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PCR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4초

Molecular Cloning of a Pepper Gene that Is Homologous to SELF-PRUNING

  • Kim, Dong Hwan;Han, Myeong Suk;Cho, Hyun Wooh;Jo, Yeong Deuk;Cho, Myeong Cheoul;Kim, Byung-D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2권1호
    • /
    • pp.89-96
    • /
    • 2006
  • "Determinate" and "indeterminate" inflorescences in plants are controlled by a single recessive gene, for example, SELF-PRUNING (SP) in Solanum lycopersicum, TERMINAL FLOWER1 in Arabidopsis, CENTRORADIALIS in Antirrhinum, and CENTRORADIALIS-like gene in tobacco. Pepper (Capsicum annuum L.) is an indeterminate species in which shoots grow indefinitely. In this study, we cloned and characterized the pepper SP-like gene (CaSP). RT-PCR revealed that the CaSP transcript accumulates to higher levels in floral buds than in other organs. Comparison of genomic DNA and cDNA sequences from indeterminate and determinate pepper plants revealed the insertion of a single base in the first exon of CaSP in the determinate pepper plants. CaSP is annotated in linkage group 8 (chromosome 6) of the SNU2 pepper genetic map and showed similar synteny to SP in tomato. Transgenic tobacco plants overexpressing CaSP displayed late-flowering phenotypes similar to the phenotypes caused by overexpression of CaSP orthologs in other plant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pper CaSP is an ortholog of SP in tomato.

Expressional Patterns of Adipocyte-Associated Molecules in the Rat Epididymal Fat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Period

  • Lee, Ki-Ho;Kim, Nan Hee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4호
    • /
    • pp.351-360
    • /
    • 2018
  • The adipogenesis is a maturation process of pre-adipocyte cell into mature lipid-filled adipocyte cell. The adipogenesis begins at the late prenatal stage and continues until the early postnatal age. Because the adipogenesis and formation of adipose tissue persist during postnatal period and are precisely regulated by the action of numerous gene products, the present research was attempted to determine the expressional patterns of adipose tissue-associated genes in the rat epididymal fat pad at different postnatal ages, from 7 days to 2 years of ages, using a quantitative real-time PCR analysis. The basal expression levels of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gamma,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transcription factor 1, fatty acid binding protein 4, adiponectin, leptin, and resistin at the early postnatal ag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at the elderly ages, even though a fluctuation of expressional levels was observed at some ages. The lowest expressional level of delta like non-canonical Notch ligand 1 was detected at 44 days and 5 months of ages. The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was the highest at 44 days of age, followed by a diminished expression of $PPAR{\gamma}$ at the elderly ages. These results indicate the existence of a complex regulatory mechanism(s) for expression of adipose tissueassociated genes in the rat epididymal fat during postnatal period.

함유황 다당체 Fucoidan의 인체 대장암세포(HT-29) 사멸과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coidan, a Sulfur-Containing Polysaccharide, on Cytotoxicity and Apoptosis in HT-29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 김민지;정하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4-21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y of fucoidan, a sulfur-containing polysaccharide, on cytotoxicity and apoptosis in the human HT-29 colorectal cancer cell line using cell viability, Flow cytometry, Western blot, and RT-PCR analyses. Fucoidan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HT-29 cells by 39.6% at a concentration of 100 ㎍/mL for 72 h. The inhibition was dose-dependent and accompanied by apoptosis. Flow cytometric analysis showed that fucoidan increased early apoptosis and late apoptosis by 65.84% and 72.09% at concentrations of 25 and 100 ㎍/mL,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mechanism of these events indicated that fucoidan-treated cells exhibited increases in the activation of caspase-3, caspase-8, and PARP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fucoidan may inhibit the growth of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by various apoptosis-promoting effects, as well as by apoptosis itself.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 nudus)의 Smad3와 Estrogen Receptor-related $Receptor\;{\beta}$ like 1 유전자 발현 (Gene Expression of Smad3 and Estrogen Receptor-related $Receptor\;{\beta}$ like 1 in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nudus)

  • 정유정;손영창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1호
    • /
    • pp.43-47
    • /
    • 2007
  •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TGF-{\beta})$ 신호의 매개자 역할을 하는 Smad 계열 단백질은 발생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Estrogen receptor(ER)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estrogen receptor-related receptor(ERR)은 포유동물에서 후기 배발생기에 외배엽 형성과 관련이 되어 있는 고아핵수용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무척추동물의 초기발생과정과 계절번식기 동안에 Smad3와 ERR의 유전자 발현이 발생과정과 성숙에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동해안 연안에 주로 서식하는 극피동물문 둥근성게과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 nudus)를 재료로 하여 계절별 및 배발생 과정중에 Smad3와 $ERR{\beta}$ like 1의 mRNA 농도를 real-time PCR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Smad3 mRNA는 샘플링을 시작한 2004년 2월의 생식소와 비교하면 4월부터 그 농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6월까지 증가하였으며, 산란기인 8월에 감소하였다가 10월부터 12월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ERR{\beta}$ like 1 mRNA는 6월까지 낮은 수준이었으나, 산란기인 8월에 급증한 후 다시 감소하였다. 수정란부터 초기 유생기까지 발생과정을 분석한 결과, Smad3 mRNA는 8세포기 및 16세포기에 높은 발현이 관측되었다. 한편, $ERR{\beta}$ like 1 mRNA는 포배기, 낭배기, 초기 유생기에 현저하게 높은 발현패턴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둥근성게의 산란기 및 발생배의 발생후기에 $ERR{\beta}$ like 1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추정되며, 초기 난할시기에는 Smad3의 관련성이 시사되었다.

  • PDF

Tumorigenicity of benzo(a)pyrene and benzo(a)pyrene diol epoxides in v-Ha-ras transgenic TG-AC mice

  • 이병무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1998년도 국제심포지움 및 추계학술대회
    • /
    • pp.36-36
    • /
    • 1998
  • Tumorigenicity of benzo(a)pyrene (BP) and benzo(a)pyrene diol epoxides ((+)BPDE-1, (-)BPDE-1) was investigated in transgenic TG-AC mice carrying v-Ha-ras oncogene fused to the promoter of the mouse embryonic a-like, z-globin gene. Animals were topically treated twice per week for 25weeks with BPDE (10$\mu$g/mouse) and BP (10, 20, 40$\mu$g/mouse). In addition, animals were treated with BPDE or BP (initiated) followed by TPA (2$\times$2.5$\mu$g/week, for 4 weeks) for promotion study. In the continuous treatment of BPDE or BP, animals treated with 40$\mu$g BP showed $100\%$ tumor response after 20 weeks, $40\%$ of mice for 20$\mu$g BP, and $20\%$ for (+)BPDE-1, but (-)BPDE-1 and 10$\mu$g BP did not show any tumor response. After 25 weeks, most tumors turned out to be carcinomas in animals treated with 40$\mu$g BP. In BPDE or BP/TPA Initiation-promotion study, papilloma response occurred earlier (6 weeks after TPA treatment) than in continuously treated animals with BPDE or BP. RT-PCR assay for transgene expression showed that BP or BPOE was not transgene dependent in its tumorigenicity, but TPA was. Several Cytokine genes(TGF-a, TNF-a) and c-myc gene expressions were monitored in skin tissues during BP carcinogenesis. In early stage of BP treatment, the gene expressions were elevated(c-myc,TGF-a) or unchanged(TNF-a) compared to control, but the levels were gradually decreased during both middle and late stages of cacinogenesis, Gene expression levels of skin papillomas in acetone initiated-TPA promoted animals were close to those of middle stage or between middle and late stages. i-NOS was also highly expressed in carcinoma and papilloma, These data suggest that transgene expressions of TG-AC mice were not dependent on BP carcinogenesis and that TG-AC mice were more sensitive to TPA regardless of types of initiators. In addition, genes(TGF-a, c-myc, TNF-a, i-NOS) were modulated in the skin during BP cacinogenesis or TPA promotion.

  • PDF

소아 보카바이러스 호흡기 감염증의 역학적 특징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Human Bocavirus-Associated Respiratory Infection in Children)

  • 최재홍;백지연;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1호
    • /
    • pp.61-67
    • /
    • 2011
  • 목 적 : 본 연구는 소아에서 보카바이러스와 연관된 하기도 감염증의 역학적인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0년 3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과 분당 서울대학교병원에 하기도 감염증으로 입원한 658명의 소아에게서 비인두 흡입 검체를 채취하였다. 다중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하여 11종의 바이러스를 조사하였고,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전체 호흡기바이러스는 658명의 환아 중 325명(49.4%)에서 검출되었다. 보카바이러스는 62명(9.4%)에서 검출되었으며, 3개월 이상 5세 미만에서 많았다. 보카바이러스가 중복감염이 확인된 것은 37.1%로, 전체 바이러스 양성 환자들의 중복감염률(12.3%)보다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 =0.000). 또한 늦은 봄부터 이른 여름인 5월부터 7월에 많이 검출되었다. 결 론 : 보카바이러스는 국내에서 소아의 하기도 감염증에서 유병률이 높았고, 특히 늦은 봄부터 초여름에 유행하였다.

흰쥐 자궁에서 난소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한 Adhesion 수용체 유전자 발현조절에 대한 연구 (Differential Expressions of Adhesion Receptor Genes in the Rat Uterus Associated with Ovarian Steroid Hormone)

  • 강한승;이채관;문덕환;강성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7권1호
    • /
    • pp.41-48
    • /
    • 2003
  • 본 연구는 생식주기 중의 흰쥐 자궁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들 중 adhesion수용체 유전자들의 발현이 프로게스테론(P$_4$)에 의하여 차별적으로 조절되는 실험을 하였다. 첫째 실험군은 난소절제 흰쥐와 배란기 흰쥐를 사용하였고(OVX/estrus), 둘째 실험군은 난소절제 흰쥐와 난소절제 후 P4를 주사한 흰쥐를 사용하였다(OVX/OVX+P$_4$). 적출한 자궁조직에서 total RNA를 추출, [$\alpha$$^{32}$P]-dATP로 probe를 제작한 후 Rat Atlas away 1.2 II(Clontech)을 이용하여 발현되는 유전자들을 선별하였으며, 그 중 adhesion 수용체 유전자들의 발현양상을 RT-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OVX/estrus 자궁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한 경우, 전체 1176개의 유전자들 중 P4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adhesion 수용체 유전자들은 embigin protein, activated leukocyte cell adhesion molecule, afadin, neuroligin 2, semaphorin Z, osteonectin 등 이었다. OVX/OVX+P$_4$자궁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한 경우, P$_4$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adhesion수용체 유전자들은 osteonectin, afadin, neuroligin 2, semaphorin Z 등 이었다. 그리고 afadin, neuroligin 2, semaphorin Z은 두 실험 군에 서 모두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이 유전자들은 P$_4$에 의하여 발현이 조절되어 배란 후 착상 준비에 관여할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생쥐 배아에서 Heparin-Binding Epidermal Growth Factor가 MMP-9과 ATPase ${\gamma}$-subunit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parin-Binding Epidermal Growth Factor on the Expression of MMP-9 and ATPase ${\gamma}$-subunit mRNA in the Mouse Embryo)

  • 홍석호;나희영;이지윤;김정희;김정훈;채희동;강병문;김문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8권2호
    • /
    • pp.87-93
    • /
    • 200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heparin-binding epidermal growth factor (HB-EGF) on the rate of blastocyst formation and hatching in the mouse embryos an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and ATPase ${\gamma}$-subunit mRNA. Methods: Late 2-cell mouse embryos was cultured for 72 hours in RTF medium containing with 1, 10, and 100 ng/ml HB-EGF.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MMP-9 and ATPase ${\gamma}$-subunit was detect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The rate of hatching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group containing with 1 ng/ml HB-EGF than other groups. Also, the rate of hatched blastocyst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10 ng/ml.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MMP-9 mRNA was not shown any difference among groups, but ATPase ${\gamma}$-subunit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Conclusion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HB-EGF has the positive effect to promote the blastocyst formation and hatching process and influences the blastocoel expansion by promoting the ATPase mRNA expression in the mouse embryos.

  • PDF

흰쥐 태반에서의 $Mel_{la}$ 유전자 발현과 멜라토닌이 PLP-A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Local Expression of $Mel_{la}$ and Effect of Melatonin on Expression of PLP-A Gene in the Rat Placenta)

  • Shin, Chang-Sook;Lee, Chae-Kwan;Kang, Han-Seung;Kim, Haekwon;Yoon, Yong-Dal;Moon, Deog-Hwan;Kang, Sung-Go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2호
    • /
    • pp.181-187
    • /
    • 2001
  • 포유동물의 혈중 프로락틴 농도는 일주기와 연주기의 변화를 나타내며 송과체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이 조절인자로 관여한다. 인위적인 송과체의 기능 억제는 혈중 프로락틴 농도를 증가시킨다. 임신 후반기에 태반에서는 수종의 프로락틴군 호르몬들이 분비되어 태반기능 및 배아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들 호르몬 유전자들의 발현 조절기작과 조절 인자들에 관한 연구 결과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RT-PCR과,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으로 흰쥐의 태반에서 Me $l_{la}$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발현되는 주요 세포는 junctional zone과 labyrinth zone의 spongiotrophoblast 세포와 trophoblast giant세포였다. 특이한 것은junctional zone의 Me $l_{la}$ 유전자의 발현이 밤시간(22:00)에 비하여 낮시간(16:00)에 높게 조사되었다. 그리고 멜라토닌 수용체 agonist인 chloromelatonin은 PLP-A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흰쥐의 태반에서 Me $l_{la}$ 유전자가 발현되며, 멜라토닌에 의해 유도되는 Me $l_{la}$ 의 활성화는 PLP-A유전자의 발현에 중요한 조절인자로 작용할 것이다.

  • PDF

에볼라 바이러스 진단법과 개발 동향에 관한 고찰 연구 (Study on Laboratory Diagnosis of the Ebola Virus and Its Current Trends)

  • 정혜선;강윤정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05-111
    • /
    • 2015
  • 2013년 12월 말, 에볼라 바이러스는 서아프리카에서 발발했다. 기니를 시작으로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으로 빠르게 퍼지게 되었다. 에볼라 바이러스(자이르형 에볼라 바이러스)는 외피, 비분절, 음성단일가닥 RNA바이러스이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인수공통 전염병이다. 바이러스는 처음 감염된 야생동물과 접촉 한 후, 혈액, 땀, 소변, 정액, 모유 등의 체액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사람 대 사람으로 전염된다. 그러나 공기로 전염되지는 않는다. 잠복기는 2~21일이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내피세포, 단핵 식세포, 간세포를 감염시킨다. 감염 후 바이러스가 숙주의 면역 시스템을 회피하기 위해 여러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이것은 혈관, 간 등의 내부 조직 및 기관에 막대한 피해를 주어 죽음에 이르게 한다. RNA 바이러스에 대한 대부분의 실험은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라 기술에 의존한다. 이 방법은 매우 민감하지만 숙련된 과학자, 전원 공급 장치 요구하며 비싸다. 스트립 분석기법(효소면역분석법, ELISA)은 에볼라 바이러스 항원 또는 항체를 검출한다. 이 기법은 저렴하며, 전기, 냉장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실험적인 치료 및 백신 개발에 관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에볼라 바이러스 질환은 현재 치료법에 제한이 있다. 그러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환자관리, 감염예방, 관리대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