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CEOLATA1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8초

Stem Rot of Bonnet Bellflower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4

  • Wan-Gyu Kim;Gyo-Bin Lee;Hong-Sik Shim;Weon-Dae Cho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1-64
    • /
    • 2022
  • In July and September 2020, a severe outbreak of stem rot was observed on bonnet bellflower (Codonopsis lanceolata) plants in a farm located in Chuncheon, Gangwon Province, Korea. The symptoms initially appeared on the stem at or above the soil line. Later, the infected stem completely rotted and blighted. The incidence of diseased plants in the field was 2-30%. Ten isolates of Rhizoctonia sp. were obtained from the stem lesions of diseased plants. All isolates were identified as Rhizoctonia solani AG-4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astomosis test. Three isolates of R. solani AG-4 were tested for pathogenicity on bonnet bellflower plants through artificial inoculation. All tested isolates induced stem rot symptoms on the inoculated plants. The symptom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plants from the farm. This is the first report of R. solani AG-4 causing stem rot in bonnet bellflower.

더덕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종양 효과 (Antimutagenic and Antitumor Effects of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s)

  • 김수현;최현진;정미자;최승필;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295-1301
    • /
    • 2009
  • 본 연구는 더덕의 돌연변이원성, 항돌연변이원성, 세포독성, 항종양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더덕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용매에 따라 핵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층으로 분획하였다. Ames test assay, SRB assay와 sarcoma-180 세포를 이용한 항종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Ames test 결과, 더덕 에탄올 추출물은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더덕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은(200 ${\mu}g$/plate) 4NQO에 대하여 S. Typhimurium TA98과 TA100에서 각각 72.1% 및 67.0%의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MNNG에 대한 S. Typhimurium TA100은 69.6%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의 암세포성장 억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인간 자궁경부암세포(HeLa), 인간 간암세포(HepG2), 인간 유방암세포(MCF-7), 인간 폐암세포(A549) 및 인간 신장정상세포(293)를 사용하였다. 더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1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74.5%(HeLa), 70.7%(MCF-7) 및 80.3%(A549)의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인간 정상 신장세포(293)에서는 2$\sim$31%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In vivo에서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Balb/c 마우스에 sarcoma-180 종양세포로 고형암을 유발시켰다. 그 결과 더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최고농도 50 mg/kg에서 56.4%의 고형암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다른 추출물 및 분획물 중에서 가장 높은 억제율이었다.

한국 동해안 조하대 해산식물의 군집구조 (Structure of the Subtidal Marine Plant Community on the East Coast of Korea)

  • 신재덕;안중관;김영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5-94
    • /
    • 2011
  •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s of benthic marine plants on the East Coast of Korea were studied. We examined all species found in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at four sites seasonally from August 2006 to May 2009. Of the 148 species identified, 92 were rhodophytes, 39 were phaeophytes, 16 were chlorophytes, and 1 was a seagrass. The most species (125) were found at Jukbyeon, while the fewest (99) were found at Chuksan. Overall, the numbers of species were highest during the spring and lowest in autumn. Seventy-five species (50 rhodophytes, 15 phaeophytes, 9 chlorophytes, and 1 seagrass) were found at all four sites. The dominant species providing cover were melobesioidean algae, Sargassum spp., Phyllospadix japonica, and Corallina pilulifera.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benthic marine plants was characterized by C. pilulifera, Sargassum spp., Hizikia fusiformis, Grateloupia elliptica, Symphyocladia latiuscula, Grateloupia lanceolata, Ulva pertusa, and Chondria crassicaulis in the intertidal zone; Sargassum spp., P. japonica, Prionitis cornea, C. pilulifera, and Acrosorium polyneurum at 1 m depth; Sargassum spp., P. japonica, and melobesioidean algae at 5 m depth; and melobesioidean algae at 10 m depth. There was variation among the sites, presumably due to differences in the local conditions.

Mercury Contents of Medicinal Plants and the Cultivated Soils in Korea

  • Kim, Won-Il;Go, Woo-Ri;Hong, Chang-Oh;Kim, Kwon-Ra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506-50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ransition characteristics of mercury in several selected medicinal plants and to find the appropriate management for production of safety food. Cultivated soils and medicinal plants were collected at 29 sites for Angelica gigas (Korean angelica root), 68 sites for Platycodon grandiflorum (Balloon flower), 35 sites for codonopsis lanceolata (Deoduck), 36 sites for Dioscorea batatas (Chinese yam), 32 sites for Rehmannia glutinosa (Foxglove), 16 sites for Cnidium officinale makino (cnidium), and 26 sites for Astragalus membranaceus (milk vetch root) during the harvest season of 2013. Mercury in the soils and medicinal roots were analyzed with a Direct Mercury Analyzer. Average content of mercury in soils cultivated medicinal plants was $0.023mg\;kg^{-1}$ (range: from 0.003 to $0.074mg\;kg^{-1}$) and average content of mercury in medicinal plants was $0.003mg\;kg^{-1}$ (range: from 0.001 to $0.011mg\;kg^{-1}$), indicating that mercury in the surveyed soils and medicinal plants were not exceeded the Korean regulation.

In vitro Screening of Seaweed Extract on the Proliferation of Mouse Spleen and Thymus Cell

  • Seo, Young-Wan;Kang, Sung-Ho;Lee, Hee-Jung;Kim, You-Ah;Youn, Hyun-Joo;Lee, Burm-Jong;Chung, Ho-Sun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2호
    • /
    • pp.160-163
    • /
    • 2006
  • A total number of 31 types of seaweed were assessed with regard to their effects on the proliferation of mouse spleen and thymus cells in a culture, using an MTT reduction assay. Acetone:dichloromethane (1:1) extracts of three seaweed plants: Derbesia marina, Sargassum sp., and Hisikia fuziformis, exhibit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survival of mouse spleen and thymus cells in vitro. The acetone:dichloromethane (1:1) extracts of Sargassum sp., in particular, much more potent effects on thymus cell activation than did any of the other types of seaweed. However, the methanol extracts of Sargassum ringgoldianium and Chondrus crispus exerted a stimulatory influence only on the proliferation of mouse spleen cells, whereas the methanol extracts of Grateloupia lanceolata exhibited significant cell proliferation properties in both spleen and thymus cells.

내생녹조 3종의 생장과 감염에 미치는 온도 및 광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Irradiance on Growth and Infection of Three Endophytic Green Algae)

  • 김찬송;김영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88-95
    • /
    • 2015
  • The three endophytes, Blastophysa rhizopus, Bolbocoleon piliferum, Ulvella leptochaete, were isolated in a laboratory culture from a Grateloupia lanceolata thallus collected in Jeju. Effects of temperature and irradiance on growth and infection of the three species, were examined. Based on the unialgal cultures, their growth was examined under six temperatures (9, 13, 17, 21, 25, $29^{\circ}C$) and two irradiance levels (60, $100{\mu}mol\;m^{-2}s^{-1}$). Also, infection experiments to the five hosts (Ulva intestinalis, Scytosiphon lomentaria, Gracilaria verimiculophylla, Chondrus ocellatus, and Grateloupia elliptica) with three endophytes were carried out under four temperatures (10, 15, 20, $25^{\circ}C$) and two irradiance levels (60, $100{\mu}mol\;m^{-2}s^{-1}$). In culture of the endophytes, optimum growth was found in $100{\mu}mol\;m^{-2}s^{-1}$ in combination with $21^{\circ}C$. At the end of infection experiment, endophytes were observed at all the hosts. Among three endophytes, U. leptochaete was the most common at the five hosts. However, we did not observe any endophytes at all hosts tested under $10^{\circ}C$ condition. Based on this result, it appears that temperature acts as a limiting factor to infection of the three species.

재배장소에 따른 더덕의 일반성분과 향기성분의 조성변화 (Changes of General Components and Aromatic Constituents in Codonopsis lanceolata Grown at The Native and Cultivated Area)

  • 이승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30-238
    • /
    • 1996
  • 재배장소(栽培場所)에 따른 야생(野生)더덕 및 재배(栽培)더덕의 기상환경(氣象環境), 생육특성(生育特性), 일반성분(一般成分), 유리(遊離) 아미노산(酸) 및 식물성(植物性) 정유성분(精油成分)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생지(自生地)는 재배지(栽培地에)에 비하여 기온(氣溫)이 $2{\sim}3^{\circ}C$ 지온(地溫)은 $2^{\circ}C$ 정도(程度)로 낮았고 조도(照度) 량(量낮)은 재배지(栽培地)의 2.9%였다. 자생지(自生地) 토양(土壤)의 pH는 재배지(栽培地)보다 다소 낮았으며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은 4.8%로 1.7배(倍) 정도 높게 나타났다. 2. 자생지(自生地) 재배(栽培)더덕의 개화기(開花期)가 8월(月)3일(日)로 같았지만 재배지(栽培地) 야생(野生)더덕은 재배(栽培) 더덕 보다 10일(日) 늦은 8월(月)15일(日)이었다. 만장(蔓長), 엽장(葉長), 경경(莖徑) 등(等)은 재배(栽培) 장소(場所)와는 무관(無關)하게 야생(野生)더덕에서 저조(低調)하였으나 방향성(芳香性)은 평균(平均) 5로서 재배(栽培)더덕이 평균(平均) 3.5인 것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야생(野生)더덕의 생체중(生體重)은 평균(平均) 11g/주(株)인 것에 비하여 재배(栽培)더덕은 23.5g/주(株딘)였으나 방향성(芳香性)은 재배지(栽培地)에서는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자생지(自生地)에서는 야생(野生)더덕이 5 정도(程度)로 다소 높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4. 야생(野生)더덕과 재배(栽培)더덕의 재배장소별(栽培場所別) 일반성분(一般性分)의 조성(組成)은 조단백질(粗蛋白質)의 경우(境遇) 재배장소(栽培場所)에 따른 차이(差異)를 보였으며 자생지(自生地)보다 재배지(栽培地)에서 높은 함량(含量)을 보였고 조(粗)사포닌은 재배지(栽培地)보다 자생지(自生地)에서 높은 함량(含量)을 보였다. 5. 무기성분함양(無機成分含量)의 차이(差異)는 K의 경우(境遇) 자생지(自生地)에서 보다 재배지(栽培地)에서 평균적(平均的)으로 10배이상(倍以上) 정도(程度) 높은 함량(含量)의 차이(差異)를 보였으나 Mn, Zn, Na, Cu 등(等)은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유리(遊離) 아미노산(酸)의 함량(含量)은 자생지(自生地은)보다 재배지(栽培地)에서 전반적(全般的)으로 높은 함량(含量)을 나타내었고, 특(特)히 Arginine은 다른 성분(成分)들과 비교(比較)해 볼 때 가장 높은 조성(組成)의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7. 야생(野生)더덕과 재배(栽培)더덕의 정유성분수율(精油成分收率)은 자생지재배(自生地栽培)에서는 모두 0.004% 였고 재배지(栽培地)에서는 야생(野生)더덕이 0.005%였다. 8. 더덕의 재배장소(栽培場所)에 따른 향기성분(香氣成分)은 총(總) 21종(種)이었으며 自生地(自生地)에서 야생(野生)더덕은 16종(種), 재배(栽培)더덕은 18종(種)이었고, 재배지(栽培地)에서 야생(野生) 더덕은 14종(種), 재배(栽培)더덕은 20(種)이었다. 9. Trans-2-hexanol은 야생(野生)더덕의 자생지(自生地) 재배(栽培)에서 피이크 면적(面積) 당(當) 50.3%, 재배지(栽培地)에서 피이크 면적(面積) 당(當) 43.3%를 보였으며 amylalcohol, furfuryl acetate, 2-methoxy-4-vinyl phenol(MVP)는 재배(栽培)더덕에서만 확인(確認)되었다.

  • PDF

동해 왕돌초 조하대의 해조상과 군집구조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Subtidal Zone of Wangdol-Cho on the East Coast of Korea)

  • 권천중;최창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3호
    • /
    • pp.191-201
    • /
    • 2014
  • 한국 동해안 울진군에 위치한 왕돌초 조하대에서 2012년 5월부터 2013년 8월까지 계절별로 해조상 및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녹조류 12종, 갈조류 29종, 홍조류 81종을 포함한 122종이 채집 및 동정되었으며, 38종의 해조류는 조사지역에서 연중 출현하였다. 정점별 평균 생물량은 봄 472.19-1,198.77 g wet wt. $m^{-2}$, 여름 68.99-631.14 g wet wt. $m^{-2}$, 가을 200.91-401.20 g wet wt. $m^{-2}$, 겨울 53.61-922.32 g wet wt. $m^{-2}$로 나타났다. 생물량에 근거한 왕돌초 해조류의 수직분포는 상부 개도박(Grateloupia lanceolata), 넓은분홍잎(Acrosorium venulosum), 마디잘록이(Lomentaria catenata), 중부 미역(Undaria pinnatifida), 참가시그물바탕말(Dictyopteris pacifica),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감태(Ecklonia cava), 하부 쇠꼬리산말(Desmaeistia viridis), 감태(E. cava), 괭생이모자반(S. horneri) 순으로 확인되었다. 왕돌초에서 출현한 해조류를 6가지 기능형군에 따라 구분한 결과 사상형 34.43%, 성긴분지형 25.41%, 엽상형 24.59%, 다육질형 9.71%, 각상형 5.74%, 유절산호말형 0.82%로 확인되었다. 해조상의 특성을 반영하여 해조군락 특성을 판단할 수 있는 C/P, R/P, (R+C)/P 값은 각각 0.41, 2.79, 3.21로 나타났다. 또한, 왕돌초 조하대 군집 안정도와 환경상태를 다양도지수(H')와 우점도지수(DI)를 기초로 확인한 결과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왕돌초 조하대에 서식하는 해조류 종다양성 및 풍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교란이나 부영양화 같은 인간활동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년생 근채류 중 중금속 모니터링 및 위해성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Perennial Root Vegetables)

  • 조민자;최훈;김혜정;윤혜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5-61
    • /
    • 2016
  • 다년생 근채류인 인삼, 산양삼, 더덕, 도라지의 중금속 함량 실태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식품 섭취로 인한 중금속 노출수준에 따른 위해성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위해 총 214건을 수거하였다. 근채류 중 납, 카드뮴 및 비소 함량분석을 위해 microwave장치를 이용해 전처리한 후 ICP/MS로 측정하는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중금속의 검출한계는 0.010~0.050 μg/kg이었으며 정량한계는 0.035~0.175 μg/kg이었다. 표준용액 첨가법과 CRM을 이용하여 회수율을 실험한 결과, 76~102%의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다년생 근채류 중 납 함량은 평균 0.013(인삼)~0.070(산양삼) mg/kg이었고, 카드뮴 함량은 평균 0.009(인삼)~0.034(더덕) mg/kg이었으며 비소 함량은 평균 0.002(인삼)~0.004(도라지) mg/kg이었다. 다년생 근채류 섭취에 따른 중금속 위해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중금속 노출량은 각각 Pb 0.070 μg/day, Cd 0.041 μg/day, As 0.008 μg/day으로 인체섭취한계량의 0.03%, 0.08%, 0.0003% 수준이었다. 따라서, 국내 유통되는 인삼, 산양삼, 더덕 및 도라지 섭취로 인한 중금속 노출수준은 JECFA 등의 인체노출안전기준보다 매우 낮았으며 우리나라 국민은 다년생 근채류에 존재하는 중금속의 위해성으로부터 안전하였다.

Bialaphos 저항성 유전자 bar를 이용한 형질전환 더덕개발 (Development of Transgenic Plant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Harboring a Bialaphos Resistance Gene, bar)

  • 조광수;장정은;류종석;권무식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1-287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제초제 저항성 더덕을 개발하고자 하여 제초제 저항성 bar유전자의 형질전환을 수행하였고, 더덕 종자 발아 생리, 체세포배 유도 및 선별배지 농도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기내종자발아는 GA$_3$를 첨가한 MS배지에 치상하여 15$^{\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 광, 암 두 조건 모두에서 90%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식물체 재분화는 체세포 배발생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 졌다. 배발생 캘러스는 자엽, 줄기,잎을 2,4-D와 Zeatin을 혼용처리하여 유도할 수 있었다. Basta와 PPT는 10mg/L 이상의 농도에서 식물체가 갈변고사 하였다. Explant는 l00mg/L 이상의 kanamycin에서 캘러스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Explant를 제초제 저항성 bar유전자의 식물 형질전환 벡터를 포함하는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과 2일간 공존 배양한 후, 100mg/L kanamycin, 500mg/L carbenicillin과 1.0mg/L 2,4-D이 포함된 배지에서 형질전환체를 선발하였고, 계대배양으로 배발생 캘러스를 유도하고 체세포배를 얻었다. 체세포배를 200 mg/L kanamycin,500mg/L carbenicillin이 포함된 N6배지에 치상하여 발아시켰다. PCR 수행결과 NPTII와 bar유전자가 증폭되어 나타남으로서 도입된 유전자가 잠정적인 형질전환체 내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bur유전자 형질전환 식물체는 RNA및 단백질 수준에서의 발현 여부 검정을 거친 후, 제초제 저항성 더덕 생산 및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의 후대 유전 양상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