를 사용하여 남한 전역을 대상으로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을 산출하였다. K-LIS를 구동하고, KLDAS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된 수문기상 데이터 세트는 MERRA-2(Modern-Era Retrospective analysis for Research and Applications, version 2), GDAS(Global Data Assimilation System) 그리고 종관기상관측(ASOS,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자료이다. ASOS는 지점 자료이므로 KLDAS에 적용하기 위해 0.125°의 공간해상도를 가진 격자형 자료로 변환하였다(ASOS-S, ASOS-Spatial). KLDAS에 적용된 수문기상 데이터 세트를 지상관측자료(ASOS)와 비교한 결과 ASOS-S, MERRA-2, GDAS의 R2 평균은 각각 온도(0.994, 0.967, 0.975), 기압(0.995, 0.940, 0.942), 습도(0.993, 0.895, 0.915), 강우량(0.897, 0.682, 0.695)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토양수분의 R2 평균은 ASOS-S(0.493), MERRA-2(0.56), GDAS(0.488)이며, 증발산량의 R2 평균은 ASOS-S(0.473), MERRA-2(0.43), GDAS(0.615)로 분석되었다. MERRA-2, GDAS는 다수의 위성 및 지상관측자료를 활용하여 품질관리된 데이터 세트인 반면, ASOS-S는 103개 지점의 관측자료를 사용한 격자 자료이다. 따라서, 관측자료간 거리 차이로 인한 오차가 발생하여 정확도가 낮아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ASOS보다 많은 지점의 관측자료를 확보하여 적용한다면 격자화로 인한 오차가 줄어들어 정확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Meta-Analysis of Associations Between Classic Metric and Altmetric Indicators of Selected LIS Articles

  • Vysakh, C.;Babu, H. Rajendr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0권4호
    • /
    • pp.53-65
    • /
    • 2022
  • Altmetrics or alternative metrics gauge the digital attention received by scientific outputs from the web, which is treated as a supplement to traditional citation metrics.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meta-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classic citation metrics and altmetrics indicator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articles. We followed the systematic review method to select the articles and Erasmus Rotterdam Institute of Management Guidelines for reporting the meta-analysis results. To select the articles, keyword searches were conducted on Google Scholar, Scopus, and ResearchGate during the last week of November 2021. Eleven articles were assessed, and eight were subjected to meta-analysis follow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findings reported negative and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citations and altmetric indicators among the selected articles, with varying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from -.189 to 0.93. The result of the meta-analysis reported a pooled correlation coefficient of 0.47 (95% confidence interval, 0.339 to 0.586) for the articles. Sub-group analysis based on the citation source revealed that articles indexed on the Web of Science showed a higher pooled correlation coefficient (0.41) than articles indexed in Google Scholar (0.30).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pooled correlation between citation metrics with altmetric indicators was positive, ranging from low to moderate. The result of the study gives more insights to the scientometrics community to propose and use altmetric indicators as a proxy for traditional citation indicators for quick research impact evaluation of LIS articles.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특징적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Changing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 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79-107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교과과정 연구가 심층적으로 진행된 1991년의 자료로부터 출발하여 2014년까지 약 23년간의 교과과정의 변화를 6~7년 단위로 분석하되, 문헌정보학 학문영역 중에서 특징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분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서지학 분야의 과목은 1997년 69과목에서 2014년에 51과목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록관리학 과목의 경우 2005년의 33과목에서 2014년에는 57과목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학분야의 과목은 1997년 63과목에서 2014년 19과목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헌정보학일반 분야에 분류된 과목들을 분석한 결과 문헌정보학개요 관련과목, 현장실습과목, 출판과저작권 관련과목, 진로지도 관련과목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서관사 관련과목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직 고용현황 및 인력개발에 대한 현장사서 요구 분석 (Analysis of Field Librarians' Employment Need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Librarianship)

  • 노영희;안인자;오세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1-91
    • /
    • 2013
  • 사서직 분야의 인적자원개발이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서관 및 관련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한 인적자원 현황 파악을 토대로 향후 예상되는 인적자원의 양성 및 활용과 관련된 인력수급 전략과 법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력 고도화를 위한 기초 취업 현황, 취업 환경 및 관련 이슈의 종합적 분석 등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사회적 환경과 관련 제도 및 법을 포함하는 정책적 환경, 인적자원 양성 측면에서 현황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도서관 현장의 사서직 수요조사를 통하여 현장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서직의 두드러진 특징은 사서직의 여성에 편중된 성별 불균형 현상, 비정규직 증가, 그리고 도서관 분야 진출에 대한 높은 기대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둘째,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차이가 크지 않으나 임금이나 복지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사서의 사서직 교육 요구사항으로 현장 전문가 멘토링, 단기인턴십, 사서실습 등을 제시하고 있었고, 취업요건으로 인턴이나 실습, 어학능력, 각종 자격증 취득, 경력관리 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관기관의 사서자격증 보유자는 20%나 더 많은 사서자격증 보유자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널 결합 분석을 이용한 한국 문헌정보학 저널의 입지 변화에 대한 계량서지적 분석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Changes of Korean LIS Journals' States with Journal Coupling Analysis)

  • 이재윤;최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1-95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학술지 사이에 저자 집단의 중복 정도를 측정하는 저널 결합 분석을 통해 한국 문헌정보학 학술지의 두 가지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최근 10년 동안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의 경향을 설명했다. 가장 두드러진 추세는 기록관리학 분야가 주요 연구 분야로서 문헌정보학 영역에 정착했다는 점이다. 학술지 간의 저자 결합정도를 이용해서 투고 선호 지수 PPI (Publishing Preference Index)와 연구자 유인 지수 RAI (Researcher Attraction Index)의 두 가지 지표를 제안하였다. 분석 기간 동안 두 지수 모두 상당한 변화가 있었는데 특히 PPI 순위의 역전은 학술지 투고 저자 집단이 변화했다는 증거로 해석될 수 있다. RAI 지수 분석은 한국 문헌정보학 연구자들의 투고를 유인하는 각 학술지의 매력도를 측정하고 두 학술지 사이의 저자 공유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학문분야 내에서 특정 학술지의 입지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학문분야 내에서 비교적 독립적인 학술지를 찾거나, 강력하게 서로 결합한 학술지를 찾을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저널 결합 분석은 특정 분야나 학제적인 분야 학술지의 특성을 보여주는 효과적인 분석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정보격차 연구 동향 분석 - 문헌정보학분야와 일반사회과학분야와의 비교 - (A Study on the Information Divide Research Trends - Comparative Analysis of LIS Fields and Other Social Science Fields -)

  • 이성신;강보라;이세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39-16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분야와 일반 사회과학 분야의 정보격차 연구 동향을 관련 연구논문들의 키워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을 통해 2000년도부터 2019년 현재까지의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저자 키워드를 추출하여 NetMiner4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문헌정보학 분야의 경우 공공도서관의 정보소외 계층을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비해 일반 사회과학 분야의 경우는 정보사회의 특성에 주목한 연구들과 최근의 스마트 환경에서의 정보격차 현상에 주목한 연구들이 많았다. 또한 소외계층 중에서는 노인에 대한 연구가 일반 사회과학 분야에 비해 많지 않았다. 따라서 노인의 정보격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공공도서관 중심에서 여러 관종의 도서관들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또한 문헌정보학 분야의 경우 새로운 정보환경에서의 정보격차에 대한 이해를 시도한 연구가 많지 않았다. 따라서 4차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새로운 스마트환경에서의 정보격차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문헌정보학 분야의 질적 연구 동향과 과제 (Some Trends and Issu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7-201
    • /
    • 2005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질적 연구의 특성과 유형을 알아보고,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그리고 이들을 저해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공통점과 보완점을 살펴보았으며, 국내 문헌정보학계에서 수행된 질적 연구의 수준을 가늠해 보고,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행된 연구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질적 연구방법과 관련하여 제기된 문제점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병행 사용, 연구자의 주관성 극복위한 충분한 자료 제시, 연구과정의 철저한 관찰 및 조사과정의 반복, 타당도와 신뢰도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 설계, 다양한 질적분석 도구의 활용, 자료의 분석과 해석에서의 엄밀성 등으로 나타났다.

  • PDF

주요 학술지 주제분석을 통한 정보학 연구동향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 Subject in the Recent Journals of Information Science)

  • 유사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9-197
    • /
    • 2003
  • 정보학의 연구동향을 살피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최근 3년간 주요 학술지 논문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은 최근 정보학 연구의 지식구조의 변화 탐지를 주목적으로 새로이 개발된 IS Taxonomy(Hawkins, 2003)를 적용했으며 이로써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2000년 초반기의 정보학 연구의 공통된 특성이나 차이를 살펴보았다. 학술지를 통하여 나타난 중심주제와 그로써 표출되는 연구 동향이나 추세의 특징이 국내외 환경을 구분하는지 여부를 검증했으며 기존 연구방향과 비교하고 그로 나타나는 도서관 관련 학술연구에 대한 사회수요의 변화를 분석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