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

검색결과 14,241건 처리시간 0.045초

광량자센서와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발광다이오우드 광량자속의 정량화 (Quantifying of Photon Flux Emitting from Light-emitting Diodes Using a Quantum Sensor and Spectroradiometer)

  • 김용현;박현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23-229
    • /
    • 2000
  • 식물묘의 생장 및 형태형성 제어용 인공광원으로서 조합광 LED 모듈을 제작하여 조합광 LED모듈의 광전기 특성을 분석하고, 광량자 센서와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LED 모듈로부터 조사된 광량자속에 대한 정량화를 시도하였다. 청색과 적생의 단색광 LED로부터 조사된 광량자속을 광량자센서로 측정한 값과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여 수치적으로 적분한 값을 qly한 결과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광량자센서로서 측정이 불가능한 원적색광 LED로부터의 광량자속 정량화에 분광광도계를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적생광에 원적색광을 조사하는 LED스틱의 혼합 비율을 달리한 조합광 LED 모듈의 광량지속은 원적색광을 조사하는 LED 스틱이 증가할수록 조합광 LED의 광량자속이 조금씩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위에너지당 조사된 광량지수는 파장에 비례해서 증가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밖에 적색과 원적색광 LED 스틱의 조합 비율을 달리하였을 때 조합광 LED 모듈의 조도는 비시감도가 매우 낮은 원적색광이 차지하는 비율이 클수록 낮게 나타났다. 한편 적색광과 원적생광의 혼합 정도가 조합광 LED의 복사조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ED Down Light(12W) 용 SMPS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SMPS for LED Down Light(12W))

  • 김관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34-535
    • /
    • 2013
  • 최근 LED 기술을 활용한 LED 조명은 밝기와 수명 및 저전력이라는 장점으로 인하여 현재 시중에 급속도로 퍼저 나가고 있다. 이러한 LED를 조명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반 기술은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설계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LED 성능은 입력 전원 상태 및 LED 조명의 부하 조건에 따라 오차가 발생하여 LED등의 균일한 밝기를 유지하는데 기술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12[W] 급 LED 다운 라이트에 대하여 LED SMPS의 전류 출력에 대하여 정전류제어를 함으로서 입/출력 조건의 변동에 대응하여 보다 안정적인 LED 등의 균일한 밝기를 유지하기 위한 12[W] 급 LED 다운 라이트용 SMPS에 PFC(Power Factor Correction) 회로를 추가하여 역율을 개선을 하며, 전압 위상에 따른 전류 위상 분포를 규일 비율로 제어 하여 보다 안정적인 밝기를 제공하는 12[W] 급 LED 조명용 SMPS를 개발하여 상품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LED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알고리즘 (Data Transmission Algorithm for LED Communication Systems)

  • 김경호;황유민;김진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44-49
    • /
    • 2013
  • LED 통신은 LED(Light Emitting Diode)에서 나오는 가시광선을 이용해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통신기술로 RF(Radio Frequency) 통신의 문제점인 주파수 할당, 인체 내 유해성, 보안의 취약성, 전자기기 간 간섭 등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다. LED를 이용하여 조명과 통신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융합 기술로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LED, PD(Photodiode) 및 MCU(Micro Controller Unit)를 이용한 LED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구현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LED를 사용한 조명시스템의 에너지효율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nergy efficiency of lighting system using LED)

  • 이연석;최상의;이민국;박건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71-974
    • /
    • 2014
  • 본 논문은 최근의 에너지 절감의 사회적 관심을 반영한다. LED 시장은 지속적 성장을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 led 조명은 빛 에너지 변환율이 높지 않다.이러한 LED 조명에 대하여 빛 변환 에너지 절감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의 LED 조명은 전력 변화를 각각의 조명에서 이루어지므로 인한 변환 손실의 누적이 발생한다. 손실 누적 발생을 최소화 하여 에너지 손실 성능 개선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 PDF

PA스피커 시설물 부착형 LED패치의 음원감성 연계형 컬러코드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or Code Control Connected with Sound Source and Sensitivity of PA Speaker facility attachable LED Patch)

  • 김영민;신재권;차재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2-2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PA스피커 시설물 부착형 LED패치의 음원감성 연계형 컬러코드 제어 기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PA스피커 음원에 따라 LED패치의 컬러코드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한 PA스피커 시설물 부착형 LED 패치를 개발하였다. PA스피커 시설물 부착형 LED패치의 컬러코드 제어 기술은 PA스피커로부터 음원 감지 유무를 확인하고, 음원이 감지된 경우 아날로그 신호(음원)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컨트롤러에 전달하여 LED패치의 컬러코드 색상 및 패턴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PA스피커 시설물 부착형 LED패치의 음원감성 연계형 컬러코드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하여 PA스피커의 음원에 따라 효과적으로 컬러코드를 제어할 수 있는 PA스피커 시설물 부착형 LED패치 컬러코드 제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LED패치의 컬러코드 제어 유무를 통한 제안기술의 유용성을 보였다. PA스피커 시설물 부착형 LED패치의 음원감성과 연계된 컬러코드 제어 기술은 향후 다양한 분야에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응용사례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류제한 기능을 갖는 72[W ]급 파워 LED 태양광 보안등 (72[W] Power LED Photovoltaic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Current Limiting Function)

  • 박효식;한우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999-3004
    • /
    • 2010
  • LED는 다른 광원에 비해 동작수명이 길고, 친환경적이며, 에너지 효율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LED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고휘도, 고용량의 LED가 개발됨에 따라, 표시장치에만 적용되던 LED를 조명장치에도 적용하는 기술이 확산되고 있다. 조명장치에 적용되는 파워 LED는 발열문제로 인한 소손을 막기 위해 구동전류를 일정한 전류값 이하로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은 파워 LED의 구동전류를 설정된 값 이하로 제어하는 전류제 한 기능을 갖는 파워 LED 태양광 보안등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태양광 발전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DC12[V] 축전지에 저장한 후, 야간에 승압형 DC-DC 컨버터를 통해 DC24[V]로 승압시켜 파워 LED로 공급한다. 태양광 보안등 제어기, 승압형 DC-DC 컨버터, 72[W]급 파워 LED 램프를 개발하여 동작을 확인하고 관련 데이터를 도출함으로써 제안된 시스템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효율적인 LED 제어를 위한 다윗 스타 마방진 알고리즘 (A David Star Magic Square Algorithm for Efficient LED Control)

  • 이경민;인치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09-11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LED 조명 모듈의 소비전력 절감, 램프의 수명 및 열효율 과 점등 제어 효율성을 높인 다윗 스타 마방진 이용한 효율적인 LED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다. 기존의 마방진 알고리즘 이용한 점등 방식은 LED의 점등 시간이 줄어들고 교차 점등되기 때문에 그만큼의 발열이 줄어들어 LED의 효율을 높일 수 있었으나 점등 제어를 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할 경우에는 LED 조명 모듈의 소비전력 절감과 수명 및 열효율 높이는 동시에 LED의 점등 제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LED Matrix에 변형 마방진을 이용하여 1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완전대칭 되는 패턴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이동, 회전 및 반전 기법을 교차 수행하여 패턴을 점등을 하게 된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기존의 마방진을 이용한 점등 방식과 비교한 결과, 조명의 광속과 소비전력 그리고 발열량의 효율성은 기존 마방진을 이용한 LED 점등방식과 동일하고 제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정전류 구동에서 LED 고장 보상 회로 설계 (Design of Compensation Circuits for LED Fault in Constant Current Driving)

  • 이광;장민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1-76
    • /
    • 2022
  • 밝기가 동작 전류에 비례하는 LED 조명은 다수의 LED를 직렬 연결하여 정전류원으로 구동하는 방식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일부 LED가 고장으로 개방되면 전류 통로가 끊어져 직렬 연결된 모든 LED가 꺼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LED 동작 전압보다 약 0.4V 정도 높은 항복전압을 갖는 제너 다이오드를 개별 LED와 병렬로 연결하여 LED 고장 시 전류 우회로를 확보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회로를 설계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LED 정상 동작 시에는 제너 다이오드로 전류가 거의 흐리지 않고, LED 고장 시에는 제너 다이오드가 안정적으로 전류 우회로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LED 혼합광이 표고 '농진고' 자실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LED light sources on the fruiting body growth of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Nongjingo')

  • 박윤진;오태석;조용구;김창호;김태권;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9-263
    • /
    • 2017
  • 표고 '농진고'를 LED 혼합광에 따른 갓의 색차 및 경도차를 확인한 결과 갓의 명도값은 형광등 처리구 대비 LED혼합광 처리구 모두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적색도는 형광등 처리구에 비해 처리구 모두 높아졌고, 황색도는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광원별 자실체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형광등 대조구 대비 처리구 모두에서 갓직경이 컸으며, 자실체들에 대한 균일도는 형광등 처리구 대비 LED를 사용하였을 경우 낮은 값을 나타내어 형광등을 처리하는 것보다 균일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직경은 처리구간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White Green LED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대길이는 형광등 처리구보다 LED처리구 모두에서 다소 높게 조사되었다. 갓직경과 대길이의 비를 조사한 결과 White Green LED을 제외한 White LED와 White Blue LED에서 형광등 처리구 대비 높은 값을 나타내어 대길이에 비해 갓의 직경이 길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실체 물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확인한 결과 형광등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LED 처리는 White LED처리에서 가장 큰 항산화능을 확인하였고 White Green LED, White Blue LED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LED처리는 Vitamin C 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White LED와 White Blue 처리가 표고버섯 자실체의 생육 및 항산화능에 영향을 미치는 광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LED TV 통합검사유닛의 설계 (Design of LED TV Multi Test Unit)

  • 고훈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37-43
    • /
    • 2012
  • LED TV 통합검사유닛은 LED BLU의 구동과 동시에 이상 유무 체크, AGING 작업 등 LED BLU를 테스트하기 위한 검사 장비이다. 기존 검사 유닛은 LCD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생산라인에서 검사 유닛을 교체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한 가지 LED TV BLU 모델이 아닌 32 ~ 52인치의 다양한 LED TV BLU 모델을 수용할 수 있는 멀티형(통합형) 검사유닛으로 개발한다. 멀티형으로 개발하기 위해서 멀티 LED TV 통합검사유닛의 출력 전류를 80mA ~ 215mA의 범위로 다양한 출력이 되도록 만들고, LED BLU의 상태를 확인 하는 기능, 디밍(밝기 조절)기능 및 장시간 사용 시 열 발생 완화 기능 등을 구현한다. 또한 펌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패널에 대해서도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