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S curriculum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2초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Subject Specialist)

  • 남영준;허운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9-6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개선된 문헌정보학교육 및 교과과정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개 대학교와 미국의 3개 대학교의 교과과정 및 미국도서관헙회(ALA: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도서관교육협회(ALISE : Associ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와 기타 기관에서 정보전문가(information specialist)의 양성 과정을 비교$\cdot$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국내 대학의 문헌정보학과교육과정에 개설된 교과목과 수와 학점 수를 고려하여 미래지향적인 주제전문사서 양성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교 교육과정에서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북미지역 iSchool 대학과 L-School의 교육과정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Curriculum of iSchools and L-School in North America)

  • 김희섭;남권희;강보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95-314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북미의 iSchool 대학들의 교육과정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해당지역 17개 iSchool 대학 집단과 동일한 수의 L-School 대학 집단을 선정하였다. 해당 대학의 대학원 개설 교과목 정보는 주로 해당 대학 공식 웹사이트와 전자메일 문의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교과목은 8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아울러 L-School 대학 집단과 비교분석도 실시하였다. 분석도구로는 SPSS 19.0을 사용하였고, 두 집단 차이분석을 위해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iSchool 대학 집단의 개설 교과목 비율을 분석한 결과 '정보학', '실습연구', '도서관정보센터경영' 영역이 높은 순위를 보였고, L-School 대학 집단의 개설 교과목 영역과 차이분석을 한 결과에서는 '문헌정보학일반' 영역은 더 낮게, '정보학',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 '실습연구' 영역은 더 높게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LIS Students about Public Library's Subject Special Services and Subject Special Librarian)

  • 노영희;오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5-25
    • /
    • 2018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의 인식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연구이다. 전국의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지 수준, 필요성 인식 수준, 주제전문사서의 역량과 현재 학생들의 역량, 주제전문사서의 자격제도 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수준, 주제전문사서로 일하고자 하는 의사, 주제전문사서 역량을 구비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인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전문사서의 역량은 학사제도와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을 통해서 구비하고 있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응답자 비율도 높았다. 주제전문사서 자격제도화 필요성이 있다고 하였고, 주제전문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주제전문성이 가장 중요한데, 현재 학생들은 스스로 주제전문성 부분이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들의 현재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유능한 주제전문사서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방안 개발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미국 정보 대학의 데이터사이언스 학위 현황 연구 (Degree Programs in Data Science at the School of Information in the States)

  • 박형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305-33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이 있는 정보 대학에서 수여하는 데이터사이언스 학위의 현황을 알아보는 것이다. 데이터 수집의 대상은, 2022년 미국도서관협회의 인가를 받은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이 있는 64개의 대학에서 수여하는 데이터사이언스 학위였다. 분석의 대상은 각 대학의 데이터사이언스 학위 과정, 부전공, 세부 전공, 수료증, 취업 후 예상 진로, 취업률 등이었다. 교과 분석을 위해 미국 정보 대학에서 제시한 교과목 명, 교과 설명, 중점 교육 분야를 분석했다. 데이터사이언스를 학위 명으로 개설한 대학은 총 8개 정보 대학의 12개 학위였으며, 학사 학위 5개, 석사 학위 6개, 박사 학위 1개였다. 개설된 교과의 주제는 데이터사이언스 입문, 정보검색, 데이터마이닝,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와 인문학, 머신 러닝, 메타데이터, 연구 방법론,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실습/캡스톤, 윤리 및 보안, 이용자, 정책, 큐레이션 및 관리였다. 대부분의 대학은 전통적인 문헌정보학 교과를 개설하지 않고 있었다. 정보 대학이 제시한 졸업 후 예상 취업 진로는 데이터사이언티스트, 데이터 엔지니어, 데이터 분석가 등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보학의 관점에서 데이터사이언스 학위 과정, 세부 전공, 수료증 또는 교과과정 개발 및 개정을 위한 논의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국내외 문헌정보학 주요교과목 강의계획서분석을 통한 수업내용 및 방법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urriculum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Syllabi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and Foreign Universities)

  • 최상기;안인자;노영희;김주섭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23-245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외 대학 문헌정보학 주요 교과목의 강의계획서 내의 수업내용, 수업방법 및 평가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과 차이점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는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내용 및 방법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국외 문헌정보학과의 정보조직론, 정보서비스론, 정보검색론, 도서관경영론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여 수업내용과 방법 및 평가방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과목별로 교과내용과 수업방법, 평가방법에 있어서 국외대학과 국내대학 간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업방식에서 국내대학에서는 강의, 발표, 시험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외국의 경우 워크숍, 프로젝트, 시스템모델개발, 시뮬레이션, 사례연구, 전문가인터뷰 등 다양하게 시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문헌정보학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 운영과 학습만족도 측정연구 (A Study on the LIS Capstone Design Curriculum and the Learning Satisfaction Survey)

  • 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89-11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 캡스톤 디자인 과목을 개설하고 강의계획서 및 매뉴얼을 개발하여 적용하였으며, 교육전후 설문을 통하여 교과목 성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필요요소는 수행기대효과와 0.414의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학습성과기대와는 0.452의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수행기대효과는 학습성과기대와 0.767의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둘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에 대한 이해정도는 교육과정 수행 전 3.56이었으나 교육과정 수행 후 4.07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필요요소에 대한 인식은 교육과정 수행 전 4.13이었으나 교육과정 수행 후 4.39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수행기대효과에 대한 인식은 교육과정 수행 전 3.77이었으나 교육과정 수행 후 3.88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은 교육과정 수행 전 3.79이었으나 교육과정 수행 후 4.22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Suggesting Structure and Direction of 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Applying Design Thinking Methods

  • 이경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39-363
    • /
    • 2023
  • In response to the changing needs of users and library service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library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that reflects such change and to foster competent librarians. Recent studies abroad have emphasized the need for librarians who can apply design thinking methods which is a problem-solving methodology that expansively explores various alternatives and derives results, in response to recent changes and problems occurring in libraries.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how design thinking methods can be taught an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nd librarians involved in the course, a case study is conducted of a class that applied design thinking methods and students and librarians have been interviewed who ha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class. By reflecting on the needs of students and librarians', this study explored new directions of what forms courses can take for future libraria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mo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design thinking, the value of cooperation, problem-solving ability, flexibility and iteration of design characteristics was considered as the value of a class for LIS students and librarians where design thinking methods were applied. From the findings, the research suggests future directions of creating more structured courses that involve an element of design thinking.

연구방법론 과목의 교육내용 및 현황분석 (Research Methods and Library & Information Spence Education)

  • 박소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9-326
    • /
    • 2002
  • 한 학문분야의 연구의 질을 향상시키고, 연구를 수행하거나 비판할 수 있는 연구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연구방법론의 견실한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석사 과정에서의 연구방법론 교육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고, 연구방법론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석사과정이 개선된 국내 22개 문헌정보학과 및 도서관학과를 대상으로 연구방법론 교육의 개선현황, 특성과 동향을 분석하고, 미국 문헌정보학 석사과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향후 연구방법론 교육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우리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 공공도서관 사서직에 적합한가? (LIS curriculum in korea, Is it proper for public librarianship)

  • 이기명;이제환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5년도 제1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5-233
    • /
    • 2005
  • 이 연구는 '우리 문헌정보학은 현장의 요구와 필요에 충실히 부응하고 있는가?'에 대한 기본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공공도서관 현장의 요구를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이 얼마나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기위해 공공도서관 사서들이 업무수행을 위해 필요로 하고 있는 지식(knowledge), 기술(skill)과 태도(attitude)는 무엇인가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도서관 현장의 관점을 중시하며 공공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해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이 보완${\cdot}$강화해 나가야 할 부분을 짚어보았다.

  • PDF

Analysis of the Librarian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 Yoon, Hee-Yoon;Kim, Sin-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45-62
    • /
    • 2021
  • Half a century has passed since the academic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hich was bor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the Western world, was introduced to Korea. Despite years of quantitative growth and qualitative maturation, the field has been facing the inconvenient truths of discrepancies in education levels arising from varying education providers, and weakened public confidence in librarian certification. Based on analysis of librarian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and the certification system, this research seeks to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the national librarian certification system, which is losing public confidence, and present a model for improvemen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has expanded from universities to the academy of librarian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centers, and the librarian certification system has emerged as a target of reform. This research presents measures to improve the librarian certification system to government bodies and the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grounds for policy enforc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